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9th 미래동향] Indiana Public Universities to ‘Voluntarily’ End 19% of Degrees, 한국 교육의 재설계가 필요한 이유, AI 인재, 왜 한국을 떠나는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고등교육의 전략, 핵심역량 체화 교육의 방향
미래동향 2025. 7. 28. 09:00Indiana Public Universities to ‘Voluntarily’ End 19% of Degrees
인디애나주 고등교육위원회는 인디애나주의 주립대학들이 전체 학위과정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400여개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폐지하거나 통합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2025년부터 시행되는 신규 법률을 앞두고 이루어진 선제적 조치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DNZ0
Ind. Public Universities “Voluntarily” Ending 19% of Degrees
Ahead of a new law setting a minimum number of graduates for academic programs, institutions have vowed to cut or merge more than 400 undergraduate and graduate degrees.
www.insidehighered.com
한국 교육의 재설계가 필요한 이유
강순전 명지대 철학과 교수는 대학지성 In&Out에 ‘대학 서열화 너머의 교육-이념과 실제’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한국에서 직업 배분을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대학과 대학원 교육이 아니라, 학벌을 결정하는 대학 입시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hVGb
대학 서열화 너머의 교육 ― 이념과 실제 - 대학지성 In&Out
집 앞의 5층짜리 신축 건물에 네 개 층이 학원으로 채워졌다. 요즘 같은 불경기에도 학원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내 자식만 뒤처질까 봐 빠듯한 살림살이에도 학원비를 줄이
www.unipress.co.kr
AI 인재, 왜 한국을 떠나는가
한국대학신문에 따르면, 세계 각국은 AI 개발을 국가 전략 과제로 설정하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중에서도 가장 중점을 두는 분야는 ‘인재 양성’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bBYxJ
[AI 인재 전쟁①] AI는 있는데, 사람은 없다… 기술패권 전쟁 속 흔들리는 한국 두뇌 - 한국대학신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인공지능(AI)은 국가 경제를 넘어 사회 시스템 전반을 좌우하는 전략 자산이 됐다. 초기에는 자동차, 휴대전화 등 소비재에 AI를 적용한 ‘피지컬 AI’가 주목받았지
news.unn.net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고등교육의 전략
김명환 서울대 명예교수는 대학지성 In&Out에 ‘인류와 대한민국의 위기에 맞서는 고등교육 개혁’이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복합적인 위기 내지 도전에 대한 올바르고 효과적 대응은 우리 고등교육 생태계의 혁신과 직결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1RX
인류와 대한민국의 위기에 맞서는 고등교육 개혁 - 대학지성 In&Out
작년 2024년 12월 3일의 느닷없는 불법 비상계엄을 국회가 곧바로 해제함으로써 시작된 내란 진압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과정에서 여러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2025년 6월 4일 이재명 대통령의 탄
www.unipress.co.kr
핵심역량 체화 교육의 방향
민경찬 연세대 명예교수는 대학지성 In&Out에 ‘역량이 실제로 체화되고 있는가?’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태재대와 미국 미네르바대는 핵심역량 중심 교육을 통해 역량을 실질적으로 체화시키는 대학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bBZLS
역량이 실제로 체화되고 있는가? - 대학지성 In&Out
오늘 우리의 일상을 돌아보자. 정치권의 모습, 사회의 각종 사건과 사고, 기술패권 경쟁, 기후변화 등은 우리의 마음을 무겁게 하고 종종 혼란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는
www.unipres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