'AI'에 해당되는 글 60건

  1. 2023.07.17 [2023년 29th 미래동향] K-NASA 스쿨, ‘우주의 조약돌’, How college admissions will change without affirmative action, AI 운명 결정할 ‘FATE’, 직원 업스킬링 성공 사례 4가지
  2. 2023.06.26 [2023년 26th 미래동향] 이공계 대학생들 ‘전공 적응과 만족감’ 낮아, AI 기술의 두 얼굴에 관한 전문가 인터뷰, 평생교육에 추가된 '성인 진로교육' 정책 수립 방안, 의학 교육 학점 제공 위해 ..
  3. 2023.06.19 [2023년 25th 미래동향] 현대자동차의 미래모빌리티 교육, 기후 협력은 독점 금지법에 위반된다?, 교육에서의 AI에 대한 미국 교육부의 보고, 2023 THE University Impact Rankings, 대학 간 경계 허물어지나..
  4. 2023.06.12 [2023년 24th 미래동향] ‘AI 시대, 대학의 길’에 관한 토론, ‘지구의 날’을 기념해 탄소중립하는 기업들, 시민참여 공론화 해외 사례, 이공계의 위기, 의학계열 선호와 이공계 기피 현상
  5. 2023.05.22 [2023년 21st 미래동향] 성인교육으로 확장하는 학습지 산업, 성인 금융이해력 현황과 조기 금융 교육, ASU의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육과정,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도입 후 현황
  6. 2023.05.15 [2023년 20th 미래동향] 인공지능 트렌드 정리, 국내 탄소중립 선포 대학, 유럽 대학 자율성 측정 결과, 사회적가치 실천 앱 '행가래', Joe Biden 대통령의 무료 대학 제안이 실패한 이후
  7. 2023.04.24 [2023년 17th 미래동향] AI의 등장으로 달라진 직업 판도, 고립∙은둔 청년 발생 및 지원 실태, AI 정신 건강 치료사, 복수학위제와 공동학위제, ChatGPT 부정행위와 대응책
  8. 2023.04.10 [2023년 15th 미래동향] 고등교육 내 ChatGPT의 위상, 콘텐츠 기업의 기후 활동, 노인 디지털 격차·소외 인권보장 해외 정책사례, 시민과학 시대의 시민과학자들, 성공적인 온라인 교육 시장 접근..
  9. 2023.03.20 [2023년 12th 미래동향]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새로운 종류의 대학 제안, RE100 대안으로 떠오른 무탄소 에너지 운동, CF100,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형 AI, 트렌드가 되고 있는 ‘숏포머..
  10. 2023.02.27 [2023년 9th 미래동향] 국내대학 등록금의 현재와 전망, 인류에게 남은 시간을 경고하는 ‘기후위기시계’, ESG 및 지속가능성 질문에 대한 ‘ChatGPT’의 답변, 2023 국가 SDG 4 기준 진행 상황, 온라..

K-NASA 스쿨, ‘우주의 조약돌’

신기술과 신산업이 성장하며 관련 인재 육성 교육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특히 최근 ‘한국판 NASA’인 우주항공청에 대한 청사진이 나옴에 따라, ‘우주의 조약돌’과 같은 우주 학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MHON
 

"AI는 기본, 우주 학교까지"…미래교육에 진심인 기업들

[서울=뉴시스] 배민욱 기자 = 어린이·청소년들에게 미래 교육을 제공하며 꿈을 키워주고 있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www.newsis.com

 

How college admissions will change without affirmative action

지난 6월, 미국 대법원은 인종이 더 이상 대학 입학의 요인으로 간주될 수 없다고 판결하였는데요. 차별 철폐 조치의 종식은 대학 입학 과정의 대대적인 변화를 나타내며, 인종이 이전보다 훨씬 적은 역할을 할 것임을 시사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JjI

 

AI 운명 결정할 ‘FATE’

인공지능 위험에 대한 우려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데요. 이에 인공지능의 공정성(Fairness), 책임성(Accountability), 투명성(Transparency), 윤리의식(Ethics), 일명 ‘FATE’를 확보하기 위한 입법이 주요국에서 논의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jlbr
 

