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에 해당되는 글 14건

  1. 2024.09.30 [2024년 40th 미래동향] Immersive learning labs come to campus, 온라인 고등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는 사이버대, 고등교육 위기 극복 방안, 학생 이해를 위한 교수법의 방향성, 기후 위기 시대, 우리가 지켜야 할 것들 4
  2. 2023.12.11 [2023년 49th 미래동향] Microplastics could trigger cloud formation and affect the weather, new study suggests, 평생교육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과제 논의, 글로컬 대학, ‘벽 허물기’의 일환으로 무(無)전공 모집, ..
  3. 2023.10.23 [2023년 42nd 미래동향] Why Public Schools Must Bolster Civics Instruction, 평생교육 거버넌스 혁신 방안, 한국 AI 산업의 글로벌 AI 지수 분석, 청년세대의 기후변화에 대한 불안과 대응, 통계청, ‘한국의 SDG..
  4. 2023.09.04 [2023년 36th 미래동향] Climate Change Impacts Educators Should Brace For, 교육 분야의 양극화 현상, 성인친화형 대학 운영 사례 및 추진과제 연구, UNESCO issues urgent call for 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in education, 기..
  5. 2023.08.28 [2023년 35th 미래동향] ENVIRONMENTAL IMPACTS OF DIGITAL TECHNOLOGY, 교육부의 매치업(Match業) 사업 기본계획, 생성 AI가 비즈니스를 혁신하는 방법, KERIS, '맞춤배움길 배움이력 전자지갑' 서비스 오픈, 독일..
  6. 2023.06.26 [2023년 26th 미래동향] 이공계 대학생들 ‘전공 적응과 만족감’ 낮아, AI 기술의 두 얼굴에 관한 전문가 인터뷰, 평생교육에 추가된 '성인 진로교육' 정책 수립 방안, 의학 교육 학점 제공 위해 ..
  7. 2022.08.16 [2022년 30th 미래동향] 친환경‧ESG 인재 수요의 증가, AI로 기후위기를 대응하는 방법, 가짜 친환경주의, 그린워싱(Greenwashing), 세계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도시는?, 장애인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
  8. 2022.07.11 [2022년 25th 미래동향] 한국 대학교육 혁신에 필요한 것, 기후문제 해결을 위한 소셜디자이너, 그린 잡(Green job)과 ESG 자격증, 먹거리 보장을 위협하고 있는 식량 위기, 대학 등록 감소를 극복하..
  9. 2021.10.25 [2021년 42nd 교육동향] 에듀테크 플랫폼 시장의 확대, 기회의 형평성 보장을 위해 고등교육을 재설계하는 7가지 열쇠, 환경문제와 메타버스, 현대인의 문해력 실태
  10. 2021.08.30 [2021년 35th 교육동향] 성인의 시간 활용 배분과 평생학습 참여, AI가 변화시키고 있는 직업의 미래, 2021년 상반기 메타버스 트렌드, 게임을 통한 수업 참여 유도 방법, 대교협 총장 세미나 ‘MZ세..

Immersive learning labs come to campus 

최근 많은 대학 캠퍼스에서 몰입형 학습 센터를 출범시키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선택한 직업 분야에서의 직접적인 실무 경험을 제공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hly9
 

Immersive learning labs come to campus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such as AI, VR, and AR put students front-and-center in realistic learning scenarios.

www.ecampusnews.com

 

온라인 고등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는 사이버대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사이버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사이버대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맞춤 커리큘럼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lR6
 

사이버대 “차별화된 20년 원격 수업 노하우 보유…‘원대협법’ 제정으로 평생학습 시대 ‘핵

[한국대학신문 김소현 기자] 20년 이상의 원격 수업 노하우를 갖춘 사이버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등교육법 제2조 제5호에 의해 설립된 사이버대는 시·공간에 제약 없이 누구나 원격

news.unn.net

 

고등교육 위기 극복 방안   

한국사학진흥재단 새 수장으로 이하운 전 동양대 총장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고 하는데요. 히 한국사학진흥재단은 대학 지속 가능성 확보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moF
 

