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에 해당되는 글 56건

  1. 2025.05.05 [2025년 17th 미래동향] 4 Layers of Corequisite Education Support, 지역전략 특성화 인재양성, ‘라이즈’ 체계로 가속화, 교육의 종말인가, 진화의 시작인가, 기후전환기의 갈림길: 기후경제부인가, 기후 환경부인가
  2. 2025.04.07 [2025년 13th 미래동향] How AI is reshaping the LMS: A framework for responsible implementation, 자율·성과 기반 고등교육 재정지원 체계 개편 방안, RISE 기반 대학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사립대학 적립금, 선택 아닌 의무로 자리잡다, 트럼프 시대의 기후정책 후퇴 속 한국의 대응 전략
  3. 2025.03.10 [2025년 9th 미래동향] Peering into the digital AI divide,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디지털 집중과정 신설, 대학과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서울형 라이즈’, 북극 온난화 2.7도 상승에 따른 연쇄적 변화
  4. 2024.12.30 [2024년 53rd 미래동향] How universities ethically leverage AI, 비수도권 사립대학 경영 위기 심화, 장기 침체기를 대비하기 위한 인문사회 발전전략, 대학 평생교육원 위상 강화 방안
  5. 2024.12.16 [2024년 51st 미래동향] Success Program Launch: Incorporating VR Into the First-Year Seminar, 라이즈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과제, 글로컬대학 통해 지역혁신·국가균형발전의 성공 모델 제시, AI와 학문의 경계, 2025년, 기후 빌런의 귀환 4
  6. 2024.11.11 [2024년 46th 미래동향] EDUCAUSE News: Ellucian’s AI Survey Reveals Surge in AI Adoption, 사이버대의 글로벌 진출 계획, 사립대 비리 의혹 대거 폭로,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 맞춘 대학의 역할 확장, 대학 주도의 기후위기 대응
  7. 2024.10.14 [2024년 42nd 미래동향] 5 AI Education Experts Share Their Secrets, 미래 고등교육의 방향성, 인공지능 발전의 이면, ESG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3
  8. 2024.10.07 [2024년 41st 미래동향] When it comes to AI use, educators are more comfortable than students, 세계 대학 리더들이 논의하는 혁신의 미래, 포스트휴먼의 시대, AI와 인간의 미래 2
  9. 2024.09.02 [2024년 36th 미래동향] How will the rise of AI in the workplace impact liberal arts education?, 글로벌 인재 성장을 위한 도구, 우수 사학법인의 기준, 자동차가 거의 없는 ‘카프리(car-free)올림픽’, 기후위기를 둘러싼 AI의 두 얼굴 2
  10. 2024.07.08 [2024년 28th 미래동향] From crisis to catalyst: Online education four years later, 미래지향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대학 평가, 첨단 연구장비 구축과 관리·운영 비용 일괄 지원 사업, 반도체 산업 초격차를 위한 인재 양성 지원 확대, ‘한국학 온라인 강좌’ 확산 양상

4 Layers of Corequisite Education Support 

미들 조지아 주립대학교(Middle Georgia State University)는 병행수강 수학 과정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층적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수업참여 튜터링, 또래 멘토링, 성공 코칭, 교수진 지원의 네 가지 방식으로 구성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gkLhF
 

Wraparound Support Network Aids College Student Math Completion

Middle Georgia State University created a multipronged approach to aiding corequisite math learners through embedded tutoring, peer mentoring, success coaching and faculty assistance.

www.insidehighered.com

 

지역전략 특성화 인재양성, ‘라이즈’ 체계로 가속화 

교육부는 4월 18일(금) ‘지역인재 육성 지원 사업 추진계획’을 확정‧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비수도권 4개 광역지자체에 5년간 총 123억 원을 지원해 시범사업을 운영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103122&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교육의 종말인가, 진화의 시작인가

정진택 전 고려대 총장은 교수신문에 ‘인공지능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교육의 종말인가, 진화의 시작인가’라는 제목의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인공지능의 발달로 산업 구조가 재편되고 기존 직업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8bF
 

인공지능 교수님, 안녕하십니까?...교육의 종말인가, 진화의 시작인가 - 교수신문

[특집_AI 대전환 시대, 대학의 미래와 교수의 역할] 인류가 지구상에 처음 출현했을 당시에는 다른 생물들처럼 지구라는 주어진 자연환경에 순종하고 적응하며 생활했을 것이다. 이후 인간의 우

www.kyosu.net

 

기후전환기의 갈림길: 기후경제부인가, 기후 환경부인가

최근 기후환경단체인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와 녹색전환연구소, 플랜1.5가 공동으로 30가지 기후 정책 제안서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산업과 에너지를 기후라는 우산 아래에서 함께 작동시키자는 제안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g3ps

 