국회입법조사처

1. 들어가며 2. 인공지능의 FATE (1) 공정성(Fairness) (2) 책임성(Accountability) (3) 투명성(Transparency) (4) 윤리의식(Ethics) 3. 인공지능 규제 논의 동향 (1) EU (2) 미국 (3) 국내 4. 시사점 인공지능의 공정성(Fair

www.nars.go.kr

 

직원 업스킬링 성공 사례 4가지

인재 부족난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업들의 인력 전략은 가시적으로 변화하고 있는데요. 이제는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직원들을 재교육하고 기술을 향상하기 위한 내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JIe
 

직원 역량이 기업의 역량!··· 직원 업스킬링 성공 사례 4선

인재 쟁탈전이 치열하지만 때로는 해결책이 바로 눈 앞에 있을 수도 있다. 인재난에 시달리는 기업의 경우, 교육 이니셔티브를 통해 현재 인재에 투

www.ciokorea.com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이공계 대학생들 ‘전공 적응과 만족감’ 낮아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공계 대학생들의 상당수가 자신의 전공에 부적응하고 만족감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인재 확보도 중요하지만 인재들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이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jhWe
 

보도자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이공계 대학생, 전공 적응과 만족감 낮다”

...

www.krivet.re.kr

 

AI 기술의 두 얼굴에 관한 전문가 인터뷰

한겨레는 AI 분야 관련 석학 네명을 서면으로 인터뷰하였는데요. 그들은 공통적으로 AI가 머지 않은 미래에 위험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Suh
 

“AI는 무엇도 책임지지 않는다”…인간의 고삐 시급한 이유

[챗지피티 6개월-AI의 두얼굴] 석학 4명 인터뷰 해악이 이익 넘어설 가능성…윤리적·법적·정책적 문제 만연

www.hani.co.kr

 

평생교육에 추가된 '성인 진로교육' 정책 수립 방안

평생교육의 범위에 ‘성인 진로교육’을 추가하는 ‘평생교육법’ 일부개정안이 의결되었는데요. 이에 따라 성인들 또한 이제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진로정보 제공, 진로체험 및 취업지원 등 ‘성인 진로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Gzq
 

‘평생교육법’ 개정안 국회 통과…성인 진로교육 근거 마련

앞으로 평생교육의 범위에 성인 진로교육이 추가된다. 또 대학, 평생교육기관, 국가 및 지역 진로교육센터에서 성인 진로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 교육부는 지난 25일 국회 본회

www.korea.kr

 

의학 교육 학점 제공 위해 유튜브와 협력하는 하버드대

임상의들은 자격증과 지식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 의학 교육 학점을 이수해야 하는데요. 유튜브와 하버드 대학은 의료계 최초로 유튜브 동영상 시청을 통해 지속적 의학 교육 학점을 얻을 수 있는 협약을 체결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z4Lh
 

YouTube And Harvard Team Up To Give Doctors Continuing Ed Credits

In a first for the medical profession, doctors seeking to keep their licenses and expertise up to date can complete the credits they need through one of the most popular social media platforms on the planet.

www.forbes.com

 

'불법복제 천국' 된 대학가

대학가에서는 전공교재를 스캔한 뒤 이를 불법 파일로 판매하는 사례가 성행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종이책보다 전자 문서가 활성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높은 물가 인상도 불법 복제의 원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GKc
 

"4만원 교재를 4000원에"..'불법복제 천국' 된 대학가

“불법 복제물이 새책 가격의 10% 정도라서 어쩔 수 없이 (불법복제 파일을) 구입했어요.”이화여대에 재학 중인 A씨는 최근 전공교재의 불법 복제 파일을 4000원에 구입했다. 전공교재 가격은 한

www.edaily.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현대자동차의 미래모빌리티 교육

현대자동차는 ‘미래모빌리티학교’를 모집해 미래 모빌리티 인재 육성에 나서고 있는데요. 미래모빌리티학교는 현대자동차가 민간 기업 최초로 교육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2016년부터 지속적으로 운영해오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E00
 

현대차, 특화된 진로교육…'미래모빌리티학교' 모집

[서울=뉴시스]안경무 기자 = 현대자동차가 ‘2023년 미래모빌리티학교’를 모집해 미래 모빌리티 인재 육성과 특화된 진로 교육에 나선다

www.newsis.com

 

기후 협력은 독점 금지법에 위반된다?

