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동향'에 해당되는 글 514건

  1. 2025.07.28 [2025년 29th 미래동향] Indiana Public Universities to ‘Voluntarily’ End 19% of Degrees, 한국 교육의 재설계가 필요한 이유, AI 인재, 왜 한국을 떠나는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고등교육의 전략, 핵심역량 체화 교육의 방향 3
  2. 2025.07.21 [2025년 28th 미래동향] ESG 교육의 다층적 접근, 미래를 위한 고등교육 설계도, 고등교육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과제, 한국형 AI 교육모델 만들기, 재생에너지로 본 AI 산업의 미래 1
  3. 2025.07.14 [2025년 27th 미래동향] Higher Ed ‘Re-Norming’ With Tech, 평생학습으로 연결되는 도시, 고등교육 재정 구조는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학문 생태계 회복과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 ‘문제 발견’의 심리학 3
  4. 2025.07.07 [2025년 26th 미래동향] Nondegree Credentials Yield Mixed Outcomes, 연구중심대학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 RISE 2.0 체계 전면 재설계 방안, 무전공 입학제의 전략적 재정립, 탄소중립 전략의 필요성 4
  5. 2025.06.30 [2025년 25th 미래동향] Despite cost barriers, many have confidence in higher ed, 사립대학 재정난 해소를 위한 국가 재정지원 전략, 제3의 길을 찾는 대학, 수요자 중심 고등교육 정책의 진화, 온실가스 감축 예산의 실효성 논란 3
  6. 2025.06.23 [2025년 24th 미래동향] Just 1 in 10 higher-ed faculty feel equipped to make digital content accessible, 지역균형 고등교육 개혁의 새로운 패러다임, 2030 소멸시계 앞의 한국 대학, 대학에서 시작하는 교육혁명, 한국 에너지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 2
  7. 2025.06.16 [2025년 23rd 미래동향] 10 ways to support nontraditional students on your campus, 교육 대전환의 열쇠, 고등교육계 대변혁 예고, K-소프트파워에서 K-고등교육으로, 기후소송의 새로운 전환점 3
  8. 2025.06.09 [2025년 22nd 미래동향] 6 aspects of today’s student experience in higher ed, 공영형 사학 정책의 실패 분석, 하버드대 유학생 등록 제한 조치의 파장
  9. 2025.06.02 [2025년 21st 미래동향] How AI is changing course development in higher ed, 사립대학 법인 운영의 민낯, 고등교육을 바라보는 세 후보의 시선, 한국 고등교육의 현주소와 과제, 기후위기와 AI 산업의 두 얼굴 3
  10. 2025.05.26 [2025년 20th 미래동향] How 4 institutions use AI to transform education, 대학의 역할 전환을 위한 조건, 대학 행정의 학문적 탐구가 필요한 이유, 대학 글쓰기 수업의 새로운 변화, 정치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난 기후위기 2

Indiana Public Universities to ‘Voluntarily’ End 19% of Degrees

인디애나주 고등교육위원회는 인디애나주의 주립대학들이 전체 학위과정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400여개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폐지하거나 통합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2025년부터 시행되는 신규 법률을 앞두고 이루어진 선제적 조치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dDNZ0
 

Ind. Public Universities “Voluntarily” Ending 19% of Degrees

Ahead of a new law setting a minimum number of graduates for academic programs, institutions have vowed to cut or merge more than 400 undergraduate and graduate degrees.

www.insidehighered.com

 

한국 교육의 재설계가 필요한 이유  

강순전 명지대 철학과 교수는 대학지성 In&Out에 ‘대학 서열화 너머의 교육-이념과 실제’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한국에서 직업 배분을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대학과 대학원 교육이 아니라, 학벌을 결정하는 대학 입시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hVGb
 

대학 서열화 너머의 교육 ― 이념과 실제 - 대학지성 In&Out

집 앞의 5층짜리 신축 건물에 네 개 층이 학원으로 채워졌다. 요즘 같은 불경기에도 학원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내 자식만 뒤처질까 봐 빠듯한 살림살이에도 학원비를 줄이

www.unipress.co.kr

 

AI 인재, 왜 한국을 떠나는가

한국대학신문에 따르면, 세계 각국은 AI 개발을 국가 전략 과제로 설정하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중에서도 가장 중점을 두는 분야는 ‘인재 양성’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bBYxJ
 