[파워인터뷰] 이하운 한국사학진흥재단 이사장 “정부와 지역, 대학 간 연계·협력 통해 대한민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사립학교의 진흥과 발전을 책임지는 유일한 공공기관인 한국사학진흥재단 새 수장으로 이하운 이사장이 취임했다. 이 이사장은 동양대가 문을 연 1994년부터 30여 년

news.unn.net

 

학생 이해를 위한 교수법의 방향성  

대경대 조중현 교수는 “학생과의 대화 위해서는 지금의 시대적 상황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 하였다는데요. 이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생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알아봤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x9d
 

[조중현의 4MAT 이야기] 교수 생각을 바꿔야 학생 행동이 바뀐다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

많은 대학은 방학 중에 교수들을 대상으로 교수법 연수, 상담기법 연수 등을 실시해 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생과의 관계를 조금 더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번 여름 방학 기간에도 여러 대학

news.unn.net

 

기후 위기 시대, 우리가 지켜야 할 것들 

책 ‘우리는 지구를 떠나지 않는다’는 환경과 기후위기, 인류와 비인간 존재의 공존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담은 에세이라고 하는데요. 특히 각자의 경험과 사상이 들어가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lzCM
 

비인간 존재에 자선 아닌 연결되기...자급하는 삶으로 기후 위기 대응 - 교수신문

[문화 비틀어보기_『우리는 지구를 떠나지 않는다』] 환경 이슈가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경우도 많다. 에코백이나 텀블러 등의 소비 물품으로 한정해 이해되기도 하고, 동물권에 대한 주장은 ‘

www.kyosu.net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Microplastics could trigger cloud formation and affect the weather, new study suggests

최근 과학자들은 미세 플라스틱은 구름 형성 유발과 날씨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는데요. 이는 미세 플라스틱이 지구 상의 거의 모든 측면으로 스며들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woYm
 

Microplastics could trigger cloud formation and affect the weather, new study suggests | CNN

CNN  —  Microplastics are turning up in unusual places increasingly often as they filter into nearly every facet of life on Earth. They’ve been discovered in drinking water, food, air and even in blood. Now, scientists have found that these tiny part

www.cnn.com

 

평생교육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과제 논의

대학혁신지원사업총괄협회는 ‘제13회 대학혁신지원사업 웨비나(Webinar)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대학의 평생학습,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토론이 진행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wpXk
 

[제13회 혁신 Webinar] 대학 위기, 기회로 바꾸려면 ‘평생교육’이 열쇠…“성인학습자 위한 맞춤

[한국대학신문 김한울 기자] “학령인구의 급감으로 입학 자원이 줄어들어 대학이 위기에 빠졌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이 평생교육 기관으로서 역할을 강화한다면 위기를

news.unn.net

 

글로컬 대학, ‘벽 허물기’의 일환으로 무(無)전공 모집, 융합선발 제시

이번 글로컬대학 사업에서 대다수의 대학이 ‘벽 허물기’를 통한 대학 혁신안을 제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비수도권, 수도권을 가리지 않고 무전공 선발이 확대되는 추세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fEc7
 

[본지-대교협 공동기획 ②] 학과 간 ‘벽 허물기’ 바꿀 수 없는 흐름…‘무전공 선발’의 성패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지난해 11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취임 이후 윤석열 정부의 교육개혁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시작으로 글로컬대학30, 스

news.unn.net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 개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제 5차 전체회의를 개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번 회의에서 녹색 신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se6p
 

녹색 신산업 육성을 통해 대한민국 신성장 동력을 창출한다 | 경제정책자료 | KDI 경제정보센터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11.23.(목) ’23년 제5차 전체회의를 개최하여 ①「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방안」, ②「청정메탄올 신산업 창출 추진전략」, ③「COP28 다자 이니셔티브 협력

eiec.kdi.re.kr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교육SaaS 트랙' 발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는 ‘교육SaaS 트랙’ 도입을 발표했다고 하는데요. 이는 교육 분야에서 클라우드를 활용한 디지털 인재 양성과 정보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fEYr
 

[교육용 SaaS 개발·검증 사업①] ‘추진력’ 얻는 공교육 디지털 혁신 - 아이티데일리

[아이티데일리] 최근 정부에서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기조 아래 공공부문의 핵심 인프라로 클라우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공공 서비스의 유연성·가용성·확장성을 확보하는 한

www.itdaily.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Why Public Schools Must Bolster Civics Instruction