전 세계적 아젠다로 자리 잡은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과 기업이 협력하는 “기후 협력”이  강조되며 점차 늘고 있는데요.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기후 협력이 담합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jg78
 

Antitrust Threats Cloud Business Cooperation on Climate Action

Business alliances are key to achieving climate goals, but companies must carefully navigate competition rules that aren’t clear on what is acceptable collaboration.

www.wsj.com

 

교육에서의 AI에 대한 미국 교육부의 보고

최근 미국 교육부는 교육의 AI에 대한 관점에 무게를 두고 있는데요. 교육부는 AI 기술의 책임 있는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비영리 단체인 Digital Promise와 협업하여 권장 사항 등을 포함한 보고서를 발간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FBU

 

2023 THE University Impact Rankings

Times Higher Education에서는 매년 세계 대학 영향력 순위를 발표하고 있는데요. 2023 University Impact Rankings에서는 연세대가 세계 14위로 국내 대학 중 1위를 기록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5jC
 

2023 THE 세계대학 영향력 순위.. 연세대 ‘세계14위’ 경희대/경북대 톱3

[베리타스알파=신현지 기자] 세계대학 평가기관 THE가 발표한 ‘2023 세계대학 영향력 순위(Impact Rankings 2023)’에서 연세대가 세계14위로 국내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27위에서 13계단 상승한 순위다

www.veritas-a.com

 

대학 간 경계 허물어지나, 교육부 고등교육 체계 개편 추진

교육부는 4년제 대학교와 전문대, 사이버대 등이 나뉘어져 있는 현재의 고등교육 체계를 하나의 대학이 모두 운영할 수 있도록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이러한 파격적인 개편이 향후 국내의 고등교육계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귀추가 주목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jhEl
 

이주호 부총리, 美처럼 대학 개편 “4년제·전문대·사이버대 벽 허문다”

이주호 부총리, 美처럼 대학 개편 4년제·전문대·사이버대 벽 허문다 월드클래스 대학 수준으로 규제 완화 등록금 규제 완화는 검토 안 해

biz.chosun.com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AI 시대, 대학의 길’에 관한 토론

지난 4월 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조선일보와 공동 주관으로 포럼 ‘AI 시대, 대학의 길을 묻다’를 개최하였는데요. 디지털 전환 시대 대학의 혁신 방향에 관한 논의에서 발표자들은 AI를 활용할 수 있는 개인으로 성장시키는 뱡향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3E3
 

포럼 < AI 시대, 대학의 길을 묻다 >: “대학, 세상에 없는 것 만들어 내는 혁신가 키워내야”

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4월 26일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포럼 AI 시대, 대학의 길을 묻다 를 개최했다.오는 9월 개교를 앞둔 태재대학교, 조선일보와 공동 주관으로 개최한 이번 포럼은

www.taejaefci.org

 

‘지구의 날’을 기념해 탄소중립하는 기업들

지난 4월 22일은 ‘지구의 날’이었는데요. 지구의 날을 맞아 일부 기업에서는 친환경 제품 또는 탄소중립목표 등을 발표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EA3
 

【그린워싱 탐사대】 지구의 날 놓치지 않는 기업들, 무슨 발표했나 - IMPACT ON(임팩트온)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와 임팩트온은 올해 제2회 \'그린워싱 탐사대\'를 운영한다. ESG에 관한 모니터링을 하는 청년 기자단을 중심으로, 이들을 직접 멘토링하고 이들이 작성한 기사를 보도한다

www.impacton.net

 

시민참여 공론화 해외 사례

최근 정치의사결정에 직접 참여하고자 하는 시민사회의 요구와 움직임이 활발한데요. 올바른 시민참여를 위해서는 헌법개정과 주요 정책과 관련한 해외 공론조사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MDrA
 

