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cess Program Launch: Incorporating VR Into the First-Year Seminar 

University of Miami는 신입생 세미나에서 VR 기술인 ‘UMverse’를 도입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신입생들의 소속감을 높이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친숙함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ytEy
 

Encouraging campus, city exploration with virtual reality

This fall, the University of Miami introduced a new virtual reality tool into a first-year course. The initiative is targeted toward retention and engagement of students, as well as improving their feelings of belonging.

www.insidehighered.com

 

라이즈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과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가 올 한 해 7곳 지역의 시범사업 기간을 거쳐 내년 전국으로 확대된다고 하는데요. 특히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대학과 지자체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qlkn
 

[본지-대교협 공동기획③] 라이즈(RISE) 내년 전국 시행…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 한국대학신문 -

[한국대학신문 김영식 기자] 디지털 대변혁의 시대를 맞아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적응할 새도 없이 2024년 한 해가 빠르게 흘러갔다. 2025년에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가 전국에 도

news.unn.net

 

글로컬대학 통해 지역혁신·국가균형발전의 성공 모델 제시 

경상국립대학교는 글로컬대학으로 선정되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글로컬대학 사업을 통해 지역혁신과 국가 균형발전의 성공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PwJB
 

[글로컬대학 릴레이 인터뷰/경상국립대] 곽태수 글로컬대학사업단장 “우주항공방산 허브 대학

교육부는 지난해부터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강조하면서 대학의 역할 확대를 강조해 왔다. 특히, ‘글로컬대학30 사업’은 비수도권 대학을 대상으로 한 곳당 5년간 최대 1000억 원

news.unn.net

 

AI와 학문의 경계 

노대원 제주대 국어교육과 교수는 ‘AI는 연구자를 대체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칼럼을 공개했다고 하는데요. 특히 연구의 최종 감독이자 책임자는 언제나 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Yl5
 

AI는 연구자를 대체할 것인가…왜 이 연구를 하고 있습니까 - 교수신문

[인문학자가 인공지능에 던지는 질문⑤ 노대원 제주대 교수] AI가 효율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이끌어갈 때,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충분히 고민할 수 있는 주체

www.kyosu.net

 

2025년, 기후 빌런의 귀환 

‘기후위기 부정’ 대표주자인 트럼프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를 앞두고 세계가 긴장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지난 임기 때보다 극단적인 ‘친환경 지우기’에 나설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XIx
 

[돌아온 트럼프와 지구] 다시 ‘친환경과의 전쟁’? 더 강해져 돌아온 트럼프의 ‘반환경’ 구상

“미국 역사상 최악의 환경파괴 대통령이 돌아왔다. 2기는 더욱 잔혹할 것이다.” 미국 역사학자 더글러스 브링클리 라이스대학 교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을 두고 내

www.khan.co.kr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53rd 미래동향] How universities ethically leverage AI, 비수도권 사립대학 경영 위기 심화, 장기 침체기를 대비하기 위한 인문사회 발전전략, 대학 평생교육원 위상 강화 방안  (0) 2024.12.30
[2024년 52nd 미래동향] As online learning programs grow, so does the need for data-informed decisions, ‘고교-대학 연계 학점 인정 체제’ 도입, 디지털 혁신을 통한 미래 인재 발굴, 다문화 사회 속 고등교육의 방향, 기후 암흑기 속으로, 국제 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  (0) 2024.12.23
[2024년 50th 미래동향] How Trump and AI could impact higher ed in 2025, 고등교육법 26년 만의 전면 개정, 고등교육계, 교육부의 교육개혁에 불만 표출,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중장기 계획  (1) 2024.12.09
[2024년 49th 미래동향] The EDUCAUSE Top 10: Rebuilding trust in higher ed, 경계 없는 교육생태계로 가는 길, ‘사립대 구조개선법’의 부작용 우려, RISE 사업으로 인한 서울권 대학 ‘역차별’ 우려 제기, ESG 공시 의무화 법안 발의  (2) 2024.12.02
[2024년 48th 미래동향] How colleges can mitigate financial risk: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growth, 한국판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로 미래 산업 선도, ‘고등교육법 전부 개정안’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 무전공 정착을 위한 필수 전략, 에너지 자립을 이룬 독일의 친환경 모델  (1) 2024.11.25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