[AI 인재 전쟁①] AI는 있는데, 사람은 없다… 기술패권 전쟁 속 흔들리는 한국 두뇌 - 한국대학신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인공지능(AI)은 국가 경제를 넘어 사회 시스템 전반을 좌우하는 전략 자산이 됐다. 초기에는 자동차, 휴대전화 등 소비재에 AI를 적용한 ‘피지컬 AI’가 주목받았지

news.unn.net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고등교육의 전략

김명환 서울대 명예교수는 대학지성 In&Out에 ‘인류와 대한민국의 위기에 맞서는 고등교육 개혁’이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복합적인 위기 내지 도전에 대한 올바르고 효과적 대응은 우리 고등교육 생태계의 혁신과 직결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1RX

 

인류와 대한민국의 위기에 맞서는 고등교육 개혁 - 대학지성 In&Out

작년 2024년 12월 3일의 느닷없는 불법 비상계엄을 국회가 곧바로 해제함으로써 시작된 내란 진압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과정에서 여러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2025년 6월 4일 이재명 대통령의 탄

www.unipress.co.kr

 

핵심역량 체화 교육의 방향

민경찬 연세대 명예교수는 대학지성 In&Out에 ‘역량이 실제로 체화되고 있는가?’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태재대와 미국 미네르바대는 핵심역량 중심 교육을 통해 역량을 실질적으로 체화시키는 대학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bBZLS
 

역량이 실제로 체화되고 있는가? - 대학지성 In&Out

오늘 우리의 일상을 돌아보자. 정치권의 모습, 사회의 각종 사건과 사고, 기술패권 경쟁, 기후변화 등은 우리의 마음을 무겁게 하고 종종 혼란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는

www.unipress.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ESG 교육의 다층적 접근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에 따르면, 영국은 기후변화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에 교육 분야에서도 환경·사회·거버넌스(ESG) 가치를 반영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왔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영국의 ESG 교육정책 현황

 

미래를 위한 고등교육 설계도

한국대학신문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의 고등교육 개혁은 개별 공약을 넘어 고등교육의 구조 자체를 바꾸려는 의도가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핵심 키워드는 ‘국가 책임’과 ‘공공 기반 위의 자율성’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WBs
 

[李정부 고등교육 정책 전망 (최종)] 진짜 고등교육, 새 판 짠다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이재명 정부의 고등교육 개혁은 조각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전체 그림\'이다. 지난 다섯 회차에 걸쳐 살펴본 주요 정책들을 한 자리에 펼쳐 보면, 단순한 개별

news.unn.net

 

고등교육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과제  

전국교수노동조합이 지난 7월 2일 국회 교육위원회를 통과한 '사립대학 구조개선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두고 '먹튀 사학해산법'이라며 강하게 비판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이 법안에 포함된 ‘해산장려금(정리금)’ 조항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DNwp

 

교수단체, ‘사립대 구조개선법’ 졸속 입법 … 재검토 촉구 - 대학지성 In&Out

전국교수노동조합(교수노조)이 지난 7월 2일 국회 교육위원회를 통과한 \'사립대학 구조개선 지원에 관한 법률안\'(사립대 구조개선법)을 두고 \'먹튀 사학해산법\'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교수

www.unipress.co.kr

 

한국형 AI 교육모델 만들기  

교수신문 ‘새 정부에 제안하는 대학정책’ 시리즈의 여섯 번째 글로, 박정원 한국외대 중국언어문화학부 교수의 칼럼이 게재되었다고 하는데요. 해당 칼럼의 제목은 ‘AI 시대를 선도할 대학교육 모델 창출과 확산 전략’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Vun
 

AI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유능한 운전자를 키워 내려면 - 교수신문

[새 정부에 제안하는 대학정책⑥ AI 시대를 선도할 대학교육 모델 창출 전략] AI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시대다. 대학과 정부는 전공을 심화·확장하는 AI 융합교육 모델 개발, 교수자 AI 활용 역

www.kyosu.net

 

재생에너지로 본 AI 산업의 미래

6월 18일 오후,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인공지능 혁신성장을 위한 에너지 정책 방향 토론회’가 개최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날 토론회는 AI와 반도체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한국의 에너지 전환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XPtv
 

재생에너지론 AI·반도체 안 된다고?…“재생에너지 없인 안 된다”