공립학교의 교육감인 Raymond Sanchez는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교육과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하는데요. 투표 연령 증가와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투표를 억제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INcN
 

Why Public Schools Must Bolster Civics Instruction (Opinion)

Our students are among the youngest voters in the country. Are they being targeted as pawns in an illicit political game?

www.edweek.org

평생교육 거버넌스 혁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은 “평생학습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평생교육 거버넌스 혁신 방안”에 대해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평생학습 체제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fqRv
 

한국교육개발원, 평생학습체제로 전환 위한 평생교육 거버넌스 혁신 방안 제시 - 기업정책정보

한국교육개발원(KEDI, 원장 류방란)은 ‘평생학습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평생교육 거버넌스 혁신’ 보고서를 발표했다.급변하는 노동 시장 및 사회 환경은 평생학습을 통해 새로운 라이프 스킬과

www.policyfund.kr

한국 AI 산업의 글로벌 AI 지수 분석

한국경제인협회는 ‘글로벌 AI 지수’ 보고서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한국의 AI 산업 수준은 지난 4년 동안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보완이 필요한 상태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1yn
 

韓 '글로벌 AI지수' 6위…미국이 압도적 1위, 중국 2위 - ESG경제

[ESG경제=김강국 기자] 국내 인공지능(AI) 산업이 현장 인력 부족과 민간투자 부진 문제 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더,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영국의 데이터분석 미디어인 토터스인텔리전

www.esgeconomy.com

청년세대의 기후변화에 대한 불안과 대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기후변화에 대한 불안을 느끼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는 재난이나 위협의 예측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jDtm
 

청소년들 “기후변화로 재난·위협, 예측할 수 없어 불안해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보고서

www.hani.co.kr

통계청, ‘한국의 SDG 이행현황 2023’ 발표

통계청은 17개 분야를 종합적으로 조망한 「한국의 SDGs 이행현황 2023」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교육·불평등·기후·생태계 분야에서는 SDG 이행 지체 현상이 관찰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jDQt
 

통계청, ‘SDG 이행현황 2023’ 발표…위기 극복 기대

통계청은 사회·환경·경제 각 분야 지속가능성을 통계 데이터로 진단한 ‘한국의 SDG 이행보고서 2023’을 발간했다고 29일 밝혔다.통계청에 따르면 보고서는 유럽연합(UN) 회원국 만장일치로 2016~

www.dailian.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Climate Change Impacts Educators Should Brace For

지난 4월,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기후변화가 아이들의 건강 문제를 위협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하였는데요. 보고서에 따르면 그러한 건강 문제가 학습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3fw
 

Disrupted Learning and Health Woes: Climate Change Impacts Educators Should Brace For

Severe heat, flooding, storms, and diminished air quality will pose challenges that students, parents, and schools will all confront.

www.edweek.org

 

교육 분야의 양극화 현상

최근 우리 사회는 양극화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는데, 한국교육개발원의 보고에 따르면 이러한 양극화는 교육 분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는데요. 따라서 고등 및 평생교육 분야에서의 양극화에 대한 이해와 실태 분석이 시급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jtiy
 

KEDI Brief - 한국교육개발원

 

www.kedi.re.kr

 

성인친화형 대학 운영 사례 및 추진과제 연구

빠른 기술 변화로 인한 평생교육의 필요성 증대와 함께 대학이 평생교육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 또한 커지고 있어,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일터-대학 연계 기반의 성인친화형 대학 운영을 위한 관련 제도 및 법령 개정 방안을 연구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fhti
 

국가평생교육진흥원 > 자료실 > 연구 보고서

첨부파일

www.nile.or.kr

 

UNESCO issues urgent call for 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in education

최근 UNESCO는 ‘2023 글로벌 교육 모니터링 보고서’를 발표하였는데요. UNESCO는 보고서를 통해 교육 기술 도입 전 정책 입안자들과 교육 이해관계자들이 숙고해야 할 네 가지 질문을 제안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Sfk
 

Four questions to ask before choosing technology in education

But our focus must remain on the most marginalized as we inves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any students relied upon technology to continue learning. But, while many managed to remain connected, one third of learners were left out, rising to over two-t

www.unesco.org

 