국회입법조사처

2023.05.25 김선화,오창룡 주 제 : 정치행정조사실 > 법제사법팀 > 헌법 분 류 : NARS 현안분석

www.nars.go.kr

 

이공계의 위기, 의학계열 선호와 이공계 기피 현상

최근 입시에서는 이공계를 기피하고 의학계열을 선호하는 현상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는 의학계열의 이공계 대비 직업 안정성과 고소득에 기인한 자연스러운 사회경제적 변화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4ra
 

이공계의 질적 위기, 우수인재의 의학계열 선호 현상 가속화 시켜 | 발간물 > 정기간행물 > 과학

 

www.stepi.re.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성인교육으로 확장하는 학습지 산업

저출산으로 인해 학령인구가 감소하자 유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던 학습지 업계가 성인교육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데요. 시니어교육과 직장인교육 등 평생교육 시장으로 확대하며 에듀테크 기업으로서 다른 기업과 경쟁하기 시작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42QidUn
 

학령인구 줄자…교육업계 '영역파괴' 나섰다

학령인구 줄자…교육업계 '영역파괴' 나섰다, 경쟁사 영역 진출·신사업 발굴 유·초등 학습지 업계 1위 교원 시니어 대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메가스터디는 대입서 유아교육

www.hankyung.com

 

성인 금융이해력 현황과 조기 금융 교육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2022 전 국민 금융이해력 조사’를 실시한 결과, 만 18~79세 사이 국내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6.5점이며, 연령층으로 봤을 때는 초고령층의 이해도가 최하위이고, 소득수준과 학력이 높을수록 이해도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W3myl6
 

'복리 이자' 잘 모르는 한국인…성인 금융이해력 점수 66.5점

'복리 이자' 잘 모르는 한국인…성인 금융이해력 점수 66.5점, 고졸 미만은 50점대

www.hankyung.com

 

ASU의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육과정

애리조나 주립대(ASU)는 세계적 혁신 대학으로 꼽히는데요. 특히 지난 2015년, AI 기반 능동 및 맞춤형 생물학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중도탈락률은 낮추고 학업성취도는 높이는 성과를 이루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pGViwD
 

정기간행물 보기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요약 CEO 칼럼 AI 기술, 교육, 관계 파워인터뷰 고진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과의 만남 특별기획 1. 고교학점제 보완 방안: 과목선택권 확대를 넘어 교수학습 혁신으로 2.

www.kedi.re.kr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도입 후 현황

정부는 고용평등을 위해 여성고용을 확대하는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를 200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데요. 그러나 도입 후 17년이 지난 지금도 남녀간 고용 및 임금격차는 여전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W5AniZ
 

[‘27년 꼴찌’ 성별임금격차] ‘AA’ 도입 17년…고용격차 줄이지 못한 ‘남초 직장’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커 OECD에 가입한 원년인 1996년부터 27년째 ‘꼴찌’다. 2021년 ...

www.khan.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인공지능 트렌드 정리

Stanford HAI는 매년 AI의 발전을 추적하기 위한 AI Index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는데요. 최근 ChatGPT의 등장으로 AI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올해 보고서에서는 이전과 비교되는 이슈와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네요.

원문링크 : https://stanford.io/44FEZjV
 

AI Index Report 2023 – Artificial Intelligence Index

The AI Index is an independent initiative at the Stanford Institute for Human-Centered Artificial Intelligence (HAI), led by the AI Index Steering Committee, an interdisciplinary group of experts from across academia and industry. The annual report tracks,

aiindex.stanford.edu

 

국내 탄소중립 선포 대학

기후위기가 대두되며 기후변화교육뿐 아니라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대학이 늘고 있는데요. 상지대는 국내 최초 탄소중립실증대학을 선포하고 기후행동보상제를 실시하기로 하였다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M3X5V9
 

상지대학교, 국내 최초 '탄소중립실증대학'선포 - 라이프인

인류가 처한 중대하고도 급격한 기후위기 문제에 지속가능한 미래를 담보하는 전 세계 대학도 지구적 기후문제 해결과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앞장서 동참하고 있다.상지

www.lifein.news

 