“AI(인공지능)가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될 것이다. 이것은 피할 수 없는 미래다. 그러나 어떤 에너지를 어떻게 생산해 가져올 것인지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다.” 지난해 노벨경제학상을 거머쥔

www.khan.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Higher Ed ‘Re-Norming’ With Tech

Tyton Partners의 새로운 데이터에 따르면, 생성형 AI 도구의 사용은 확산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고등교육의 학생과 교수진은 여전히 대면 수업, 사람 중심의 지원, 역량 기반 학습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cXIwh
 

65 Percent of Students Use Gen AI Chat Bot Weekly

New data from Tyton Partners shows that despite students’ embrace of generative AI, most far prefer human-centered support and skills-based learning.

www.insidehighered.com

 

평생학습으로 연결되는 도시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2025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의 평생학습도시 선정 결과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신규로 선정된 3개 기초지자체는 경남 사천시, 경북 고령군, 대전 중구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102990

 

고등교육 재정 구조는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한국대학신문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대학이 스스로 혁신하고 지역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그 전제가 ‘재정 안정성’이라고 보았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재정 안정성은 이제부터 국가의 책임이라는 선언을 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bBPBw
 

[李정부 고등교육 정책 전망 ⑤] 대학 재정 국가가 책임진다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고등교육 재정은 한국 대학 문제의 ‘그늘이자 해답’이다. 재정이 없으면 자율도, 공공성도, 경쟁력도 존재할 수 없다. 하지만 그간의 정부 정책은 고등교육 재정

news.unn.net

 

학문 생태계 회복과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

교수신문에 ‘새 정부에 제안하는 대학정책’ 시리즈의 다섯 번째 글이 게재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번 글은 안상준 국립경국대 사학과 교수의 ‘학문 생태계 회복과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이라는 칼럼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R1m

 

경제성장만으로 공동체를 지킬 수 없다…균형 잡힌 학술정책 세우고 선진화 이뤄야 - 교수신문

[새 정부에 제안하는 대학정책⑤ 안상준] 인문·사회·예술체육·기초과학·공학·의학 등 6개 학문 분야에서 균형 잡힌 발전을 이룰 때 융합 학문과 첨단 기술도 성장이 가능할 것이다. 의학·공

www.kyosu.net

 

‘문제 발견’의 심리학 

서강대 심리학과 장재윤 교수는 대학지성 In&Out에 ‘창의성의 요체는 ‘문제 발견’이다’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문제 발견은 단순한 방법론이라기보다는 관점의 변화 또는 메타인지 능력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24
 

창의성의 요체는 ‘문제 발견’이다 - 대학지성 In&Out

오레곤대학교 심리학자 버크만(Berkman)은 2020년 기고문에서 현대 심리학자들이 연구 주제 선정에 있어 ‘문제 발견’ 의식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연구자들이 미지의 영역을 새롭게 찾기

www.unipress.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Nondegree Credentials Yield Mixed Outcomes 

미국기업연구소(AEI)와 버닝글래스연구소는 비학위 프로그램 23,000여 개를 분석하여 이들이 학습자의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평가하였다고 하는데요. 현재 미국 내 자격증 종류는 110만 개 이상으로 1년 사이 10% 증가한 수치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VLE5
 

Nondegree Credentials Yield Mixed Outcomes

The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and Burning Glass Institute analyzed upward of 23,000 nondegree programs to see how well they meet learners’ goals.

www.insidehighered.com

 

연구중심대학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는 교수신문에 ‘새 정부에 제안하는 대학정책’ 시리즈를 연재하였다고 하는데요. 그 세번째 글로 김유경 사교련 자문위원의 ‘초격차대학 육성을 위한 국제기준 수립 전략’이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DC9I
 

연구중심대학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대학원생 비중보다 ‘교육’ 내실화부터 - 교수신문

[새 정부에 제안하는 대학정책③] 미국의 저명한 연구중심대학도 학부교육에 많은 자원과 노력을 투여하고 있다. 교수:학생 비율, 20인 이하 소규모 학급의 비율, 입학 후 4년 내 졸업 비율 등이

www.kyosu.net

 

RISE 2.0 체계 전면 재설계 방안 

한국대학신문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의 지방대학 문제 해결 수단은 ‘RISE 체계의 전면 재설계’라고 하는데요. 이는 새로운 방향으로 업그레이드한 ’RISE 2.0’을 통해, 지방대학을 국가균형 발전의 거점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hI54
 