‘기후경제부’든 ‘기후에너지부’든, 만들긴 해야

Q. 이제 한국에도 이름에 ‘기후’가 들어가는 부처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A. 윤석열이 파면되고 21대 대선이 본격화했습니다. 짧은 시간 안에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www.hani.co.kr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6th 미래동향] Cutting costs while maintaining value: The challenge for higher education, 아시아판 에라스무스를 향한 도전, 소규모 대학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지속가능한 고등교육재정 해법, 폭증하는 플라스틱, 미약한 재활용  (1) 2025.04.28
[2025년 15th 미래동향] Millennials feel financially unstable–continuing education may be the solution,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5가지 로드맵, 대학 재정위기 개선 방안, 통합인문학의 현재와 미래, 기후위기 시대의 산불 대응 전략  (0) 2025.04.21
[2025년 14th 미래동향] Amid Financial Headwinds, Could Course Sharing Offer Colleges Relief?, 글로컬대학이 바꾸는 고등교육 지형도, 전공자율선택제, 자율성과 정책 목표 사이의 딜레마, 대학평가의 방향성 재정립을 위한 고찰, 기후변화 시대 산불 대응체계의 방향성  (0) 2025.04.14
[2025년 13th 미래동향] How AI is reshaping the LMS: A framework for responsible implementation, 자율·성과 기반 고등교육 재정지원 체계 개편 방안, RISE 기반 대학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사립대학 적립금, 선택 아닌 의무로 자리잡다, 트럼프 시대의 기후정책 후퇴 속 한국의 대응 전략  (0) 2025.04.07
[2025년 12th 미래동향] 7 workforce readiness strategies to give grads an edge, ‘대학-지역-기업’과 함께 유학생 지원 확대, 성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키, 트럼프 행정부 연구비 삭감, 신진 연구자들 피해 심화, 전쟁이 남긴 3억톤의 온실가스  (0) 2025.03.31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How AI is reshaping the LMS: A framework for responsible implementation  

AI가 교육을 혁신하는 가운데, 학습 관리 시스템(LMS) 내 AI 도입은 많은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하는데요. 특히 관리 업무 간소화부터 맞춤형 학습 경험 제공까지 가능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cWGak
 

How AI is reshaping the LMS: A framework for responsible implementation

As institutions evaluate AI-powered LMS platforms, they should prioritize transparency, security, data control, and continuous refinement.

www.ecampusnews.com

 

자율·성과 기반 고등교육 재정지원 체계 개편 방안  

교육부는 2025~2027년 일반재정지원사업인 ‘대학혁신지원사업’ 및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국립대 대상의 일반재정지원사업인 ‘2025년 국립대학육성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미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사업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102894&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RISE 기반 대학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지난 3월, 2025년 한국평생교육학회1차 정책 포럼·대학성인학습자연구교류협의회 6차 포럼 이 열렸다고 하는데요. 신혜연 고려대HRD정책연구소 연구교수는 ‘대학의 평생직업교육 기능 강화를 위한 성인학습자 친화형 교육체제 구축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CHid
 

라이즈에서 성인 맞춤형 평생교육 제공에 대학·정부 지원 ‘강조’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학령인구 급감 속 성인학습자가 주요 화두로 떠오르면서, 대학의 평생직업교육 기능 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성인학습자 맞춤형 교육체제 구축을

news.unn.net

 

사립대학 적립금, 선택 아닌 의무로 자리잡다  

송기창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총장은 한국대학신문에 ‘사립대학 적립금에 대한 편견이 문제다.’라는 칼럼을 공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영세한 학교법인을 둔 사립대학은 적립금이 필수적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CIrk

 

[시론] 사립대학 적립금에 대한 편견이 문제다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사립대학 적립금은 사립대학 비리의 대명사처럼 회자된 지 오래다. 등록금 책정이 자율화 된 이후 사립대학들이 등록금을 과도하게 인상한 후 남는 재원을 적립함으로써 적립금이 등록금 인상

news.unn.net

 

트럼프 시대의 기후정책 후퇴 속 한국의 대응 전략 

경향신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으로 전세계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후퇴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에 한국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현실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CIAy
 

[정수종의 기후변화 이야기]트럼프2.0 시대의 기후위기 대응 전략

요즘 뉴스를 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마디 한마디가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 하루가 멀다고 예측하기 힘든 정책을 쏟아내니 말이다. 오늘은 또 무슨 소리를 했는지 궁금하지 않