기후행동을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 11가지

기후위기가 가속화됨에 따라 기후행동이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최근 GreenBiz는 조직이 기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 11개를 소개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fh8F
 

기후변화와 넷제로 전략 어디서 배울까...11개 교육 프로그램 소개 - IMPACT ON(임팩트온)

모범 사례와 과학 기반 전략을 개발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조직이 기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 11개를 그린비즈가 22일(현지시각) 소개했다.교육 사이트는 크게 두 종류

www.impacton.net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ENVIRONMENTAL IMPACTS OF DIGITAL TECHNOLOGY

THE SHIFT PROJECT는 올초 디지털 기술 부문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요.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부문은 지속 불가능한 추세이기 때문에, 디지털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1US
 

Environmental impacts of digital technology - The Shift Project

How can we make the digital sector compatible with a 2°C emissions pathway? Which debates merit serious attention, and which players should be put in motion to work towards a resilient digital environment?

theshiftproject.org

 

교육부의 매치업(Match業) 사업 기본계획

디지털 대전환 시대가 도래하며 산업 맞춤형 직무능력 향상 교육 지원이 점점 더 필요해지고 있는데요. 이에 교육부는 대표기업과 교육기관이 협업하여 신산업‧신기술 분야의 직무능력 향상을 지원하는 '매치업(Match業)'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P7Q
 

2023년 매치업(Match業) 사업 기본계획

2023년 매치업(Match業) 사업 기본계획을 붙임과 같이 안내합니다.  붙임 : 2023년 매치업 사업 기본계획 1부.  끝.

www.moe.go.kr

 

생성 AI가 비즈니스를 혁신하는 방법

생성 AI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뜨거운데요. LG경영연구원은 생성 AI가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에서 혁신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지만, 도입과 활용에 있어 다각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조언하였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ffWQ

 

KERIS, '맞춤배움길 배움이력 전자지갑' 서비스 오픈

지난 6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원격대학의 학습이력을 조회·관리할 수 있는 ‘맞춤배움길 배움이력 전자지갑’ 서비스를 공개하였는데요. 편의성에 더해 맞춤형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2OU
 

KERIS, 20개 원격대학 배움이력 전자지갑 서비스 오픈 - 천지일보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20개 원격대학의 졸업생 및 재학 중인 학습자가 학습이력을 조회·관리할 수 있는 ‘맞춤배움길 배움이력 전자지갑’ 서비스를 21일 공개했

www.newscj.com

 

독일의 시민대학

독일의 시민대학은 평생교육을 실현하는 보편적인 공적 교육기관 중 하나인데요. 독일 Baden-Württemberg 주 교육부는 ‘혁신 자극’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대학의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QFN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이공계 대학생들 ‘전공 적응과 만족감’ 낮아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공계 대학생들의 상당수가 자신의 전공에 부적응하고 만족감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인재 확보도 중요하지만 인재들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이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jhWe
 

보도자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이공계 대학생, 전공 적응과 만족감 낮다”

...

www.krivet.re.kr

 

AI 기술의 두 얼굴에 관한 전문가 인터뷰

한겨레는 AI 분야 관련 석학 네명을 서면으로 인터뷰하였는데요. 그들은 공통적으로 AI가 머지 않은 미래에 위험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Suh
 

“AI는 무엇도 책임지지 않는다”…인간의 고삐 시급한 이유

[챗지피티 6개월-AI의 두얼굴] 석학 4명 인터뷰 해악이 이익 넘어설 가능성…윤리적·법적·정책적 문제 만연

www.hani.co.kr

 

평생교육에 추가된 '성인 진로교육' 정책 수립 방안

평생교육의 범위에 ‘성인 진로교육’을 추가하는 ‘평생교육법’ 일부개정안이 의결되었는데요. 이에 따라 성인들 또한 이제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진로정보 제공, 진로체험 및 취업지원 등 ‘성인 진로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Gzq
 

‘평생교육법’ 개정안 국회 통과…성인 진로교육 근거 마련

앞으로 평생교육의 범위에 성인 진로교육이 추가된다. 또 대학, 평생교육기관, 국가 및 지역 진로교육센터에서 성인 진로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 교육부는 지난 25일 국회 본회

www.korea.kr

 