[李정부 고등교육 정책 전망 ④] RISE 전면 재설계, 지방대학 중심의 국가전략 구축 나선다 - 한국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지방대학은 오랫동안 인구 감소와 수도권 쏠림 현상의 피해자로 남아 있었다. 재정 악화, 인재 유출, 학과 축소와 폐과는 지방대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사회의 쇠

news.unn.net

 

무전공 입학제의 전략적 재정립

권정현 국립군산대 교육학과 교수는 ‘새로운 정권에서의 무전공 입학제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라는 칼럼을 대학지성 In&Out에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현재 많은 대학들이 무전공 입학제를 자율전공 또는 자유전공의 명칭으로 학생을 모집하여 운영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O23

 

새로운 정권에서의 무전공 입학제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 대학지성 In&Out

대한민국의 고등교육은 학령인구 감소, 산업 구조의 급변, 학문 간 경계 해체라는 삼중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전 정권은 대학의 혁신과 학생 선택권 확대를 목표로 무전공

www.unipress.co.kr

 

탄소중립 전략의 필요성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경향신문에 ‘국가 AI 전략에 탄소중립 DNA를 심자’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현재 우리가 직면한 기후변화의 양상은 과학자들이 제시한 가장 나쁜 미래 시나리오보다 더 빠르고 강력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DFAS
 

[정수종의 기후변화 이야기]국가 AI 전략에 탄소중립 DNA를 심자

인공지능(AI)의 열기가 뜨겁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고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키워드인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과학자로서 국가의 미래 성장을 위한 최우선 가치로 과학기술이 전면에 등장

www.khan.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Despite cost barriers, many have confidence in higher ed 

루미나 재단과 갤럽은 ‘2025 고등교육 현황’ 연구를 공동으로 실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미국 성인 중 학위나 자격증이 없는 사람들도 여전히 고등교육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며 경력 성공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VImb

 

Despite cost barriers, many have confidence in higher ed

U.S. adults without degrees or credentials still believe that education beyond high school is valuable and essential for career success.

www.ecampusnews.com

 

사립대학 재정난 해소를 위한 국가 재정지원 전략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는 교수신문에 ‘새 정부에 제안하는 대학정책’ 시리즈를 연재하였다고 하는데요. 두번째 글로 ‘기본에 충실한 대학 만들기: 고등교육 재정지원 재구조화 전략’이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hDWN
 

라이즈 2조, ‘대학 운영비 보조금’으로 전환…사립대 공적지원 확대 효과 - 교수신문

[새 정부에 제안하는 대학정책② 고등교육 재정지원 재구조화 전략] 국공립대학과 달리 사립대학은 학교법인이 설치·운영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국공립대학 수준의 국가 재정지원을 기대하기

www.kyosu.net

 

제3의 길을 찾는 대학 

이재명 정부는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공공성은 새로운 체계로 강화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특히 ‘대학 자율성 확대’는 지역, 산업, 학문별로 특화된 대학들이 공존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Kpo
 

[李정부 고등교육 정책 전망 ③] ‘국가 책임 대학 체제’의 밑그림 그리다 - 한국대학신문 - 411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교육부가 대학을 통제하는 시대는 끝나야 합니다.”이재명 정부가 꿈꾸는 고등교육의 미래는 분명하다. 대학의 자율성은 최대한 보장하고, 공공성은 새로운 체계

news.unn.net

 

수요자 중심 고등교육 정책의 진화

이상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대학지성 In&Out에 ‘수요자 중심 대학교육 혁신의 종착지는 어디인가’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대학교육 변화의 핵심은 수요자 중심 맞춤형 교육의 시행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hFYG

 

수요자 중심 대학교육 혁신의 종착지는 어디인가 - 대학지성 In&Out

한국 대학교에서 강조되고 있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은 학습자, 산업계, 사회 등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교육 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과거 공급자 중심의 교육,

www.unipress.co.kr

 

온실가스 감축 예산의 실효성 논란 

기후재정포럼(2020재단·녹색전환연구소)과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는 6월 9일 기자 간담회를 열고 ‘새 정부 기후재정 방향 제안’을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현재 한국의 기후재정은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 실정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lqUw
 

말뿐인 기후재정, 5년 단위 국가계획으로 실효성 높여야

“예산 없는 기후정책은 없다.”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 새 정부의 기후정책에 관심이 쏠려있는 가운데 기후재정포럼(2020재단·녹색전환연구소)과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는 지난 9일 기자 간담회

www.hani.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Just 1 in 10 higher-ed faculty feel equipped to make digital content accessible