www.khan.co.kr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5th 미래동향] Millennials feel financially unstable–continuing education may be the solution,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5가지 로드맵, 대학 재정위기 개선 방안, 통합인문학의 현재와 미래, 기후위기 시대의 산불 대응 전략  (0) 2025.04.21
[2025년 14th 미래동향] Amid Financial Headwinds, Could Course Sharing Offer Colleges Relief?, 글로컬대학이 바꾸는 고등교육 지형도, 전공자율선택제, 자율성과 정책 목표 사이의 딜레마, 대학평가의 방향성 재정립을 위한 고찰, 기후변화 시대 산불 대응체계의 방향성  (0) 2025.04.14
[2025년 12th 미래동향] 7 workforce readiness strategies to give grads an edge, ‘대학-지역-기업’과 함께 유학생 지원 확대, 성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키, 트럼프 행정부 연구비 삭감, 신진 연구자들 피해 심화, 전쟁이 남긴 3억톤의 온실가스  (0) 2025.03.31
[2025년 11th 미래동향] Academic Success Tip: Reducing Barriers to Tutoring Participation, 지역대학 재정 위기, 수도권 대학과의 격차 심화, 미국, 교육부 해체 논란 속 정책 변화 가속화, 대학 재정 위기 해결을 위한 등록금 인상의 필요성, ‘청정산업딜’로 유럽의 탈탄소화 가속화  (0) 2025.03.24
[2025년 10th 미래동향] 6 predictions for education and workforce in 2025,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 혁신, 2024년 인증대학, 전년 대비 학위·어학연수 과정 모두 증가, 미래 직무 역량을 키우는 방법, 극단적인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의 대응책  (0) 2025.03.17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Peering into the digital AI divide 

2025 EDUCAUSE AI Landscape Study는 AI가 고등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활용 방법을 다루고 있다는데요.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AI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본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bAqsW
 

Peering into the digital AI divide

Closing the digital AI divide demands a staggering array of resources, and some institutions are more able to leverage those resources.

www.ecampusnews.com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디지털 집중과정 신설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2025년 대학 중심의 평생학습 온라인 공개강좌 활성화 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고 하는데요. 특히 예산 규모가 총 169억 원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Clr7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2025년 대학 중심의 평생학습 온라인 공개강좌 활성화 사업 신규 공모-「인공지능·디지털(AID) 30+ 프로젝트」 후속조치로, 성인 재직자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온·오프라인 집중캠프 및 묶음강

www.moe.go.kr

 

대학과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서울형 라이즈’  

서울시는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를 열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2025년 서울시 라이즈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등에 대해 심의・의결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bAu15
 

닻 올린 ‘서울형 라이즈(RISE)’…5년간 4225억원 투입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한국대학신문 김영식 기자] 올해부터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꾀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이하 라이즈)’가 전국에서 본격 시행된 가운데, 글로벌 산학협력, 해외 우수 인재

news.unn.net

 

북극 온난화 2.7도 상승에 따른 연쇄적 변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사라지는 풍경: 북극의 2.7도 지구온난화’ 논문이 발표되었다고 하는데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대로 탄소배출량을 줄이더라도 지구 온도가 2.7도 상승할 것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kdR7

 

‘돌이킬 수 없는 결과’…2.7도 오른 지구의 북극에서 벌어질 일들

파리협정에 따라 전 세계 국가들이 약속한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대로 탄소배출량을 줄이더라도 2100년까지 지구 온도가 2.7도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이럴 경우 지구 평균보

www.hani.co.kr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1th 미래동향] Academic Success Tip: Reducing Barriers to Tutoring Participation, 지역대학 재정 위기, 수도권 대학과의 격차 심화, 미국, 교육부 해체 논란 속 정책 변화 가속화, 대학 재정 위기 해결을 위한 등록금 인상의 필요성, ‘청정산업딜’로 유럽의 탈탄소화 가속화  (0) 2025.03.24
[2025년 10th 미래동향] 6 predictions for education and workforce in 2025,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 혁신, 2024년 인증대학, 전년 대비 학위·어학연수 과정 모두 증가, 미래 직무 역량을 키우는 방법, 극단적인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의 대응책  (0) 2025.03.17
[2025년 8th 미래동향] The unthinkable becomes reality: Higher ed in the wake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s dismantling, 고등교육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한 첫걸음, ‘대학 통합’ 논의 활성화, 미래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한국 대학의 역할, 미국 유권자 70%, 트럼프의 기후 정책 반대  (0) 2025.03.04
[2025년 7th 미래동향] Dark data: A potential source of illumination, 16년 만의 등록금 인상, 대학 재정난 해결될까?, 사립대학 구조개선 지원법안의 쟁점들, AI 시대의 리더, WISE Generation과 증강지혜, ‘기후 위플래시’의 위험성  (0) 2025.02.24
[2025년 6th 미래동향] Success Program Launch: Time Management, Growth Mindset Workshop, 고등교육 거버넌스 개편을 위한 해외 사례 분석, 사립대 구조개선법, 불가피한 선택인가?, 첨단 분야 실무 교육, 인재 양성 가속화, 지구온난화가 불러온 연쇄적 변화  (0) 2025.02.17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How universities ethically leverage AI 

AI를 효과적으로 통합하려면 교육기관의 접근 방식이 변화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특히 교육기관은 윤리적 통합을 위한 접근 채택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mcCc
 

How universities ethically leverage AI

When students learn ethical AI skills, they enter the workforce not only as capable professionals but as confident, responsible innovators.

www.ecampusnews.com

 

비수도권 사립대학 경영 위기 심화

한국사학진흥재단은 12월 12일 ‘2024년 사립대학 재정진단 결과’를 확정·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비수도권 사립대학의 경영 위기가 심화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PDbD
 