의학 교육 학점 제공 위해 유튜브와 협력하는 하버드대

임상의들은 자격증과 지식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 의학 교육 학점을 이수해야 하는데요. 유튜브와 하버드 대학은 의료계 최초로 유튜브 동영상 시청을 통해 지속적 의학 교육 학점을 얻을 수 있는 협약을 체결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z4Lh
 

YouTube And Harvard Team Up To Give Doctors Continuing Ed Credits

In a first for the medical profession, doctors seeking to keep their licenses and expertise up to date can complete the credits they need through one of the most popular social media platforms on the planet.

www.forbes.com

 

'불법복제 천국' 된 대학가

대학가에서는 전공교재를 스캔한 뒤 이를 불법 파일로 판매하는 사례가 성행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종이책보다 전자 문서가 활성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높은 물가 인상도 불법 복제의 원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rGKc
 

"4만원 교재를 4000원에"..'불법복제 천국' 된 대학가

“불법 복제물이 새책 가격의 10% 정도라서 어쩔 수 없이 (불법복제 파일을) 구입했어요.”이화여대에 재학 중인 A씨는 최근 전공교재의 불법 복제 파일을 4000원에 구입했다. 전공교재 가격은 한

www.edaily.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친환경‧ESG 인재 수요의 증가

ESG 열풍과 함께 ESG 인재 수요가 늘고 있는데요. 올해 ESG 인재 채용은 가장 많은 구직 수요를 보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늘어나는 수요에 비해 ESG 인재와 양성 기관은 부족하여 ESG 인재 양성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PUj4gS
 

"구인! ESG 인재"…2022년 가장 뜨거운 채용 분야로

일명 '그린칼라 인재'로 불리는 ESG 인재 채용은 2022년 가장 뜨겁고 가장 많은 구직 수요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2년 사이 50% 이상의 대기업이 관련 정규직 채용 직위를 늘려가며 해마다 증가 추세

news.g-enews.com

 

AI로 기후위기를 대응하는 방법

최근 열린 GreenBiz 연례회의에서는 금융 분야 발전 방안으로 AI와 같은 기술 활용이 논의되었는데요. 민간 위성업체인 Planet Labs의 CFO는 AI 기반 데이터가 기후위기를 고려한 투자 결정을 도울 것이라고 예측하였다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zC8zIk
 

AI·데이터 + 금융, 새로운 기후 위기 해결책 모색한다 - IMPACT ON(임팩트온)

그린비즈(GreenBiz) 주최 연례회의인 그린핀 22(GreenFin 22)가 뉴욕에서 지난 6월 28~9일(현지시각) 열렸다. 지속가능성, 금융, 투자 분야를 이끄는 전 세계 기업, 정부, 학계 전문가들이 모여 최근 ESG와

www.impacton.net

 

가짜 친환경주의, 그린워싱(Greenwashing)

ESG경영 열풍이 불며 ‘그린워싱(Greenwashing)’도 늘고 있는데요. 그린워싱이란 실제로는 친환경적이지 않지만 겉으로만 친환경임을 표방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그린워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규제 형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BOjPUp
 

겉으로만 친환경 표방… ESG 허위·과장 ‘그린워싱’ 경계하라 - 중소기업뉴스

기업에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 열풍이 불며 ‘그린워싱(greenwashing)’도 늘어나고 있다. 그린워싱은 녹색(Green)과 세탁(Washing)의 합성어다. 국제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ESG 성과를 ...

www.kbiznews.co.kr

 

세계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도시는?

도시는 수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으므로 지속가능한 발전이 필수인데요. Corporate Knights가 글로벌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평가하기 위해 세계 최초의 크라우드 소싱(Crowd-sourcing) 기반 ‘지속가능한 도시 지수’를 개발하였다고 하여 주목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Abhpht
 

Sustainable Cities Index Report Card | Corporate Knights

A Corporate Knights report on 50 global cities based on air quality, climate emissions, and other sustainability measures.

www.corporateknights.com

 

장애인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개선과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비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율과 비교해 낮다고 하는데요. 장애인 평생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여 주목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BVOC1N
 

