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tting costs while maintaining value: The challenge for higher education 

eCAMPUS NEWS에 따르면, 미국 고등교육 기관들은 심각한 재정 위기에 직면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제한된 자원으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AI 기반 조달 시스템’에 주목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dCSjI
 

Cutting costs while maintaining value: The challenge for higher education

AI-powered procurement tools can help higher education build more efficiency and financial stewardship into their decision-making.

www.ecampusnews.com

 

아시아판 에라스무스를 향한 도전  

상지대(총장 성경륭)는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1회 상지코리아포럼’을 개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한류를 기반으로 한 아시아판 에라스무스(유럽연합 국가 사이의 교환학생 프로그램)인 ‘글로벌 한류 연합대학’의 청사진을 제시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3ed
 

상지대, ‘글로벌 한류 연합대학’ 추진 - 교수신문

[세계 한류·한상·한인 네트워크 활용] 상지대(총장 성경륭)가 한류를 기반으로 한 아시아판 에라스무스(유럽연합 국가 사이의 교환학생 프로그램)인 ‘글로벌 한류 연합대학’의 청사진을 제

www.kyosu.net

 

소규모 대학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소규모 대학이 맞닥뜨린 교육 현안을 수렴하고 개선 요구사항을 교육부에 전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라이즈 체계와 재정지원평가라는 정부의 두 가지 정책틀 속에서 소규모 대학들은 상대적으로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dCTLr
 

소규모 대학들 “교육혁신, 동참할 기회를 달라” - 교수신문

[대교협, 교육부에 소규모大 현안 ‘정책 개선’ 건의] “소규모 대학도 교육혁신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소규모 대학이 맞닥뜨린 교육 현안을 수렴하고 개선

www.kyosu.net

 

지속가능한 고등교육재정 해법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는 중앙대학교 100주년 기념관에서 ‘제3차 고등교육재정 혁신 토론회’를 개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번 토론회는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의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진행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4w3

 

고등교육 전문가들 “고등교육재정 안정적 확충 위해 고특회계 연장 시급” - 한국대학신문 - 411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교육계 전문가들이 모여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고특회계)의 성과와 과제를 논하는 자리가 열렸다.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한국교육재정경제

news.unn.net

 

폭증하는 플라스틱, 미약한 재활용 

중국 칭화대 연구팀이 10일(현지시각) 학술지 ‘커뮤니케이션스 지구와 환경’에 논문을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 논문에는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이 해마다 8%씩 폭발적으로 늘고 있고, 재활용률은 10%가 채 안 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YPFf
 

매해 4억톤씩 생산되는 플라스틱, 재활용 소재는 10% 안 된다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이 해마다 8%씩 폭발적으로 늘고 있지만, 재활용률은 10%가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칭화대 연구팀이 10일(현지시각) 학술지 ‘커뮤니케이션스 지구와 환경’에

www.hani.co.kr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7th 미래동향] 4 Layers of Corequisite Education Support, 지역전략 특성화 인재양성, ‘라이즈’ 체계로 가속화, 교육의 종말인가, 진화의 시작인가, 기후전환기의 갈림길: 기후경제부인가, 기후 환경부인가  (0) 2025.05.05
[2025년 15th 미래동향] Millennials feel financially unstable–continuing education may be the solution,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5가지 로드맵, 대학 재정위기 개선 방안, 통합인문학의 현재와 미래, 기후위기 시대의 산불 대응 전략  (0) 2025.04.21
[2025년 14th 미래동향] Amid Financial Headwinds, Could Course Sharing Offer Colleges Relief?, 글로컬대학이 바꾸는 고등교육 지형도, 전공자율선택제, 자율성과 정책 목표 사이의 딜레마, 대학평가의 방향성 재정립을 위한 고찰, 기후변화 시대 산불 대응체계의 방향성  (0) 2025.04.14
[2025년 13th 미래동향] How AI is reshaping the LMS: A framework for responsible implementation, 자율·성과 기반 고등교육 재정지원 체계 개편 방안, RISE 기반 대학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사립대학 적립금, 선택 아닌 의무로 자리잡다, 트럼프 시대의 기후정책 후퇴 속 한국의 대응 전략  (0) 2025.04.07
[2025년 12th 미래동향] 7 workforce readiness strategies to give grads an edge, ‘대학-지역-기업’과 함께 유학생 지원 확대, 성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키, 트럼프 행정부 연구비 삭감, 신진 연구자들 피해 심화, 전쟁이 남긴 3억톤의 온실가스  (0) 2025.03.31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What Is The Future Of Onlin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eCAMPUS NEWS에서는 ‘고등교육 분야에서 온라인 학습의 미래 전망’에 대해 다루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Forbes에 따르면, 오늘날 750만 명의 미국 학생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pr5i
 