일반대 6곳·전문대 8곳 '경영위기대학'…비수도권 10곳 - 교수신문

[한국사학진흥재단, 2024년 사립대 재정진단 결과] 올해 한국사학진흥재단의 사립대 재정진단 결과, 일반대 6곳·전문대 8곳 등 총 14곳이 '경영위기대학'으로 지정됐다. 특히 '경영위기대학' 14곳

www.kyosu.net

 

장기 침체기를 대비하기 위한 인문사회 발전전략 

한국인문사회연구소협의회 회장은 “잃어버린 30년 대비하는 인문사회 발전전략” 칼럼을 공개하였다고 하는데요. 한국은 강대국들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9I5
 

[직설(直說)] ‘잃어버릴 30년’ 대비하는 인문사회 발전전략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

한국사회와 국가는 전략적 좌표없이 표류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압승이나 그 이후에 대한 대처를 둘러싸고 정부나 민간 모두 우왕좌왕하고 있다. 미·중 분쟁에 대한 분석이나 대처도 주

news.unn.net

 

대학 평생교육원 위상 강화 방안 

한국대학신문은 ‘2024 KLLE Symposium Webinar’를 개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대학 평생교육원 위상 강화 방안을 모색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miv6

 

[2024 클래 Symposium Webinar] “평생교육 강화, 대학 역할 확대·대학 구성원의 인식 전환 필요” - 한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교육계 전문가들이 고등 평생교육 정책 발전 방향을 제언하고, 평생교육 구현 허브로서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연대와 평생교육원장 위상 강화를 모색하는 자리가

news.unn.net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nd 미래동향] Five strategies to cultivate university reputation, 대학(원) 졸업자 취업률 증가, 의약계열 82.1%로 가장 높아, 한국의 유학생 유치 전략, 한국형 스타이펜드, 인문계 대학원은?, 2025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주요 과제  (0) 2025.01.13
[2025년 1st 미래동향] Emotions and learning: what role do emotions play in how and why students learn?, 고등교육 재정난 심화, 사립대 구조개선법 제정 시급, 대학 조직문화의 현주소, 수온 상승 대응 로드맵  (1) 2025.01.06
[2024년 52nd 미래동향] As online learning programs grow, so does the need for data-informed decisions, ‘고교-대학 연계 학점 인정 체제’ 도입, 디지털 혁신을 통한 미래 인재 발굴, 다문화 사회 속 고등교육의 방향, 기후 암흑기 속으로, 국제 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  (0) 2024.12.23
[2024년 51st 미래동향] Success Program Launch: Incorporating VR Into the First-Year Seminar, 라이즈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과제, 글로컬대학 통해 지역혁신·국가균형발전의 성공 모델 제시, AI와 학문의 경계, 2025년, 기후 빌런의 귀환  (4) 2024.12.16
[2024년 50th 미래동향] How Trump and AI could impact higher ed in 2025, 고등교육법 26년 만의 전면 개정, 고등교육계, 교육부의 교육개혁에 불만 표출,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중장기 계획  (1) 2024.12.09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Success Program Launch: Incorporating VR Into the First-Year Seminar 

University of Miami는 신입생 세미나에서 VR 기술인 ‘UMverse’를 도입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신입생들의 소속감을 높이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친숙함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ytEy
 

Encouraging campus, city exploration with virtual reality

This fall, the University of Miami introduced a new virtual reality tool into a first-year course. The initiative is targeted toward retention and engagement of students, as well as improving their feelings of belonging.

www.insidehighered.com

 

라이즈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과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가 올 한 해 7곳 지역의 시범사업 기간을 거쳐 내년 전국으로 확대된다고 하는데요. 특히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대학과 지자체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qlkn
 

[본지-대교협 공동기획③] 라이즈(RISE) 내년 전국 시행…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 한국대학신문 -

[한국대학신문 김영식 기자] 디지털 대변혁의 시대를 맞아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적응할 새도 없이 2024년 한 해가 빠르게 흘러갔다. 2025년에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가 전국에 도

news.unn.net

 

글로컬대학 통해 지역혁신·국가균형발전의 성공 모델 제시 

경상국립대학교는 글로컬대학으로 선정되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글로컬대학 사업을 통해 지역혁신과 국가 균형발전의 성공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PwJB
 

[글로컬대학 릴레이 인터뷰/경상국립대] 곽태수 글로컬대학사업단장 “우주항공방산 허브 대학

교육부는 지난해부터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강조하면서 대학의 역할 확대를 강조해 왔다. 특히, ‘글로컬대학30 사업’은 비수도권 대학을 대상으로 한 곳당 5년간 최대 1000억 원

news.unn.net

 

AI와 학문의 경계 

노대원 제주대 국어교육과 교수는 ‘AI는 연구자를 대체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칼럼을 공개했다고 하는데요. 특히 연구의 최종 감독이자 책임자는 언제나 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Yl5
 

