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rump and AI could impact higher ed in 2025  

EDUCAUSE 2024 온라인 세션에서 Paul LeBlanc는 트럼프의 승리와 AI가 고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언급하였다고 하는데요. 또한 고등교육의 가장 시급한 문제들에 대해 다루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CNdN
 

How Trump and AI could impact higher ed in 2025

Changes are on the horizon, and higher ed leaders are outlining how to help their institutions navigate new policies under Trump and with AI.

www.ecampusnews.com

 

고등교육법 26년 만의 전면 개정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을 대표발의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26년 만에 처음으로 발의된 전부 개정안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SAi
 

[정책인터뷰] 김대식 의원 “초당적 협력으로 발의된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중요한 것은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 공동발의는) 고등교육 문제가 정당 간의 이해관계를 초월해, 국민과 국가의 미래를 위한 공동 목표라는 점을 잘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news.unn.net

 

고등교육계, 교육부의 교육개혁에 불만 표출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윤석열 정부 2년 반 동안의 교육 분야 성과와 향후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히 교육부의 교육개혁에 대해 고등교육계는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LgQh
 

글로컬대학·라이즈, 원활히 추진? 대학은 '답답' - 교수신문

교육부가 임기 반환점을 지난 윤석열 정부의 교육개혁이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앞으로도 같은 기조를 이어나갈 뜻을 내비쳤다. 고등교육 분야의 경우 대표 정책인 '지

www.kyosu.net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중장기 계획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는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고등·평생교육 과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고등교육에 대한 규제 심화로 인해 개최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qiw6

 

"국립대, 교육·연구 중심으로 개편…대학재정, 등록금 자율화부터" - 교수신문

[국가교육위,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고등·평생교육 과제' 대토론회]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을 준비 중인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의 토론회에서 국립대는 교육·연구 중심으로 나누고, 사

www.kyosu.net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52nd 미래동향] As online learning programs grow, so does the need for data-informed decisions, ‘고교-대학 연계 학점 인정 체제’ 도입, 디지털 혁신을 통한 미래 인재 발굴, 다문화 사회 속 고등교육의 방향, 기후 암흑기 속으로, 국제 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  (0) 2024.12.23
[2024년 51st 미래동향] Success Program Launch: Incorporating VR Into the First-Year Seminar, 라이즈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과제, 글로컬대학 통해 지역혁신·국가균형발전의 성공 모델 제시, AI와 학문의 경계, 2025년, 기후 빌런의 귀환  (4) 2024.12.16
[2024년 49th 미래동향] The EDUCAUSE Top 10: Rebuilding trust in higher ed, 경계 없는 교육생태계로 가는 길, ‘사립대 구조개선법’의 부작용 우려, RISE 사업으로 인한 서울권 대학 ‘역차별’ 우려 제기, ESG 공시 의무화 법안 발의  (2) 2024.12.02
[2024년 48th 미래동향] How colleges can mitigate financial risk: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growth, 한국판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로 미래 산업 선도,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 무전공 정착을 위한 필수 전략, 에너지 자립을 이룬 독일의 친환경 모델  (1) 2024.11.25
[2024년 47th 미래동향] Top trends, takeaways point to online learning’s staying power, 산·학·연 협력을 통한 새로운 생태계 구축 필요, 인문·사회계열 학과의 위기 확산, 다문화 사회를 맞이하는 대학의 준비, 프랑스의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1) 2024.11.18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