유럽 대학 자율성 측정 결과

대학의 자율성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지만 그에 대한 접근은 아직 제한적인 실정이라는데요. 관련하여 최근 유럽에서 대학 자율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이는 한국 대학 자율성에 대한 논의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VM32JB
 

KEDI Brief - 한국교육개발원

 

www.kedi.re.kr

 

사회적가치 실천 앱 '행가래'

SK C&C는 국내 최초 사회적가치 실천 앱 ‘행가래’를 개발하였는데요. 행가래는 일상생활 속에서 쉽고 재미있게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하도록 도와주는 앱으로, 실제로 사회적가치 창출 활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VOThKI
 

연구보고서(글보기)<발간 자료<사회적가치연구원

사회적가치연구원은 지식, 가치, 사람을 연결하며, 사회적 가치가 인정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사업을 추진합니다.

www.cses.re.kr

 

Joe Biden 대통령의 무료 대학 제안이 실패한 이후

미국 연방 정부 차원에서 진행되던 “무료 대학 계획(Free-College Plan)”은 실패하였지만, 주 정부에서는 이러한 아이디어를 이어 받아 자체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 각 주의 커뮤니티 칼리지는 등록 학생 수가 증가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41Hulq9
 

Free college keeps growing — at the state level

Elected officials are calling for new programs and expansions. Policy wonks sometimes critique design choices, but free remains a powerful hook.

www.highereddive.com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AI의 등장으로 달라진 직업 판도

AI의 등장으로 직업의 판도가 완전히 달라졌는데요. 데이터와 AI 등 IT 관련 전문직들이 수요가 늘어날 직업 상위권에 위치하며 향후 10년 뒤에도 여전히 유망한 직업으로 꼽히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A3pO5C
 

미국에서 뜨는 직업 'AI 조련사' 연봉이 4억?[2023 달라진 직업 판도③]

미국에서 뜨는 직업 'AI 조련사' 연봉이 4억?[2023 달라진 직업 판도③], 김영은 기자, 미국

magazine.hankyung.com

 

고립∙은둔 청년 발생 및 지원 실태

정서적, 물리적으로 고립되는 은둔 청년이 증가하고 있어 해결이 시급하지만, 부산을 포함해 일부 지방은 은둔 청년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KKjMvV
 

“은둔 청년들 어떻게 하나요”···관련 지원책 부재한 지자체들 [스물스물] - 매일경제

지방 거주 은둔 청년 통계 부재은둔 청년 정책 없는 지자체 많아

www.mk.co.kr

 

AI 정신 건강 치료사

전 세계적으로 정신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나 치료에 대한 접근은 여전히 제한적인 상황이라는데요. AI가 그 해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L4tf2p
 

AI in Mental Health - Examples, Benefits & Trends — ITRex

AI can transform mental health care for ever. Read our article to learn why we desperately need AI tools for mental health today, how they are already helping patients and clinicians, and what promises they hold.

itrexgroup.com

 

복수학위제와 공동학위제

학령인구 감소 상황에서 대학이 생존하기 위해 지방대가 모색하고 있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 ‘공동학위제’를 들 수 있는데요. 최근 부산의 대학들은 공동학위제 학과를 신설해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공동학위를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AayJ5r
 

부산지역 대학들 ‘공동학위제 학과’ 만들어 수도권大와 겨룬다

부산의 대학들이 공동학위제 학과를 신설해 주목을 끌고 있다. 공동학위제는 두 대학이 교원과 교육시설을 공유하며 함께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다. 4년간 두 캠퍼스를 오가며 …

www.donga.com

 

ChatGPT 부정행위와 대응책

대화형 챗봇 생성 AI ChatGPT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를 악용하는 부정행위도 속출하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하여, 최근 성균관대는 AI를 사용한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탐색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국내 대학 최초로 개설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mP9eDH
 

성균관대, 챗GPT 부정행위 대응 플랫폼 개설… 국내 대학 최초

AI 사용 표절에 대응…평가 방법 다변화, 감독 방식 개선

www.dhnews.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고등교육 내 ChatGPT의 위상