What Is The Future Of Onlin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 recent years, the proliferation of online learning has fundamentally reshaped the landscape of higher education. As digital tools and ... Read more

www.ecampusnews.com

 

첫 걸음을 뗀 외국인 유학생·성인학습자 규제 완화 

교육부는 「고등교육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을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외국인 유학생 및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대입 규제를 완화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5RW
 

외국인 유학생·성인학습자 수시 모집, ‘수업 연한 유연화’ 첫걸음 될까 - 한국대학신문 - 411개

[한국대학신문 주지영 기자] 교육부가 외국인 유학생, 성인학습자 선발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향후 외국인 유학생, 성인학습자의 수업 연한 유연화로 확대될 것이라는 교육계 기

news.unn.net

 

인문사회학을 통한 ESG 경영의 해결책 

황인태 중앙대 명예교수는 ‘ESG 경영시대의 인문사회학’에 대해 다루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ESG 경영과 관련하여 인문사회과학의 더욱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gWq
 

ESG 낳은 사회적 불평등·환경오염 심화, 인문사회 적극 역할 요구 - 교수신문

[미래를 준비하는 인문사회⑫ ESG 경영시대의 인문사회학] 인류가 당면한 여러 문제의 해결책의 하나로 등장한 ESG 경영과 관련해 인문사회학의 더욱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전 인류가

www.kyosu.net

 

청년 창업 활성화 동향 분석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2024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대학생들이 신규 창업한 기업의 수가 전년 대비 23.4%나 증가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tG4A
 

지난해 대학생 창업 23.4% 늘었다…창업강좌 이수자 수도 증가 - 교수신문

지난해 4년제 대학에 다니는 대학생들이 신규 창업한 기업의 수가 전년 대비 23.4%나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 불황 등의 요인으로 청년들의 취업난이 장기간 지속되자 직접 회사를 차려 일

www.kyosu.net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 전략 

미국 정부가 플라스틱 오염을 ‘위기’로 정의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온실가스와 여러 화학오염물질을 유발하는 플라스틱 생산에 더 규제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OF42
 

백악관, 美 2035년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 전략 발표...“플라스틱 오염 ‘위기’ 맞아” | 그리니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릴 플라스틱 국제협약 논의 회의를 앞두고, 미국 정부가 플라스틱 오염을 ‘위기’로 정의했습니다. 플라스틱 오염의 심각성과 대응의 시급성을 미 정부가 인정한 것은 이

