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대학'에 해당되는 글 8건

  1. 2025.04.14 [2025년 14th 미래동향] Amid Financial Headwinds, Could Course Sharing Offer Colleges Relief?, 글로컬대학이 바꾸는 고등교육 지형도, 전공자율선택제, 자율성과 정책 목표 사이의 딜레마, 대학평가의 방향성 재정립을 위한 고찰, 기후변화 시대 산불 대응체계의 방향성
  2. 2024.12.16 [2024년 51st 미래동향] Success Program Launch: Incorporating VR Into the First-Year Seminar, 라이즈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과제, 글로컬대학 통해 지역혁신·국가균형발전의 성공 모델 제시, AI와 학문의 경계, 2025년, 기후 빌런의 귀환 4
  3. 2024.11.25 [2024년 48th 미래동향] How colleges can mitigate financial risk: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growth, 한국판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로 미래 산업 선도,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 무전공 정착을 위한 필수 전략, 에너지 자립을 이룬 독일의 친환경 모델 1
  4. 2024.09.23 [2024년 39th 미래동향] Navigating the AI revolution in higher ed: Crafting effective policies for ChatGPT and beyond, 글로컬대학 선정 전략의 변화 예고
  5. 2024.05.07 [2024년 19th 미래동향] University of Arkansas, Bachelor’s Programs, K-에듀테크의 글로벌 확산 방안, 차별성이 돋보인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평가 결과, MIT, ‘기후환경에 대응하는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행
  6. 2024.03.04 [2024년 10th 미래동향] Online courses : Study an online postgraduate degree, 이공계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한 방안, 대학혁신모델을 확산하기 위한 전략 논의, 세계 도시의 친환경 수요 동향 1
  7. 2023.12.04 [2023년 47th 미래동향] Biden-Harris Administration's Climate Resilience Summit & National Framework Release, 2023 대학경쟁력네트워크(UCN) 프레지던트 서밋 개최, 글로벌 교육플랫폼 ‘유다시티(Udacity)’ 활용 방안 .. 1
  8. 2023.05.02 [2023년 18th 미래동향] 지방대 육성을 위한 글로컬 대학, 국내 주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 MZ세대와 미래 이슈, 사회적경제와 대학의 역할, AI 대학의 등장

Amid Financial Headwinds, Could Course Sharing Offer Colleges Relief?  

최근 미국의 많은 대학들이 연방정부의 재정 지원 축소로 인해 심각한 재정 압박을 겪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강의 공유(course sharing)’ 모델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cWMYZ
 

Course Sharing Can Boost Retention, Revenue, Report Finds

A new white paper says colleges could increase retention and create new income streams by partnering with other institutions to offer students the courses they need to stay on track for graduation.

www.insidehighered.com

 

글로컬대학이 바꾸는 고등교육 지형도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4월 3일(목) 「2025년 글로컬대학 지정 계획」을 확정·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혁신성과 실현가능성이 높은 모델은 글로컬대학으로 지정·확산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103002&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전공자율선택제, 자율성과 정책 목표 사이의 딜레마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3월 19일 ‘2024 고등교육 현안분석 자료집’을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전공자율선택제 도입으로 대학이 직면한 현실적인 과제와 문제점, 개선 방향이 담긴 연구를 담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VP5
 

“대학 자율성 제약이 전공자율선택제 성공적 운영 저해” - 교수신문

교육부 정책으로 올해부터 본격 도입된 ‘전공자율선택제’로 대학의 자율성이 크게 제한됐고, 경직된 정책과 대학의 자율성 제약이 성공적인 운영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한국대

www.kyosu.net

 

대학평가의 방향성 재정립을 위한 고찰 

윤정용 전국대학교 기획관리자협의회 부회장(아주대 기획팀장)은 한국대학신문에 ‘대학평가, 변화를 이끄는 힘이 되려면’이라는 칼럼을 공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대학들이 순위에 집착하기보다는 평가를 발전의 도구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gQ6o

 

[대학通] 대학평가, 변화를 이끄는 힘이 되려면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대학 관계자라면 매년 발표되는 대학평가 순위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협의회에서 만난 어느 대학의 담당자는 순위가 오르면 한 해 농사를 잘 지은 듯 뿌듯하지만, 내려가면 씁쓸하다고

news.unn.net

 