EDUCAUSE QuickPoll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등교육기관들은 ChatGPT와 같은 생성 AI에 낙관적이라고 하는데요. 부정행위와 같은 부작용이 우려되기는 하지만, ChatGPT를 대학 운영에 도입함으로써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는 잠재적 효과들에 보다 주목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zhZZi7
 

Poll: Majority of Higher Ed Leaders Optimistic About Generative AI

An EDUCAUSE QuickPoll shows that tools like ChatGPT remain a hot topic on college campuses but that most want conversations to steer toward how to incorporate tools in a positive way.

edtechmagazine.com

 

콘텐츠 기업의 기후 활동

글로벌 OTT 플랫폼 넷플릭스에는 다양한 장르의 지속가능성 관련 콘텐츠가 있는데요. 넷플릭스에 따르면 회원의 약 70%가 지속가능성 관련 콘텐츠를 한 편 이상 시청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Gt0OJ1
 

넷플릭스 "회원 70% 기후 변화 관련 콘텐츠 시청"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는 지난해 전 세계 1억 6천500만 가구가 넷플릭스에서 기후 변...

www.yna.co.kr

 

노인 디지털 격차·소외 인권보장 해외 정책사례

‘언택트의 일상화’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노인들은 디지털 격차로 인해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는데요. 디지털 격차는 인권과 직결되므로, 노인의 디지털 권리와 인권 보호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m8YPCy
 

국가인권위원회

혐오와 차별을 넘어 누구나 존엄하게, 국가인권위원회

www.humanrights.go.kr

 

시민과학 시대의 시민과학자들

‘시민과학’이란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 분야의 의미 있는 지식을 창출하며 사회적 가치를 새롭게 창출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국내에서도 생태 및 생물다양성 분야를 오랜 기간 관찰하고 이를 공유해온 ‘시민과학자’들이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UcM1Yr
 

에코뷰 | 월간 『함께사는길』

지구를 살리는 사람들의 잡지

ecoview.or.kr

 

성공적인 온라인 교육 시장 접근을 위한 12가지 질문

온라인 학습 수요의 증가로 고등교육의 온라인 교육 시장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관들의 경쟁 또한 가열되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성공적으로 온라인 교육 시장에 접근한 기관들은 12가지의 전략적 질문을 다루고 답하려고 노력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MqeUhI
 

12 questions to advance your online ed strategy (opinion)

 

www.insidehighered.com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새로운 종류의 대학 제안

코로나가 완화된 현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요. MIT 교수 5명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해 New Educational Institution(NEI)이라고 하는 새로운 유형의 대학을 위한 틀을 제시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T6ayO5
 

MIT Professors Propose a New Kind of University for Post-COVID Era - EdSurge News

College in the U.S. mainly comes in a few fixed shapes and sizes: the research university, the liberal arts college, the community college, the ...

www.edsurge.com

 

RE100 대안으로 떠오른 무탄소 에너지 운동, CF100

기업의 탄소 중립 방안으로 사용 전력의 전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RE100’ 참여가 요구되고 있지만, 국내 시장에서는 한계점이 있는데요. 이에 확대된 개념으로서 단계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CF100’이 새로이 주목 받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JC0BVS
 

[키워드 브리핑] 'RE100' 확산 방안으로 떠오르는 'CF100'

기업의 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 정착을 위해 무탄소 에너지 운동인 ‘CF100’을 먼저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내에서 주목받고 있다. CF100은 ‘무탄소(Carbon Free) 100%’

futurechosun.com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형 AI

우리 사회에 만연한 사회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AI가 적극 활용되고 있는데요.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문제당사자인 시민의 참여가 필요하므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시민이 함께 만드는 우리들의 AI’를 제안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JDN7su

 

트렌드가 되고 있는 ‘숏포머블(Shortformable)'한 콘텐츠

최근 짧은 영상을 의미하는 ‘숏폼’이 대세라고 하는데요. 10명 중 7명이 숏폼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숏폼을 접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JfFze9
 

"10명중 7명은 숏폼 시청…이용률 1년새 10% 넘게 늘어"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국내 숏폼(짧은 영상) 이용률이 지난 1년 사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www.yna.co.kr

 

재난 위험 완화에 있어서의 대학의 역할

지난 2월 발생한 강력한 지진으로 인해 튀르키예와 시리아는 막대한 물적‧인명 피해를 입었는데요. 이번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재난 교육 및 연구에 있어 대학의 역할에 대해 주목하게 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408IFHF
 

How can our universities help to mitigate disaster risk?