국회입법조사처

주 제 : 사회문화조사실 > 교육문화팀 > 평생교육 분 류 : NARS 현안분석

www.nars.g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한국 대학교육 혁신에 필요한 것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교수들에게 세계 각국의 고등교육 혁신 사례를 소개하고 우리나라에 필요한 모델은 무엇인지를 물어보았는데요. 그 결과, 싱가포르의 평생교육시스템인 Skillsfuture가 Minerva School, école 42를 제치고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bCN01F
 

미네르바 스쿨보다 ‘평생교육’을 혁신모델로 꼽아 - 교수신문

[창간 30주년 설문조사_혁신대학과 차기 정부 최우선 고등교육 과제] 이 진행한 ‘대학의 미래’ 설문조사에서 교수들은 대학의 혁신이 필요하지만, 우리나라 대학에 적용하기엔 규제가 많다고

www.kyosu.net

 

기후문제 해결을 위한 소셜디자이너

‘소셜디자이너’란 사회를 디자인하는 사람, 즉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사람을 뜻하는데요. 기후위기를 맞이하는 매 순간에도 사회 곳곳에서 문제에 지속적으로 괸심을 두며 해결하고자 하는 소셜디자이너들이 있다고 하여 주목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OXftxK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세계 시민

우리가 할 수 있는 기후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생활에서 기후인식을 함께 나누는 것 아닐까요? 기후인식을 나누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www.makehope.org

 

그린 잡(Green job)과 ESG 자격증

탄소중립 시대가 열리면서 지속가능성, 친환경과 연관된 ‘그린 잡(Green job)’이 전 세계적으로 부상하고 있는데요. 다양한 양태로 갈수록 확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관련 자격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전문직도 늘어나는 추세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AyJRua
 

'그린 잡' 잡으러 ESG 자격증 따볼까 - IMPACT ON(임팩트온)

탄소중립의 시대가 열리면서 새로운 직종의 일자리가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다.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거나 친환경적 생산과정에서 파생된 환경 보존 및 회복에 연관된 \'그린 잡(Green j

www.impacton.net

 

먹거리 보장을 위협하고 있는 식량 위기

‘한국의 SDGs 이행현황 2022’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식량안보는 곡물자급률의 저하로 위기라 할 수 있으며, 계층간 영양섭취비율도 확대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삶의 질 향상과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양질의 먹거리 보장에도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겠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nFqBnk
 

무너진 곡물자급률 20%…식량안보 '빨간불'

▲우크라이나 키이우 외곽 옥수수밭에 우크라이나군과의 전투 중 파괴된 러시아군 차량이 버려져 있다. (키이우=AP/뉴시스)우리나라 곡물자급률이 20%

www.etoday.co.kr

 

대학 등록 감소를 극복하기 위한 솔루션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등록 학생 수 또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전략을 개발하면 기존의 학습자를 유지하고 새로운 학습자를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P23Wxm
 

Colleges can steer away from higher ed's demographic cliff

Analytics can help institutions find untapped sources of students, argues an entrepreneurship professor and president of enrollment software firm Othot.

www.highereddive.com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에듀테크 플랫폼 시장의 확대

디지털 경쟁 속에서 에듀테크(Edutech) 시장이 나날이 확대되고 있는데요, 이에 네이버는 교육 플랫폼 ‘웨일 스페이스’를 구축하고 정부 부처와 협약을 맺어 앞으로의 비대면 교육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의지를 비쳤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mOUVuT
 

에듀테크 힘주는 네이버...교육 플랫폼 '웨일 스페이스' 전국 진출 '속도' - 테크M

네이버가 전국 8곳의 시도 교육청과 업무협약을 체결, 교육 플랫폼 \'웨일 스페이스\' 적용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팽창한 비대면 교육시장

www.techm.kr

 

기회의 형평성 보장을 위해 고등교육을 재설계하는 7가지 열쇠

교육은 평등을 위한 수단 중 하나이지만 그 기회가 모두에게 제공되고 있지는 않은데요, 이에 텍사스 대학의 한 교수는 교육 기회의 형평성 보장을 위해 고등교육을 재설계한다면 고려해야 할 7가지 측면을 제시하였네요.