기후변화 시대 산불 대응체계의 방향성  

한겨레신문에 따르면, 이번 영남 산불이 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산불 확산의 3요소인 기상, 지형, 연료가 모두 산불 확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kB0p
 

산불 불쏘시개 된 가뭄·강풍…‘기후변화 멈추라’는 경고였다

이번 영남 산불이 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된 것은, 산불 확산의 3요소인 기상, 지형, 연료 3요소가 모두 산불 확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을 갖췄기 때문이다. 이 요소들을 앞으로 어떻게 관측하고

www.hani.co.kr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6th 미래동향] Cutting costs while maintaining value: The challenge for higher education, 아시아판 에라스무스를 향한 도전, 소규모 대학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지속가능한 고등교육재정 해법, 폭증하는 플라스틱, 미약한 재활용  (1) 2025.04.28
[2025년 15th 미래동향] Millennials feel financially unstable–continuing education may be the solution,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5가지 로드맵, 대학 재정위기 개선 방안, 통합인문학의 현재와 미래, 기후위기 시대의 산불 대응 전략  (0) 2025.04.21
[2025년 13th 미래동향] How AI is reshaping the LMS: A framework for responsible implementation, 자율·성과 기반 고등교육 재정지원 체계 개편 방안, RISE 기반 대학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사립대학 적립금, 선택 아닌 의무로 자리잡다, 트럼프 시대의 기후정책 후퇴 속 한국의 대응 전략  (0) 2025.04.07
[2025년 12th 미래동향] 7 workforce readiness strategies to give grads an edge, ‘대학-지역-기업’과 함께 유학생 지원 확대, 성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키, 트럼프 행정부 연구비 삭감, 신진 연구자들 피해 심화, 전쟁이 남긴 3억톤의 온실가스  (0) 2025.03.31
[2025년 11th 미래동향] Academic Success Tip: Reducing Barriers to Tutoring Participation, 지역대학 재정 위기, 수도권 대학과의 격차 심화, 미국, 교육부 해체 논란 속 정책 변화 가속화, 대학 재정 위기 해결을 위한 등록금 인상의 필요성, ‘청정산업딜’로 유럽의 탈탄소화 가속화  (0) 2025.03.24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Success Program Launch: Incorporating VR Into the First-Year Seminar 

University of Miami는 신입생 세미나에서 VR 기술인 ‘UMverse’를 도입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신입생들의 소속감을 높이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친숙함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ytEy
 

Encouraging campus, city exploration with virtual reality

This fall, the University of Miami introduced a new virtual reality tool into a first-year course. The initiative is targeted toward retention and engagement of students, as well as improving their feelings of belonging.

www.insidehighered.com

 

라이즈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과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가 올 한 해 7곳 지역의 시범사업 기간을 거쳐 내년 전국으로 확대된다고 하는데요. 특히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대학과 지자체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qlkn
 

[본지-대교협 공동기획③] 라이즈(RISE) 내년 전국 시행…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 한국대학신문 -

[한국대학신문 김영식 기자] 디지털 대변혁의 시대를 맞아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적응할 새도 없이 2024년 한 해가 빠르게 흘러갔다. 2025년에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가 전국에 도

news.unn.net

 

글로컬대학 통해 지역혁신·국가균형발전의 성공 모델 제시 

경상국립대학교는 글로컬대학으로 선정되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글로컬대학 사업을 통해 지역혁신과 국가 균형발전의 성공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PwJB
 

[글로컬대학 릴레이 인터뷰/경상국립대] 곽태수 글로컬대학사업단장 “우주항공방산 허브 대학

교육부는 지난해부터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강조하면서 대학의 역할 확대를 강조해 왔다. 특히, ‘글로컬대학30 사업’은 비수도권 대학을 대상으로 한 곳당 5년간 최대 1000억 원

news.unn.net

 

AI와 학문의 경계 

노대원 제주대 국어교육과 교수는 ‘AI는 연구자를 대체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칼럼을 공개했다고 하는데요. 특히 연구의 최종 감독이자 책임자는 언제나 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Yl5
 