미국 고등교육 교수진 중 10%만이 디지털 콘텐츠의 접근성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도구와 훈련을 갖췄다고 느낀다는 새로운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하는데요. 이는 Anthology가 2025년 교수 2,5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Just 1 in 10 higher-ed faculty feel equipped to make digital content accessible

 

Just 1 in 10 higher-ed faculty feel equipped to make digital content accessible

Instructors with fewer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the least confident in their abilities to create accessible content.

www.ecampusnews.com

 

지역균형 고등교육 개혁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은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부터 내세웠고 당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서울대 10개 만들기의 핵심은 거점국립대의 ‘상향 평준화’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ZppD
 

[李정부 고등교육 정책 전망 ①] 서울대 10개, 수도 아닌 지역의 중심이 되다 - 한국대학신문 - 411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지방소멸 위기, 수도권 쏠림, 대학서열화, 수도권 사교육 팽창. 이 네 가지 문제를 한 번에 건드리는 고등교육 개혁 정책이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부

news.unn.net

 

2030 소멸시계 앞의 한국 대학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이하 사교련)는 교수신문에 ‘새 정부에 제안하는 대학정책’ 시리즈을 연재하였다고 하는데요. 첫번째 글로 ‘대학 4대 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 수립 전략’이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EHP
 

2030년까지 5년밖에…급할수록 기본에 충실할 것을 호소한다 - 교수신문

[새 정부에 제안하는 대학정책① 대학 4대 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 수립 전략] 우선 대학의 기본 체력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어려운 재정 형

www.kyosu.net

 

대학에서 시작하는 교육혁명  

남송우 부경대 명예교수는 대학지성 In&Out에 ‘한국교육 대개혁, 이제는 미룰 수 없다’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은 대학입시 제도 전면 개편으로 시작되어야 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XxYv

 

한국교육 대개혁, 이제는 미룰 수 없다 - 대학지성 In&Out

12.3 사태 이후 한국 사회가 마주한 혼란은 단순한 정치적 해프닝이 아니었다. 우리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이고 심각한 병리의 총체적 폭로였다. 이 사태를 특별히 ‘역사적’이라 부르는 이유는,

www.unipress.co.kr

 

한국 에너지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는 최근 ‘한국의 재생에너지 성장을 가로막는 세 가지 병목 요인’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냈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꼴찌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DwnE
 

이재명 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사회’, 무엇이 가로막고 있나?

이재명 대통령이 밝힌 ‘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 ’ 비전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재생에너지의 성장을 저해하는 세 가지 ‘병목’ 요소가 있다는 지적이 나와 눈길을 끈다. 국가 전력

www.hani.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10 ways to support nontraditional students on your campus

eCAMPUS NEWS에 따르면, 비전통적 학생들이 고등교육에서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대학은 이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중도 탈락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ejiDx
 

10 ways to support nontraditional students on your campus

When institutions recognize the challenges nontraditional students face, they can put supports into place to ensure success.

www.ecampusnews.com

 

교육 대전환의 열쇠

5월 26일 국회도서관 소희의실에서 「진짜 대한민국? 그 열쇠는 교육대전환과 공론화에 있다」 국회토론회가 열렸다고 하는데요. 새 정부를 앞두고 교육대전환을 위해 서술형 평가를 도입하고, 교육비를 국가가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에 제기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자기학교 임용을 경계하라”…교육대전환, 평가개혁부터

 

“자기학교 임용을 경계하라”…교육대전환, 평가개혁부터 - 교수신문

[진짜 대한민국? 그 열쇠는 교육대전환과 공론화에 있다] 기조강연을 맡은 강치원 원탁토론아카데미 원장(전 강원대 사학과 교수)은 교육대전환을 위해 세 가지를 주장했다. 첫째 20점 만점의 서

www.kyosu.net

 

고등교육계 대변혁 예고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2025 대학 발전을 위한 정책’을 건의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제21대 대통령 선거공약 반영을 목표로 이루어졌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DqgD
 

[차기 정부에 바란다] 고등교육계 대변혁 예고… 새 정부 나아가야 할 방향은 - 한국대학신문 - 41

[한국대학신문 김영식 기자] 지난해 12‧3 비상계엄 발동으로 인한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결정 이후 정부 교체 시기가 임박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고등교육계 역시 새로이 들어설 차기 정

news.unn.net

 

