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th 미래동향] Dark data: A potential source of illumination, 16년 만의 등록금 인상, 대학 재정난 해결될까?, 사립대학 구조개선 지원법안의 쟁점들, AI 시대의 리더, WISE Generation과 증강지혜, ‘기후 위플래시’의 위험성
미래동향 2025. 2. 24. 09:00Dark data: A potential source of illumination
다크 데이터는 대학과 조직의 운영을 최적화하고 의사결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다수의 데이터가 사용되지 않고 서버에 쌓여 남아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h9si
Dark data: A potential source of illumination
Dark data holds untapped potential for universities and organizations to optimize operations and enhance decision-making.
www.ecampusnews.com
16년 만의 등록금 인상, 대학 재정난 해결될까?
교수신문에 따르면, 올해 상당수 대학이 등록금 인상을 결정하였다고 하는데요. 이에 16년째 이어져 온 등록금 동결 기조가 깨지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giBv
16년 만에 깨지는 '등록금 동결' - 교수신문
올해 상당수 대학이 등록금 인상을 결정하면서 16년째 이어져 온 등록금 동결 기조가 깨지고 있다. 현재까지 최소 77곳의 대학이 올해 등록금을 올리기로 결정했다.대학가에서는 등록금 인상이
www.kyosu.net
사립대학 구조개선 지원법안의 쟁점들
박성철 변호사는 한국대학신문에 ‘사립대학 구조개선 지원법안의 쟁점들’ 제목의 칼럼을 공개하였다고 하는데요. 해당 법안은 대학이 처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발의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CdOK
[박성철의 교육법 산책] 사립대학 구조개선 지원법안의 쟁점들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
학령인구는 2021년부터 대학 입학정원에 이르지 못하게 됐다. 대학 재학생 연령대의 인구 추계를 보면, 2040년까지 5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견된다. 현재 입학정원의 절반 수준인 20만 명에 가까
news.unn.net
AI 시대의 리더, WISE Generation과 증강지혜
이재경 숙명여대 교육혁신원장(교육학부 교수)은 ‘AI 시대의 리더, WISE Generation과 증강지혜’라는 칼럼을 공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WISE Generation’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oDV
[시론] AI 시대의 리더 ‘WISE Generation’과 ‘증강 지혜’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 '
1956년 다트머스(Dartmouth) 회의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이래, 우리는 지금 AI의 혁신적 발전이 인간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변곡점에 서 있다. 단적인
news.unn.net
‘기후 위플래시’의 위험성
지구온난화로 인해 이상기후 현상인 ‘기후 위플래시’가 발생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미국, 동아프리카, 독일 등지에서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fD7Bw
온난화로 폭우-가뭄 널뛰기… ‘기후 위플래시’가 LA 산불 키웠다
《가뭄-폭우 극단 오가는 ‘기후 위플래시’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 수분 증발량이 많아지고 가뭄이 발생한다. 반면 대기는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하며 폭우가 쏟아지기도 한다. 이…
www.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