AI는 연구자를 대체할 것인가…왜 이 연구를 하고 있습니까 - 교수신문

[인문학자가 인공지능에 던지는 질문⑤ 노대원 제주대 교수] AI가 효율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이끌어갈 때,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충분히 고민할 수 있는 주체

www.kyosu.net

 

2025년, 기후 빌런의 귀환 

‘기후위기 부정’ 대표주자인 트럼프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를 앞두고 세계가 긴장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지난 임기 때보다 극단적인 ‘친환경 지우기’에 나설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XIx
 

[돌아온 트럼프와 지구] 다시 ‘친환경과의 전쟁’? 더 강해져 돌아온 트럼프의 ‘반환경’ 구상

“미국 역사상 최악의 환경파괴 대통령이 돌아왔다. 2기는 더욱 잔혹할 것이다.” 미국 역사학자 더글러스 브링클리 라이스대학 교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을 두고 내

www.khan.co.kr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53rd 미래동향] How universities ethically leverage AI, 비수도권 사립대학 경영 위기 심화, 장기 침체기를 대비하기 위한 인문사회 발전전략, 대학 평생교육원 위상 강화 방안  (0) 2024.12.30
[2024년 52nd 미래동향] As online learning programs grow, so does the need for data-informed decisions, ‘고교-대학 연계 학점 인정 체제’ 도입, 디지털 혁신을 통한 미래 인재 발굴, 다문화 사회 속 고등교육의 방향, 기후 암흑기 속으로, 국제 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  (0) 2024.12.23
[2024년 50th 미래동향] How Trump and AI could impact higher ed in 2025, 고등교육법 26년 만의 전면 개정, 고등교육계, 교육부의 교육개혁에 불만 표출,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중장기 계획  (1) 2024.12.09
[2024년 49th 미래동향] The EDUCAUSE Top 10: Rebuilding trust in higher ed, 경계 없는 교육생태계로 가는 길, ‘사립대 구조개선법’의 부작용 우려, RISE 사업으로 인한 서울권 대학 ‘역차별’ 우려 제기, ESG 공시 의무화 법안 발의  (2) 2024.12.02
[2024년 48th 미래동향] How colleges can mitigate financial risk: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growth, 한국판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로 미래 산업 선도,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 무전공 정착을 위한 필수 전략, 에너지 자립을 이룬 독일의 친환경 모델  (1) 2024.11.25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How colleges can mitigate financial risk: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growth 

오늘날의 재정적 불확실성 속에서 대학들은 지속 가능성을 위협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운영 비용 증가, 등록 감소, 불안정한 기금 등으로 불안정한 상황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yuLZ
 

How colleges can mitigate financial risk: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growth

Colleges and universities can secure their future by embracing innovative solutions and mitigating financial risk for sustainability.

www.ecampusnews.com

 

한국판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로 미래 산업 선도 

한국대학신문은 11월 5일 전북대를 방문해 백기태 처장으로부터 글로컬 대학 선정과 관련한 이야기를 들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한국판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yxmW
 

[글로컬대학 릴레이 인터뷰/전북대] 백기태 기획처장 “‘플래그십 대학’으로서 역할 강화…한

교육부는 지난해부터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강조하면서 대학의 역할 확대를 강조해 왔다. 특히, ‘글로컬대학30 사업’은 비수도권 대학을 대상으로 한 곳당 5년간 최대 1000억 원

news.unn.net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 

여야 의원 30여 명은 10월 30일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을 발의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1998년 제정 이후 사회적 요구 및 교육 환경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mcB
 

"교육부 장관 권한 축소는 환영…대학체제 개편 미흡" - 교수신문

최근 여야 의원 30여 명이 공동 발의한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 내용을 두고 대학가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교육부 장관의 지도·감독 권한을 축소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

www.kyosu.net

 

무전공 정착을 위한 필수 전략 

이원희 한경국립대 총장은 ‘무전공이 정착되려면 다원화와 연계된 다양성 확보 방안이 필요하다’라는 칼럼을 공개하였다는데요. 특히 다양한 제도적 기반의 조성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qamP
 

[희망 대한민국] (52)무전공 정착되려면 다원화와 연계된 다양성 확보 방안이 필요하다 - 한국대

최근 교육부 주도로 전국 대학에 도입되는 ‘대학 무전공 입학’은 향후 큰 파급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정책 실험이다. 학생의 다양한 선택권을 보장하고, 새로운 인재상을 만들어 낼 수

news.unn.net

 