AI는 연구자를 대체할 것인가…왜 이 연구를 하고 있습니까 - 교수신문

[인문학자가 인공지능에 던지는 질문⑤ 노대원 제주대 교수] AI가 효율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이끌어갈 때,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충분히 고민할 수 있는 주체

www.kyosu.net

 

2025년, 기후 빌런의 귀환 

‘기후위기 부정’ 대표주자인 트럼프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를 앞두고 세계가 긴장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지난 임기 때보다 극단적인 ‘친환경 지우기’에 나설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XIx
 

[돌아온 트럼프와 지구] 다시 ‘친환경과의 전쟁’? 더 강해져 돌아온 트럼프의 ‘반환경’ 구상

“미국 역사상 최악의 환경파괴 대통령이 돌아왔다. 2기는 더욱 잔혹할 것이다.” 미국 역사학자 더글러스 브링클리 라이스대학 교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을 두고 내

www.khan.co.kr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53rd 미래동향] How universities ethically leverage AI, 비수도권 사립대학 경영 위기 심화, 장기 침체기를 대비하기 위한 인문사회 발전전략, 대학 평생교육원 위상 강화 방안  (0) 2024.12.30
[2024년 52nd 미래동향] As online learning programs grow, so does the need for data-informed decisions, ‘고교-대학 연계 학점 인정 체제’ 도입, 디지털 혁신을 통한 미래 인재 발굴, 다문화 사회 속 고등교육의 방향, 기후 암흑기 속으로, 국제 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  (0) 2024.12.23
[2024년 50th 미래동향] How Trump and AI could impact higher ed in 2025, 고등교육법 26년 만의 전면 개정, 고등교육계, 교육부의 교육개혁에 불만 표출,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중장기 계획  (1) 2024.12.09
[2024년 49th 미래동향] The EDUCAUSE Top 10: Rebuilding trust in higher ed, 경계 없는 교육생태계로 가는 길, ‘사립대 구조개선법’의 부작용 우려, RISE 사업으로 인한 서울권 대학 ‘역차별’ 우려 제기, ESG 공시 의무화 법안 발의  (2) 2024.12.02
[2024년 48th 미래동향] How colleges can mitigate financial risk: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growth, 한국판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로 미래 산업 선도,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 무전공 정착을 위한 필수 전략, 에너지 자립을 이룬 독일의 친환경 모델  (1) 2024.11.25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EDUCAUSE News: Ellucian’s AI Survey Reveals Surge in AI Adoption 

Ellucian은 두 번째 연례 AI 설문조사 보고서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보고서에 따르면, 고등교육 전문가가 업무 및 개인 용도로 AI를 도입한 것이 작년에 두 배 이상 증가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KVJn
 

EDUCAUSE News: Ellucian’s AI Survey Reveals Surge in AI Adoption

Ellucian, the leading higher education technology solutions provider, released its second annual AI survey report. This report shows that AI adoption ... Read more

www.ecampusnews.com

 

사이버대의 글로벌 진출 계획

공병영 글로벌사이버대 총장은 한국원격대학교육협의회 제 13대 회장에 취임하였다고 하는데요. 한국대학신문 인터뷰에 따르면, 공 회장은 원대협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해서 강조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yq3m
 

[파워인터뷰] 공병영 한국원격대학협의회 회장 “‘100만’ 원대협 가족과 원대협법 추진…‘K-

[한국대학신문 김소현 기자] “이제 온·오프라인의 대학 형태는 중요하지 않다. 학습자 중심의 편리성과 교육 효율성 측면으로 글로벌 교육시장이 재편되고 있다. AI 시대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news.unn.net

 

사립대 비리 의혹 대거 폭로 

한국대학신문에 따르면, 10월 24일 국회 본관에서 제22대 국회 교육위원회 첫 국정감사가 열렸다고 하는데요. 특히 마지막날 일정인 종합감사에서 사립대의 비리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p2Yf
 

[2024 교육위 국감]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 종료…사립대 각종 의혹 도마 위에 - 한국대학신문 - 411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제22대 국회 교육위원회 첫 국정감사 마지막 날에는 사립대학교들의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여야 의원을 막론하고 성적 조작 의혹, 허위 홍보, 교비 오남용 등 사

news.unn.net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 맞춘 대학의 역할 확장  

10월 29일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이 발의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대학의 자율성 강화와 대학 체제 전면 개편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p3or
 

'네거티브 규제'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 여·야 공동 발의 - 교수신문

[김대식·김준혁 의원 등…26년 만의 전면 개정] 대학의 자율성 강화와 대학 체제 전면 개편 등의 내용을 담은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이 발의됐다. 지난 1998년 법 제정 이후 26년 만에 처음 이뤄

www.kyosu.net

 

대학 주도의 기후위기 대응 

이화여대 교수들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대학의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대학은 기업가적 속성 중심의 사회변화 주체로 그 역할이 진화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GeN
 

