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edtech can improve equity in college admissions 

Bespoke Education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AI와 교육기술로 대학 입학 형평성 향상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이는 대학 상담사 중 79%가 응답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oWgt
 

AI, edtech can improve equity in college admissions

A survey takes stock of current trends in college admissions, online learning, and educational equity--including the impact AI will have.

www.ecampusnews.com

 

아시아 최초의 캠퍼스 ‘42서울’ 

이노베이션아카데미는 ‘42서울’이라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는 프랑스 ‘에꼴 42’에 로열티를 지불하고 정식으로 라이센스를 받으 아시아 최초의 캠퍼스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x4b
 

[UNN 리포트] “채용 안 한 기업은 있어도, 한 번만 채용하는 기업은 없다”…한국형 에꼴42 ‘42서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42서울’ 출신 학생을 한 번 채용한 기업은 이후에도 계속 채용 요청이 들어온다. ‘42서울’ 학생을 한 번도 채용하지 않은 기업은 있지만 한 번만 채용하는 기

news.unn.net

 

교육, 지방과 지역 발전의 성장 동력

지방에 사는 국민들은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실현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질적 성장이란 새로운 협력적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지역 균형발전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JXsX

 

AI시대, 인문학의 역할과 위상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문계열 문과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 수가 감소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인공지능 시대에도 인문학의 위상은 여전할 것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FJDO
 

인공지능 시대의 인재에게 사회가 바라는 것은 - 교수신문

[미래를 준비하는 인문사회⑦ AI시대 인문학의 역할과 위상_정혜중] AI를 사용해 ‘어떤 가치를 창출할 것인가’를 명확히 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AI를 선택할 때에도 인문학적 사고와 상상력이

www.kyosu.net

 

브뤼셀자유대, ‘ESG 선도대학’이 되기 위한 움직임 

브뤼셀자유대학교는 2년에 한 번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내놓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ESG 선도대학‘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oXfg
 

[대학 ESG心(이심전심) 동행 시리즈 ⑨브뤼셀자유대] ‘ESG 선도대학’ 전환 박차…지속가능성 높

10조 달러를 운용하는 세계 최대 투자회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은 2020년 연례서한에서 “ESG를 실천하지 않으면 도도새처럼 멸종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환경 보호에 남다른 관심을 보이는

news.unn.net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27th 미래동향] 5 of the biggest trends in higher education, 미래 사회를 위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글로벌 고등교육의 변화와 혁신, 대학 ESG 경영 문화 확산을 위한 방안  (0) 2024.07.01
[2024년 26th 미래동향] Next-Gen Education: 8 Strategies Leveraging AI In Learning Platforms, 우리나라 대학의 학과·전공 운영 개선을 위한 과제,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HUSS), 신규 연합체 선정 결과 발표, 한국사회과학협의회, 일반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한 계획 발표, 폭넓은 탄소 중립 영향력을 추구하는 요크대학교  (0) 2024.06.24
[2024년 24th 미래동향] EDUCAUSE Horizon Report notes AI’s role in shaping teaching and learning, 교육부, 대학혁신 성가평가 결과에 맞춰 인센티브 배분, 첨단분야 인재양성 연합체 5개 신규 선정 발표, ‘부산대교’에서 결정될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성안 여부  (0) 2024.06.10
[2024년 23rd 미래동향] Survey: More students want to go to graduate school, 제5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추진배경, 그간 정책에 대한 평가), 제5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미래의 정책 여건 및 시사점, 추진방향), 전국 전문대학, ‘자유전공학부’ 도입 방안 모색, 석유화학계 로비스트들로 난항 겪은 플라스틱 국제협약 4차 회의  (0) 2024.06.03
[2024년 22nd 미래동향] How Universities Can Adapt To The Evolving Demand, 학령인구 급감과 대학 구조개혁 현황, 교육부, 3주기 사업 계속지원 여부 평가 결과 발표, 학령인구 감소 시대의 평생교육, 코네티컷대, ‘2030 탄소중립’을 위한 계획 발표  (0) 2024.05.27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