에너지 자립을 이룬 독일의 친환경 모델 

공동취재팀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자립 사례로 독일의 보봉마을을 방문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자립 사례를 알아보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K99d
 

[기후위기 변화의 기로] 독일 '친환경 에너지 마을'을 가다 - ① 보봉마을

지역신문발전위원회 2024년 공동주체심층보도지원 1차 공모사업에 선정된 인천일보, 중부일보, 태안신문, 낭주신문, 당진시대 등 5개 언론사 기자들로 구성된 공동취재팀이 '기후위기, 변화의 기

www.incheonilbo.com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50th 미래동향] How Trump and AI could impact higher ed in 2025, 고등교육법 26년 만의 전면 개정, 고등교육계, 교육부의 교육개혁에 불만 표출,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중장기 계획  (1) 2024.12.09
[2024년 49th 미래동향] The EDUCAUSE Top 10: Rebuilding trust in higher ed, 경계 없는 교육생태계로 가는 길, ‘사립대 구조개선법’의 부작용 우려, RISE 사업으로 인한 서울권 대학 ‘역차별’ 우려 제기, ESG 공시 의무화 법안 발의  (2) 2024.12.02
[2024년 47th 미래동향] Top trends, takeaways point to online learning’s staying power, 산·학·연 협력을 통한 새로운 생태계 구축 필요, 인문·사회계열 학과의 위기 확산, 다문화 사회를 맞이하는 대학의 준비, 프랑스의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1) 2024.11.18
[2024년 46th 미래동향] EDUCAUSE News: Ellucian’s AI Survey Reveals Surge in AI Adoption, 사이버대의 글로벌 진출 계획, 사립대 비리 의혹 대거 폭로,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 맞춘 대학의 역할 확장, 대학 주도의 기후위기 대응  (0) 2024.11.11
[2024년 45th 미래동향] New tool translates college learning experiences into workforce skills, ‘빅블러 시대’, 전공 선택권 확대의 필요성, 기술이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대학 교육혁신의 현주소,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존재적 삶의 전환  (0) 2024.11.04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Navigating the AI revolution in higher ed: Crafting effective policies for ChatGPT and beyond

존 존스턴 박사에 따르면, 일부 대학에서 책임있는 사용 및 기밀 데이터 보호 및 학문적 성실성 표준 준수를 강조하는 지침을 발표했다고 하는데요. 이는 ChatGPT-4의 등장으로 생겨났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pFW0
 

Navigating the AI revolution in higher ed: Crafting effective policies for ChatGPT and beyond

Some higher-ed orgs have issued comprehensive AI policies emphasizing responsible use, confidential data protection, integrity standards.

www.ecampusnews.com

 

글로컬대학 선정 전략의 변화 예고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2024년 글로컬대학 본지정 대학’을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올해 글로컬대학은 지난해에는 없던 ‘연합’과 ‘초광역 연합’이라는 유형이 새로 등장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x6BI
 

[UNN 리포트] 반환점 지난 ‘글로컬대학30’ 사업…‘3기 선발’ 치열한 경쟁 예고 - 한국대학신문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10개 대학이 ‘2024년 글로컬대학 본지정 대학’으로 최종 선정되면서 글로컬대학30 사업이 반환점을 지났다. 30곳 중 20곳이 선정된 글로컬대학 사업은 비수도권 대학

news.unn.net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University of Arkansas, Bachelor’s Programs

현재 아칸소 대학교는 온라인 학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인적자원개발 학사, 커뮤니케이션 학사, 영어 학사, 스페인어 학사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ghPY
 

Online Degree Programs

The University of Arkansas offers online degree programs for students seeking a bachelor's, master's, doctorate, or certain certifications.

online.uark.edu

 

K-에듀테크의 글로벌 확산 방안  

김성윤 아이포트폴리오 대표이사는 에듀테크가 K-컬처만큼 세계적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에 대학은 기업과 함께 AI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oIQq


 

[연재기획 ‘BETT show 2024, 교육 현장의 언어로 풀다’] ③K-에듀테크 수출, 우리의 과제는? - 한국

최근 영국에서 막을 내린 ‘Bett Show 2024’는 올 한 해 에듀테크 트렌드를 조망할 수 있는 자리로 평가된다. 인공지능(AI)와 결합한 글로벌 에듀테크 산업의 동향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듀테

news.unn.net

 