[에듀플러스]대학중심이 아닌 대학주도의 기후위기 대응 가능성 모색

그동안 수많은 기후위기 완화를 추구하는 스타트업이 나타났지만, 여전히 지구온난화는 진행 중이고 기후변화의 위기는 여전히 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스탠퍼드 지속가능성 엑셀러

www.etnews.com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48th 미래동향] How colleges can mitigate financial risk: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growth, 한국판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로 미래 산업 선도,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 무전공 정착을 위한 필수 전략, 에너지 자립을 이룬 독일의 친환경 모델  (1) 2024.11.25
[2024년 47th 미래동향] Top trends, takeaways point to online learning’s staying power, 산·학·연 협력을 통한 새로운 생태계 구축 필요, 인문·사회계열 학과의 위기 확산, 다문화 사회를 맞이하는 대학의 준비, 프랑스의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1) 2024.11.18
[2024년 45th 미래동향] New tool translates college learning experiences into workforce skills, ‘빅블러 시대’, 전공 선택권 확대의 필요성, 기술이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대학 교육혁신의 현주소,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존재적 삶의 전환  (0) 2024.11.04
[2024년 44th 미래동향] California Study Shows Which College Programs Pay Off And Which Don’t, 디지털 시대를 위한 평생교육 혁신, 고등교육법 개정 논의 확산,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적 전략, 대학 ESG 가이드라인의 혁신적 접근  (3) 2024.11.01
[2024년 43rd 미래동향] How ChatGPT Boss Sam Altman’s New AI Predictions Affect Education, 교육부의 대학 혁신 지원 체계 개편, 융합형 인재 양성의 시대, 고등교육 질 향상을 위한 첫 단추, 국가 발전을 위한 필수 투자  (0) 2024.11.01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5 AI Education Experts Share Their Secrets 

‘Back to School AI Webinar 2024’에 1,700명이 넘는 교육자가 참여하였다는데요. 이는 전 세계의 교육자들이 인공지능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모인 행사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www.forbes.com/sites/danfitzpatrick/2024/09/22/5-ai-education-experts-share-their-secrets/
 

5 AI Education Experts Share Their Secrets

How educators around the world are using tools like ChatGPT, Gemini, Perplexity and Canva to transform their practice.

www.forbes.com

 

미래 고등교육의 방향성 

국가교육위원회는 9월25일 한국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출범 2주년 기념 대토론회를 열었다는데요. 이는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주요 방향(안)을 제시하기 위해 모인 자리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rgB
 

“사립대 중심 체제, 사회변화 맞춰 개편” - 교수신문

[국교위,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주요방향(안)] 2026년부터 2035년까지 중장기 10년의 교육정책 방향은 고등교육체제의 전면적인 재구조화와 정부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원론만 제시됐다. 국가

www.kyosu.net

 

인공지능 발전의 이면  

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는 계명-목요철학원의 ‘목요철학 인문포럼’을 진행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인공지능 속 인간 노동과 기술정치’를 주제로 강연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C59
 

인공지능을 움직이는 ‘사람들’…‘루프 속의 프레카리아트’에 주목하라  - 교수신문

[ ‘목요철학 인문포럼’② 인공지능 속 인간 노동과 기술정치] “우리는 인공지능이 인간을 도와줄 거라고만 생각하고 있지만, 사실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인간이 인공지능을 와주고 있다. 

www.kyosu.net

 

ESG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가천대는 ESG 활동으로 전공과 연계된 다양한 지역사회 공헌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통합 10주년 비전 선포식에서 ESG의 요체 중 하나인 공헌을 핵심가치로 넣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lEbS
 

[대학 ESG心(이심전심) 동행 시리즈 ⑫가천대] ESG 전문교과목 개발, 경험중심 교육, 교수시냅스포

[편집자주] 10조 달러를 운용하는 세계 최대 투자회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이 2020년 연례서한에서 ‘ESG를 하지 않으면 도도새처럼 멸종될 것이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ESG는 필수 요소가 됐

news.unn.net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When it comes to AI use, educators are more comfortable than students 

AI 활용에 있어서 교육자들이 학생들보다 편안함을 느낀다는 Copyleaks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하는데요. 이는 교육 환경에서 AI 도입에 대한 인식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hlS8
 

When it comes to AI use, educators are more comfortable than students

A comprehensive study highlights key sentiments and usage trends on AI use and adoption in education for educators and students.

www.ecampusnews.com

 

세계 대학 리더들이 논의하는 혁신의 미래  

WURI Foundation이 주최하고 한국대학신문이 후원하는 ‘2024 혁신대학 글로벌 콘퍼런스’가 개최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미래 교육 혁신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lBsv
 

“세계 대학의 혁신을 논하다”…‘WURI 혁신대학 글로벌 콘퍼런스’ 개최 - 한국대학신문 - 411개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세계 각국의 대학 총장과 관계자들이 모여 대학의 혁신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렸다. 각 대학의 혁신사례 공유는 물론 각 대학 관계자들이 만

news.unn.net

 

포스트휴먼의 시대, AI와 인간의 미래

‘계명-목요철학원’에서 이종관 성균관대 철학과 명예교수는 강연을 진행하였다는데요. 특히 생성 AI가 인간이 처했던 역사적 현실을 살아낼 수 없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t0pu
 

영혼 잃은 인간, 영혼 얻은 AI?…시를 쓸 수는 있어도 동주가 될 수는 없다 - 교수신문

[‘목요철학 인문포럼’① 5차산업 혁명을 향한 철학적 비전_이종관 성균관대 명예교수] 대개 우리는 첨단 과학기술을 동원한 과학 연구의 결과물을 과학적이란 이름으로 비판 없이 수용하거나

www.kyosu.net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How will the rise of AI in the workplace impact liberal arts education? 