지금까지 캠퍼스란 커뮤니티와 정체성을 중심으로 구축된 물리적 공간의 개념이었는데요, 기회의 형평성 보장을 위해 고등교육을 재설계한다면 앞으로는 물리적 공간이 아닌 학생과 교수진이 중심이 되는 스마트 네트워크와 플랫폼을 연계해야 진정으로 연결된 캠퍼스라고 할 수 있다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mRS1p0
 

7 Keys to Re-Envisioning Higher Ed to Ensure Equity of Opportunity

It’s often remarked that talent is found uniformly across all demographics but that the opportunity to engage, develop, and use that talent is not. Education, similarly, is described as the great equalizer and yet the opportunity to even access education

www.fierceeducation.com

 

환경문제와 메타버스

메타버스로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고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는데요, 그중 기후테크 기업 엔더블유케이는 탄소중립에 적극 기여하기 위해 메타버스 탄소모니터링 에너지 생태계 ‘HOOXI Planet’을 구축한다고 하여 귀추가 주목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mTVq70
 

엔더블유케이, 메타버스 에너지생태계 구축

[세계비즈=박보라 기자] 주식회사 엔더블유케이가 자회사 후시파트너스와 함께 메타버스 탄소모니터링 에너지 생태계 ‘HOOXI Planet’을 구축, 개인이 가상세계 안에서 다양한 온실가스감축 활동

www.segyebiz.com

 

현대인의 문해력 실태

현대인의 문해력 수준이 갈수록 저하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현재 대학생 대부분은 복잡한 구조의 문장 해독이나 논지를 펼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p0gQC5
 

"대학 와서 글쓰기 배우는 학생들"...대학생 문해력 저하 '심각' - 대학저널

[대학저널 황혜원 기자] 학생들의 문해력이 날로 저하되고 있는 가운데, 각 대학들이 ‘독서’, ‘글쓰기’ 등의 수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지난 9일 제574주년 한글날을 맞았다. 한글의 뛰어난 가

www.dhnews.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성인의 시간 활용 배분과 평생학습 참여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상당수가 평생학습 참여를 희망하지만 일, 가사, 돌봄 등 정형화된 성인 역할 수행으로 인해 자율시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gaT4OG
 

KRIVET Issue Brief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성인의 시간 활용 배분과 평생학습 참여

 

www.krivet.re.kr

 

AI가 변화시키고 있는 직업의 미래

AI가 직업의 미래를 변화시켜나가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램브란트의 대표작 ‘아경’이 AI기술을 통해 복원됐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iUCEvs
 

램브란트의 대표작, AI 기술로 되살렸다

네덜란드 거장의 예술작품이 인공지능(AI) 기술로 새롭게 복원됐다. 램브란트 반 레인의 대표작 ‘야경’(The Night Watch)이 AI 기술을 통해 원래 크기...

zdnet.co.kr

2021년 상반기 메타버스 트렌드

올해 상반기, 비대면 트렌드에 힘입어 메타버스가 큰 화두로 떠올랐는데요,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사례를 통해 메타버스의 접목을 시도해나가고 있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2WlAig7

 

게임을 통한 수업 참여 유도 방법

수업에 게임 요소를 접목시키면 학습 동기 강화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요, 디지털 배지와 보상 제공, 게임진행의 가시화, 리더 보드를 향한 경쟁의식 함양 등이 방법론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2WeIG1D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KERIS 발간물 - 교육ㆍ학술 동향 - 디지털교육 글로벌 동향

내용 ■ 자료 출처 : 보고서 각주에 제시된 사이트 및 삽화 출처 ■ 본 자료에서 제시된 의견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리포트에서 제시되

www.keris.or.kr

대교협 총장 세미나 ‘MZ세대의 이해와 대학 교육’

대교협 총장 세미나에서 ‘MZ세대의 이해와 대학 교육’을 논의했는데요, MZ세대 교육방향으로 ‘디지털화, 공감, 실용성, 효율성’ 등을 키워드로 한 교육과정, 교수방법 설계가 강조됐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zkPOYj
 

“대학 생존 위해 MZ세대 이해해야” - 대학저널

[대학저널 백두산 기자]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고등교육이 나아갈 길을 논의하는 자리가 열렸다. MZ세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등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이어 학생들이 경험한 코

www.dhnews.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