차별성이 돋보인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평가 결과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올해 예비지정 대학의 혁신전략은 차별성이 두드러졌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sVuh
 

대학, 지역혁신 생태계의 중심이 된다!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결과 발표

대학, 지역혁신 생태계의 중심이 된다!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결과 발표 - 대학과 지역·연구기관·산업계 벽 허물기를 고도화한 20개 혁신기획서 선정 - 구체적인 실행계획서를 평가하여 10

www.moe.go.kr

 

MIT, ‘기후환경에 대응하는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행

MIT는 ‘기후환경에 대응하는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매년 내놓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를 선보이는 MIT 지속가능성 사무실은 캠퍼스 내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을 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NTxr

 

[대학 ESG心(이심전심) 동행 시리즈 ⑦MIT대] ESG 관련 활동, MITOS 별도 기관이 전담…2050년까지 캠퍼

10조 달러를 운용하는 세계 최대 투자회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은 2020년 연례서한에서 “ESG를 실천하지 않으면 도도새처럼 멸종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환경 보호에 남다른 관심을 보이는

news.unn.net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Online courses : Study an online postgraduate degree

현재 시드니 대학교는 100% 온라인 학습으로 대학원 학위 공부가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특히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통해 사이버 보안, 데이터 과학, 데이터 분석 등에 대해 배울 수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fX2y
 

Online courses

 

www.sydney.edu.au

 

이공계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한 방안

김근태 의원은 ‘연구개발 예산 조정 이후, 국가연구 백년지대계를 논하다’ 토론회를 개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이공계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토론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AXdN
 

“이공계 인재 이탈 막으려면, 인력 양성 정책 질적 개선 필요”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과학 분야 연구개발(R&D) 예산 조정에 대응하는 과학기술 연구환경 구조 혁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국회에서 마련됐다.김근태 의원(국민의힘)은 20일 ‘R&D 예산 조

news.unn.net

 

대학혁신모델을 확산하기 위한 전략 논의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글로컬대학위원회는 ‘글로컬대학 혁신 이행 협약 및 토론회’를 개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혁신 이행 목표 선언과 대학혁신모델을 확산하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szfM
 

글로컬대학 혁신 이행 협약 및 전략 토론회(포럼) 개최

글로컬대학 혁신 이행 협약 및 전략 토론회(포럼) 개최    - 2023년 지정 글로컬대학의 혁신 비전 공유 및 대국민 혁신 이행 선언  - 글로컬대학이 제안한 혁신모델의 확산 전략 논의

www.moe.go.kr

 

세계 도시의 친환경 수요 동향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세계 도시의 친환경 미래 전략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하는데요. 특히 세계 도시 정부는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fY8t
 

POSRI 미래 메가트렌드 리서치 시리즈(3) - 세계 도시의 친환경 미래 전략

COVID19 이후, 세계 도시의 친환경 수요가 빠르게 ...

www.posri.re.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Biden-Harris Administration's Climate Resilience Summit & National Framework Release

미국 정부는 ‘국가 기후 회복력 프레임워크’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미국의 기후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nVJr
 

FACT SHEET: Biden-Harris Administration Hosts First-Ever White House Climate Resilience Summit and Releases National Climate Res

In conjunction with White House Summit on Building Climate Resilient Communities, Administration announces more than $500 million in additional investment for resilience Across the country, Americans are experiencing the devastating impacts of climate chan

www.whitehouse.gov

 

2023 대학경쟁력네트워크(UCN) 프레지던트 서밋 개최

주요 대학 총장들을 대상으로 ‘2023 대학경쟁력네트워크 프레지던트 서밋’이 개최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해외 교육혁신 성공사례와 국내 라이즈(RISE) 글로컬 추진 과정 논의를 하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Jvc
 

[2023 일반대 UCN PS] 대학 총장들의 항변 “라이즈·글로컬 교육혁신, 몰라서 못하는 게 아냐” 정

[한국대학신문 특별취재팀] ‘대학 내·외부의 벽을 허무는 혁신’과 ‘지역과 대학이 주체가 되는 지방 살리기’를 골자로 정부가 추진하는 ‘글로컬대학30’과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

news.unn.net

 

글로벌 교육플랫폼 ‘유다시티(Udacity)’ 활용 방안 공유

‘2023 글로벌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제1회 유다시티 AI 포럼’이 개최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유다시티(Udacity) 활용 방안을 공유하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AxUa
 

글로벌 교육플랫폼 ‘유다시티’ 국내 첫 AI 포럼 “인공지능과 공존하는 미래 교육과정 방향은?