전문가들은 AI가 발전함에 따라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과 같은 기술이 요구될 것으로 예측했다고 하는데요. 특히 AI가 직장 환경을 변화시키면서 인문학 전공 학생의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g58K
 

How will the rise of AI in the workplace impact liberal arts education?

Experts predict that skills like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ill be more coveted as artificial intelligence replaces some technical jobs. 

www.highereddive.com

 

글로벌 인재 성장을 위한 도구 

국내에 오픈배지가 보급된 지 3년이 지났다고 하는데요. 특히 우리 사회에서 자격과 인증을 획득하고 검증하는 방식에 혁명을 일으켰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lkuJ
 

‘오픈배지 도입 3년차’ 국내 192개 대학서 사용, 사용자 수 2만 명 넘어…확산 속도 가속화 - 한

국내에 오픈배지가 보급된 지 3년이 지났다. 도입 이후 오픈배지는 우리 사회에서 자격과 인증을 획득하고 검증하는 방식에 혁명을 일으켰다. 기존의 종이 기반 인증서와 달리 성과를 보여주는

news.unn.net

 

우수 사학법인의 기준 

고등교육을 왜곡하고 망국적 대학체제를 조장하는 서열화는 교육부의 대학평가로 퍼져나가고 있다는데요. 특히 기존의 대학 서열의 합리성이 의심되어 대학 평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21598
 

‘좋은 법인’ 경영능력·기여도·거버넌스 살펴보자 - 교수신문

[위기의 사립대학, 법인평가로 극복하자⑦ 우수 사학법인의 기준] 평가지표의 구성 비율이 법인 2/3, 대학 1/3로 조정되어야 한다. 법인의 경영 능력, 법인의 기여도, 법인의 거버넌스 등 법인에

www.kyosu.net

 

자동차가 거의 없는 ‘카프리(car-free)올림픽’ 

LA시는 2028 LA올림픽에서 자동차가 거의 없는 ‘카프리(car-free) 올림픽’을 내세웠다고 하는데요. 특히 대중교통망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j7B
 

2028 LA올림픽은 ‘카프리 올림픽’… “대중교통으로 경기장 접근”

2024 파리올림픽은 ‘기후올림픽’을 내걸었고, 센강에서 수영 대회를 진행하며 100년 묵은 센강의 수질오염 문제를 개선하는 계기로 삼았다. 다음에 열리는 20

www.kmib.co.kr

 

기후위기를 둘러싼 AI의 두 얼굴  

챗GPT 질문 하나에 답할 때마다 전구 하나를 20분 동안 킬 수 있는 전력이 소비된다고 하는데요. 이에 생성형 AI 학습과 구동을 위한 데이터센터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llSO
 

챗 GPT에 하루 1000만명이 10개씩 질문하면… 전구 3333만 시간 켤 수 있는 전기 먹는다 [세계는 지금

챗GPT에게 하나의 질문을 할 때마다 얼마만큼의 전력이 소비될까? 답은 “전구 하나를 20분 동안 켤 수 있는 양”(앨런 인공지능 연구소)이다. 지난해 초 챗GPT의 하루 이용자가 1000만명을 넘어섰

www.segye.com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8th 미래동향] Europe, universities and industry launch Emotion AI masters, 새로워진 대학 평가제도, 학자금 대출 의존도 증가, 인공지능 시대, 미래 인재의 필수 요건,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도약  (3) 2024.09.19
[2024년 37th 미래동향] Tomorrow University’s Impact MBA Launches on Apple Vision Pro in Germany, France, Canada and the UK, 대학 정책 기조의 방향성, 대학 혁신의 열쇠, 데이터 기반 성과관리, 교육개혁 지원을 위한 예산안,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길  (1) 2024.09.09
[2024년 35th 미래동향] What Is The Future Of Onlin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첫 걸음을 뗀 외국인 유학생·성인학습자 규제 완화, 인문사회학을 통한 ESG 경영의 해결책, 청년 창업 활성화 동향 분석,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 전략  (0) 2024.08.26
[2024년 34th 미래동향] 6 key trends in global skills development, ‘교육발전특구’ 통해 지역 맞춤형 교육혁신 추진, 인류 혁명 시대, 한국 대학의 혁신 방안, 세계적 인문학 연구소 육성을 위한 지원 방향  (0) 2024.08.19
[2024년 33rd 미래동향] OpenAI launches ChatGPT Edu for universities, 평생교육을 통한 대학 위기 극복 방안, 대학혁신을 위한 최우선 과제, 세계 최고의 학력을 유지하는 핀란드의 고등교육 시스템,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성사를 위한 한국의 대응 전략  (0) 2024.08.12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From crisis to catalyst: Online education four years later 

