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8th 미래동향] 대학교원의 역할 정체성에 대한 연구, 대학 한계 뛰어넘는 고등교육 시행령 개정안 발표, 국민투표 기후법 성공과 실패 사례, Is the metaverse dying?, 시니어를 위한 다양한 프..
미래동향 2023. 7. 10. 08:41대학교원의 역할 정체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은 대학교원의 교수 또는 연구 관련 역할 정체성이 교수·학습 특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요. 연구 결과, 두 정체성 모두 대부분 교수·학습 특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IujU
KEDI Brief - 한국교육개발원
www.kedi.re.kr
대학 한계 뛰어넘는 고등교육 시행령 개정안 발표
지난 6월, 교육부는 대학의 각종 규제를 철폐하는 내용의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하고 입법 예고에 들어갔는데요. 학과와 대학 간 장벽이 철폐되어 대학은 보다 폭넓은 혁신 전략을 실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MGGF
대학 학부-학과 칸막이 없애… 신입생 모두 ‘無전공 선발’ 가능
대학이 각 학문 분야를 학과와 학부로 나눠 운영해야 한다는 규정이 내년부터 사라진다. 학과 간 장벽이 철폐되면 2025학년도 신입생부터 ‘무(無)전공’ 입학을 시행하는 대학들이 …
www.donga.com
국민투표 기후법 성공과 실패 사례
지난 6월 스위스는 세계 최초로 국민투표를 통해 기후법을 통과시켰다고 하는데요. 이번 기후법 관련 투표로 스위스는 넷제로 목표를 법제화하는 동시에 함께 법인세도 약 15%로 인상할 전망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IuJX
스위스, 세계 최초로 국민투표 통해 기후법 통과…'알프스 빙하를 지켜라' - IMPACT ON(임팩트온)
전 세계 최초로 국민투표를 통해 \'기후법\'을 통과한 나라가 탄생했다. 스위스에서는 지난 18일(현지시각) 국민투표를 진행한 결과, 화석연료 사용 감축과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위한 기후법
www.impacton.net
Is the metaverse dying?
전 세계의 관심이 인공지능으로 이동하며 기존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였던 메타버스는 “죽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그러나 교육 분야에서는 작은 메타버스가 계속해서 구축되고 있으며, 일부 대학들은 여전히 메타버스에 열정적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73v
The Metaverse Hype Died Down. Where Does That Leave Colleges That Invested In It? - EdSurge News
The afterlife of a high-tech fantasy.
www.edsurge.com
시니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등장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등장하고 있다는데요. 교육 전문 온라인 플랫폼, 정보 제공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일자리 지원 사업 등이 최근 이목을 모으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8cp
“대세는 실버!” 5080세대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등장’
통계청이 지난 16일 발표한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 결과에 따르면, 급격한 고령화로 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점점 늘어 2037년엔 65..
edu.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