The destruction caused by the earthquake and its aftershocks that hit Türkiye and Syria in February has turned the spotlight on universities’ role ...

www.universityworldnews.com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국내대학 등록금의 현재와 전망

물가 상승과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재정난이 심각해지자 올해 일부 대학은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결정하였는데요. 이러한 결정이 트리거가 되어 이후에 등록금 인상을 결정하는 대학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EcOWtr
 

'물가 딜레마'에 빠진 대학등록금..내년 인상률 5.54%까지 가능 - 머니투데이

주요 대학들이 빠르면 올해 1학기부터 등록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등록금 인상폭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등록금 인상률 상한에 연동된 소비자 물가상승률...

news.mt.co.kr

 

인류에게 남은 시간을 경고하는 ‘기후위기시계’

‘기후위기시계’란 뉴욕 기후행동단체 Climate Clock이 주도하는 프로젝트로, 기후위기 임계점인 1.5도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를 말하는데요. 최근 부산시는 광역시·도 최초로 정식 라이선스를 취득하고 기후위기시계를 설치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41b1Sda
 

부산시, ‘기후위기시계’ 설치… 생태계·생존 위협 경각심↑ - 천지일보

[천지일보 부산=윤선영 기자] 부산시가 시민공원 남1문 입구에 ‘기후위기시계’를 설치하고 28일 오전 10시 이곳에서 준공 기념식을 연다. 기후위기시계는 지구온난화 등 전 지구적 이상기후로

www.newscj.com

 

ESG 및 지속가능성 질문에 대한 ‘ChatGPT’의 답변

‘ChatGPT’는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치 사람과 같이 질문에 답변하는 대화형 AI인데요. ESG 및 지속가능성에 관한 질문에서도 개념과 우수사례, AI 활용방안 등을 척척 답변해내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YNb4CS
 

한국에서 ‘ESG’ 잘하는 기업, 챗GPT의 대답은? - IMPACT ON(임팩트온)

오픈AI사가 만든 챗GPT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문장 요약, 추론에 뛰어난 능력을 보이고 있는 챗GPT는 질문에 대한 요약된 답변은 물론, 간단한 에세이 쓰기를 넘어 시를 쓰는 등 창조까지 가능하

www.impacton.net

 

2023 국가 SDG 4 기준 진행 상황

국가 SDG 4 기준(national SDG 4 benchmarks)이란 국가가 2025년과 2030년까지 달성하고자 하는 SDG 4 관련 기준(목표)을 말하는데요. 7가지 지표에 대하여 각국의 진행 상황을 파악한 결과, 소득 수준에 따라 진전 속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Ip57F1
 

How fast are countries transforming their education?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new 2023 SDG 4 Scorecard

National SDG 4 benchmarks serve multiple objectives. Most importantly, they help contextualize the monitoring of progress towards our education targets. Benchmarks recognize that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starting point but also that all countries toget

www.unesco.org

 

온라인 석사과정을 운영하는 4년제 오프라인 대학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 제도’는 원격대학이 아닌 일반대학에서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 전체 학위과정을 100% 온라인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제도인데요. 작년 도입 이후 두 번째 심사가 진행되어 총 17개교 20개 석사과정이 추가로 운영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XT3aXn
 

교육부, 일반대 온라인 석사과정 20개 추가 승인

온라인 공간에서 모든 수업을 듣고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학위과정 운영 대학이 더 늘어난다. 교육부는 지난해 도입한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 제도를 시행할 대학원 20개 석사과정을

www.korea.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