K-소프트파워에서 K-고등교육으로  

김규석 IES 서울센터장은 한국대학신문에 ‘K-소프트파워, 이제 K-고등교육으로 전환할 때’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교육계에서는 대한민국 교육의 우수성을 거대한 K-트렌드에 포섭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bBy0H

 

[시론] K-소프트파워, 이제 K-고등교육으로 전환할 때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K’ 브랜딩이 유행이다. 한류(Korean Wave)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K-팝, K-드라마 등이 활성화하더니, 코로나19를 거치며 K-방역, 계엄-탄핵 국면을 거치며 K-민주주의까지 등장했다. 이는 우리가

news.unn.net

 

기후소송의 새로운 전환점 

2015년, 페루 우아라스에 사는 농부 사울 루시아노 리우야는 빙하홍수의 발생 위험을 높인 책임을 지라며 독일의 에너지기업 알베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였다고 하는데요. 올해 5월 독일 함 고등지방법원에서 리우야의 기후 소송을 피해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로 기각하여 종결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Drtu
 

페루 농부의 10년 기후소송, 졌지만 의미 있는 이유

페루 서부에 위치한 우아라스는 높은 안데스산맥이 품은 거대한 빙하들을 머리 위에 지고 있는 도시다. 빙하는 녹아서 호수를 만드는데, 호수의 물이 갑자기 불어나서 발생하는 홍수를 ‘빙하

www.hani.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6 aspects of today’s student experience in higher ed 

EDUCAUSE에서 ‘2025 학생과 기술 보고서: 기술, 유연성, 그리고 웰빙을 통한 고등교육의 미래 형성’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현재 고등교육에서 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여섯 가지 핵심 요소를 다루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6 aspects of today’s student experience in higher ed

 

6 aspects of today's student experience in higher ed

Institutions should be ready to evolve and adjust to meet student needs and ensure a supportive student experience.

www.ecampusnews.com

 

공영형 사학 정책의 실패 분석 

윤지관 대학문제연구소장은 교수신문에 ‘공영형 사학 정책은 왜 실패했는가’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새로운 정부가 세워지면 정책의 기조를 어떻게 세울 것인가가 중요한데, 교육 부문에서도 이는 마찬가지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hphc
 

공영형 사학 정책은 왜 실패했는가 - 교수신문

[고슴도치와 여우_ 윤지관 대학문제연구소장]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서 차기 정부는 인수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집권하게 되었다. 이같은 상황에서 정책적 대비가 아무래도 부실할 수밖에

www.kyosu.net

 

하버드대 유학생 등록 제한 조치의 파장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의 외국인 학생 등록 자격을 박탈하는 초강경 조치를 내렸다고 하는데요. 이에 미국 대학가와 국제 사회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Zf5i
 

트럼프 행정부, 하버드대 유학생 등록 차단… 미국 대학가 ‘충격’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의 외국인 학생 등록 자격을 박탈하는 초강경 조치를 내리면서, 미국 대학가와 국제 사회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 미 국토안보부는

news.unn.net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How AI is changing course development in higher ed

eCAMPUS NEWS에 따르면, AI가 점점 더 많은 대학에서 도입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AI를 먼저 수용한 기관일수록 유연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ow AI is changing course development in higher ed

 

How AI is changing course development in higher ed

As more universities adopt AI, early adopters will be better positioned to deliver flexible learning experiences via course development.

www.ecampusnews.com

 

사립대학 법인 운영의 민낯 

국회의원회관에서 ‘사립대학 법인 진단평가 제1차 결과 발표 토론회’가 열렸다고 하는데요. 특히 사립대 위기의 근본 원인이 대학 ‘법인’에 있다는 진단이 쏟아졌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DdNG
 

“이제는 대학이 아닌 법인을 평가해야 할 때”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대한민국 고등교육의 80%를 담당하는 사립대학이 흔들리면, 대학 체제 전체가 흔들립니다.”1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사립대학 법인 진단평가 제1차 결과 발

news.unn.net

 

고등교육을 바라보는 세 후보의 시선

현재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이준석(개혁신당) 후보는 저마다의 10대 핵심 공약을 제시하였다고 하는데요. 한국대학신문에서는 세 후보의 고등교육 관련 공약을 비교·대조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bBm04
 