앤드류 쉰 박사는 온라인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는데요. 특히 AI를 학생 학습에 통합하면 오늘날의 온라인 학습 모델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kOAA
 

From crisis to catalyst: Online education four years later

We must transition from a content-centered approach to a human-centered one, recognizing students as the fulcrum of online learning design.

www.ecampusnews.com

 

미래지향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대학 평가 

혁신적인 대학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WURI 랭킹’이 올해 출범 5년 차를 맞았다고 하는데요. 특히 종합평가에서 미네르바 대학 1위, 애리조나 주립대가 2위를 차지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Ekd
 

[2024 세계혁신대학 랭킹] 한국외대·청운대·가천대·한양사이버대 등 영역별 평가에서 높은 순위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학문적 전통 및 교수방법면에서의 성과(output) 중심으로 진행되는 기존 영미권 대학평가와는 다르게 투입(input)-과정(process)-성과(output) 전반을 평가에 반영하며 대학

news.unn.net

 

첨단 연구장비 구축과 관리·운영 비용 일괄 지원 사업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는 대학의 첨단 연구개발 장비 도입 및 운영을 지원하는 ‘기반 고도화’ 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하였는데요. 특히 10개 과제가 선정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99178&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세계적 수준의 대학 연구를 위해 첨단 연구개발 장비 구축·운영에 총 734억 원 지원

세계적 수준의 대학 연구를 위해 첨단 연구개발 장비 구축·운영에 총 734억 원 지원 - 첨단 연구개발 장비 구축·운영을 지원하는 ‘기반(인프라) 고도화 사업’ 10개 과제 선정 - 대학 내외 공동

www.moe.go.kr

 

반도체 산업 초격차를 위한 인재 양성 지원 확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4단계 두뇌한국21 혁신인재 양성사업 지능형 반도체 분야 추가 선정 예비결과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교육연구단 3개를 추가 선정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99115&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2&s=moe&m=020402&opType=N
 

초격차 이끌 지능형 반도체 분야 석·박사급 인재 양성 지원 확대

초격차 이끌 지능형 반도체 분야 석·박사급 인재 양성 지원 확대   - 2024년 4단계 두뇌한국21 지능형 반도체(시스템 반도체 포함) 분야 추가선정 예비결과, 교육연구단 3개 추가 선정(2023년10개 →

www.moe.go.kr

 

‘한국학 온라인 강좌’ 확산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의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으로 한국학이 주목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총 12개 대학 연구소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사업을 수행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FAO
 

‘K히스토리’ 전 시대를 아우르다…교육공학·영상 전문성도 확보 - 교수신문

[한국학, ‘K학술’이 뜬다_① 고려대 한국사연구소 K히스토리확산연구단] 연구단에서 눈에 띄는 건 바로 고려사이버대와의 협력이다. 영상 전문 기관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전

www.kyosu.net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0th 미래동향] An AI primer for higher-ed leaders and educators, 7천 명 해외 수강생을 유치한 '버추얼 스쿨', 세계적 수준의 연구·교육을 위한 협력 활성화 방안, 학령인구 급감을 타개할 해결책, ‘지속가능한 미래 교육’을 그리는 영국 레딩대  (0) 2024.07.22
[2024년 29th 미래동향] To Lead In Education R&D, The U.S. Must First Invest In It, 2023년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평생학습 참여율, 평생학습 참여 프로그램), 2023년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평생학습의 성과, 평생학습 참여 환경), 국내 고등직업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성공적 마무리를 위한 과제  (0) 2024.07.15
[2024년 27th 미래동향] 5 of the biggest trends in higher education, 미래 사회를 위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글로벌 고등교육의 변화와 혁신, 대학 ESG 경영 문화 확산을 위한 방안  (0) 2024.07.01
[2024년 26th 미래동향] Next-Gen Education: 8 Strategies Leveraging AI In Learning Platforms, 우리나라 대학의 학과·전공 운영 개선을 위한 과제,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HUSS), 신규 연합체 선정 결과 발표, 한국사회과학협의회, 일반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한 계획 발표, 폭넓은 탄소 중립 영향력을 추구하는 요크대학교  (0) 2024.06.24
[2024년 25th 미래동향] AI, edtech can improve equity in college admissions, 아시아 최초의 캠퍼스 ‘42서울’, 교육, 지방과 지역 발전의 성장 동력, AI시대, 인문학의 역할과 위상, 브뤼셀자유대, ‘ESG 선도대학’이 되기 위한 움직임  (0) 2024.06.17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