greenium.kr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7th 미래동향] Tomorrow University’s Impact MBA Launches on Apple Vision Pro in Germany, France, Canada and the UK, 대학 정책 기조의 방향성, 대학 혁신의 열쇠, 데이터 기반 성과관리, 교육개혁 지원을 위한 예산안,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길  (1) 2024.09.09
[2024년 36th 미래동향] How will the rise of AI in the workplace impact liberal arts education?, 글로벌 인재 성장을 위한 도구, 우수 사학법인의 기준, 자동차가 거의 없는 ‘카프리(car-free)올림픽’, 기후위기를 둘러싼 AI의 두 얼굴  (2) 2024.09.02
[2024년 34th 미래동향] 6 key trends in global skills development, ‘교육발전특구’ 통해 지역 맞춤형 교육혁신 추진, 인류 혁명 시대, 한국 대학의 혁신 방안, 세계적 인문학 연구소 육성을 위한 지원 방향  (0) 2024.08.19
[2024년 33rd 미래동향] OpenAI launches ChatGPT Edu for universities, 평생교육을 통한 대학 위기 극복 방안, 대학혁신을 위한 최우선 과제, 세계 최고의 학력을 유지하는 핀란드의 고등교육 시스템,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성사를 위한 한국의 대응 전략  (0) 2024.08.12
[2024년 32nd 미래동향] The Impact of Blockchain In Education on Tomorrow’s Learning Landscape, ‘반려동물 유치원’보다 저렴한 사립대 등록금, 대학 특성별 글로벌 교육 역량 강화 및 유학생 유치 지원, 전문기술 석사과정 발전 및 지역 연합의 중요성, 플라스틱 감축을 위한 산업계의 노력  (1) 2024.08.05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고등교육의 미래는 ‘하이브리드 캠퍼스’이다

이제 학생들은 대학에서 새로운 가치, 즉 진로 지향적인 전공과 온라인 학습과 연계하여 캠퍼스에 있을 수 있는 유연성을 원하고 있는데요. 하이브리드 캠퍼스야말로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HaGbQM
 

The Future of Higher Education Is the Hybrid Campus -- Campus Technology

Blending the best of face-to-face instruction with the flexibility of online learning can enhance the higher ed experience for all types of learners, lower the cost of a degree and better prepare students for the workforce.

campustechnology.com

 

기후위기 대응 방향 전환이 필요한 이유

기후위기 대응 전략으로서 플라스틱 재활용 방안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데요. 일각에서는 플라스틱 재활용이 오히려 환경오염을 악화시키므로 생산 자체를 억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기후위기 대응 방향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하겠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Q8Jb4p
 

‘플라스틱 재활용’ 효과 없다...“그린워싱 홍보 전략일 뿐” - 한스경제(한국스포츠경제)

[한스경제=박지은 기자] 미국에서 플라스틱을 재활용 보다 플라스틱 생산 자체를 억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플라스틱 재활용 캠페인이 오히려 환경오염을 악화시킨다는 분석 때문

www.sporbiz.co.kr

 

ESG경영 강화를 위한 AI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디지털화가 강조되면서 AI 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성 증대 전략에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요. Oracle의 보고서에 따르면 경영인들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의사결정에 사람보다 AI를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Ocxnfr
 

[디지털 인사이트] AI, 지속가능성에 눈뜬 기업들의 ESG경영 엔진으로

[디지털 인사이트] AI, 지속가능성에 눈뜬 기업들의 ESG경영 엔진으로 Vol.235 (2022년 6월호) 데이터는 AI 모델을 구동하는 연료이다.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으면 AI 시스템의 성능은 저하되고 결국 실

www.chiefexe.com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지속가능발전대학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이 대두되면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요. 최근 경주시에서 경주시민의 ESD를 위한 지속가능발전대학을 개강했다고 합니다. 대학의 운영으로 경주 지역이 어떠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zCoKH2
 

경주시, 지속가능발전대학 개강 - 경북일보 - 굿데이 굿뉴스

인류의 보편적 문제해결과 인재 양성을 목표로 지역에서 처음으로 진행되는 경주시 지속가능발전대학이 개강했다. 경주시는 ‘경주시 지속가능발전대학’이 지난 2일 경주대학교 본관에서 입

www.kyongbuk.co.kr

 

인공지능과 함께한 고등교육 대화

Inside Higher Ed는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에 더해 고등교육을 어떻게 더 잘 분석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였는데요. 이를 해소하고자 고등교육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기업 OpenAI의 인공지능과 대화하였다고 하여 주목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QouM45
 

My Higher Ed Conversation With OpenAI | Inside Higher Ed

How an artificial intelligence answers questions about the post-COVID university, online learning, OPMs, CTLs and endowments.

www.insidehighered.com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