이재명 ‘혁신성장’ 김문수 ‘실용교육’ 이준석 ‘행정개혁’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이준석(개혁신당) 후보의 공식 선거운동이 5월 12일부터 시작됐다. 세 후보는 저

news.unn.net

 

한국 고등교육의 현주소와 과제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회장 변창훈, 이하 사총협)는 「2023-2024 대학교육 통계 자료집」을 발간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자료집에 ‘2025년 QS 세계대학평가 상위 100위 대학 분석’도 담아 대학 발전 방안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qyI

 

"국제 경쟁력 갖추려면 교수‧학생 인프라 우선 구축 필요" - 교수신문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회장 변창훈, 이하 사총협)는 「2023-2024 대학교육 통계 자료집」을 내면서 ‘2025년 QS 세계대학평가 상위 100위 대학 분석’도 담아 대학 발전 방안에 대한 기준을 제시했

www.kyosu.net

 

기후위기와 AI 산업의 두 얼굴  

경향신문에 따르면, 늘어나는 AI 사용에 따라 막대한 양의 전력이 소모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는 곧바로 탄소 배출로 이어지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rfH
 

[정수종의 기후변화 이야기]인공지능과 탄소중립, 지금은 두 마리 토끼 잡아야

누가 뭐라 할 것 없이 지금 세상을 달구는 가장 뜨거운 키워드는 AI, 인공지능이다. 과학과 기술의 영역을 넘어 정치·경제·교육·문화 등 사회 전반에서 AI가 필수 키워드로 떠오른 것이다. 이제

www.khan.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How 4 institutions use AI to transform education

Google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4개 기관이 Google AI 도구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교육 및 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Gemini와 NotebookLM라는 도구를 사용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bBdhi
 

How 4 institutions use AI to transform education

When it comes to innovative education, AI tools are helping instructors and students take teaching and learning to a new level.

www.ecampusnews.com

 

대학의 역할 전환을 위한 조건

한국대학신문에 따르면, 대학은 고등교육정책의 1차적 수혜자이자 실행자라고 하는데요. 하지만 정책 형성 과정에서 주도적 위치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hc7F
 

[조기대선, 고등교육정책 리포트②] 대학은 왜 고등교육정책의 주체가 되지 못했나 - 한국대학신

[한국대학신문 김준환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조기대선 정국이 열리면서 윤 정부의 고등교육정책도 총체적 평가가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온다. 본지가 ‘조기대선, 고등교육정책 리

news.unn.net

 

대학 행정의 학문적 탐구가 필요한 이유

유신열 한국대학경쟁력연구원 사무총장은 ‘대학 행정의 학문적 탐구가 필요하다’라는 칼럼을 한국대학신문에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행정전문가는 선출된 리더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조직을 긍정적으로 혁신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XbSI
 

[시론] 대학 행정의 학문적 탐구가 필요하다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민주주의 국가 조직은 안정적 관료체계 바탕 위에 선출된 리더의 혁신 역량이 상호작용을 통해 역동적으로 발전한다. 어느 한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치게 되면 사회는 혁신하지 못하고 역동성이

news.unn.net

 

대학 글쓰기 수업의 새로운 변화  

박숙자 서강대 전인교육원 교수는 ‘생성형 AI 등장, 대학 글쓰기 수업의 변화를 기록하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교수신문에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생성형 AI 도입’으로 학생들의 글쓰기에 여러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XcQP

 

생성형 AI 등장, 대학 글쓰기 수업의 변화를 기록하다 - 교수신문

[저자가 말하다_『쓰기 교양: AI 시대 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 이 책은 생성형 AI가 글쓰기 도구로 등장한 2023년 1학기부터 약 2년간의 글쓰기 수업을 기반으로 수업의 패러다임을 모색한 결과이

www.kyosu.net

 

정치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난 기후위기  

21대 대통령 선거운동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12일 대선후보들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핵심 10대 정책공약들을 제출하였다고 하는데요.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를 제외하고는, 기후·환경·에너지 관련 공약은 전반적으로 하위 순위에 있거나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Vk9R
 

에너지고속도로부터 탄소세까지…대선 후보들 ‘기후 공약’은

21대 대통령 선거운동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12일 대선후보들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핵심 10대 정책공약들을 보면, 기후위기 의제에 대한 후보들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권영국 민주

www.hani.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