[한국대학신문 주지영 기자] 챗(Chat)GPT 등장으로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는 가운데 교육계, 학계 전문가들이 모여 온라인 교육 플랫폼 유다시티(Udacity) 활용 방안과 국내 대학 도입 사

news.unn.net

 

2023 ESG 국내∙외 대학 동향

전문가들은 ESG 국내∙외 대학의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고 하는데요. 특히 대학들은 경쟁적으로 ESG 기반 경영 도입을 선언하고, ESG 맞춤형 교육과정을 실천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M8s7
 

[창간35주년 특집/ESG 국내 대학 동향] 대학 운영 트렌드로 떠오른 ESG…인재 양성, 연구, 교육과정

[한국대학신문 김한울 기자] 4차 산업혁명과 학령인구 감소 등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미래 사회를 앞두고 많은 대학들이 학교 차원에서 ESG 거버넌스 구축 및 성과 공시 등 ESG 경영에 본격적으로

news.unn.net

 

딜로이트(Deloitte) 보고서, 기후 기술의 동향 분석

딜로이트(Deloitte)는 기후 기술의 최근 동향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고위 임원의 97%가 기후변화가 회사의 전략과 경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AyIM
 

MZ세대 40% 이상이 기후문제로 이직, 딜로이트 조사

글로벌 컨설팅 기업 딜로이트(Deloitte)가 발표한 새로운 조사에 따르면, 기후변화와 지속가능성은 기업의 직원 채용 및 유지 능력에 있어 점점 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ESG투데이가 18일(현

www.impacton.net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지방대 육성을 위한 글로컬 대학

교육부는 2027년까지 비수도권에서 30곳을 선정해 대학당 연간 200억원씩 5년간 1000억원 지원하는 ‘글로컬 대학’ 사업을 운영할 계획인데요. 역대 대학재정지원사업 중 지원 규모가 가장 큰 사업으로서 어떠한 혁신을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AkHie9
 

글로컬 대학 성공하려면

선정과정 공정성· 신뢰성 확보와 선정 후 철저한 관리가 관건

www.dhnews.co.kr

 

국내 주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공헌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는데요. 조사 결과, 기업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다변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청년 대상 취창업 교육 및 지원이 증가하는 특징이 나타났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L07jo4
 

전국경제인연합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신규보고서 2022주요 기업의 사회적 가치 보고서 전경련은 경제 및 정치·사회분야에서 우리 모두가 대비해야 할 현안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정책대안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어 나가고자 이슈

www.fki.or.kr

 

MZ세대와 미래 이슈

MZ세대는 우리 사회의 주 사회적 계층으로 자리잡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향후 10년 내외에 한국 사회의 세대 교체에 따라 발생 가능한 정치, 경제, 사회, 기술적 이슈를 전망하고,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 기술을 도출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oIqJGw
 

MZ세대를 위한 미래 기술 | 미래예측브리프 | KISTEP 브리프 | 주요 사업 : KISTEP 한국과학기술기획평

KISTEP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www.kistep.re.kr

 

사회적경제와 대학의 역할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교육·인재 정책 방안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경제 조직의 인력양성에 대한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적경제 핵심리더를 양성하는 데 있어서 대학의 역할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oO7I5f
 

연구보고서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교육·인재 정책 방안 연구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교육·인재 정책 방안 연구

www.krivet.re.kr

 

AI 대학의 등장

미국의 플로리대 대학은 NVIDIA와 AI 대학을 구성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하였는데요. 전공분야에 상관없이 모든 교육과정 전반에 AI를 적용하는 첫 번째 미국 대학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NcaJ9U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과학중심 문화조성과 인재양성을 위한 현장정책 전문기관입니다.

www.kofac.re.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