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th 미래동향] The unthinkable becomes reality: Higher ed in the wake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s dismantling, 고등교육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한 첫걸음, ‘대학 통합’ 논의 활성화, 미래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한국 대학의 역할, 미국 유권자 70%, 트럼프의 기후 정책 반대
미래동향 2025. 3. 4. 09:00The unthinkable becomes reality: Higher ed in the wake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s dismantling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교육부를 체계적으로 해체할 행정명령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이에 AI 기반 분석과 같은 방안으로 대응해나가야 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WiHZ
The unthinkable becomes reality: Higher ed in the wake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s dismantling
The dismantling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s a moment of disruption, but also one of reinvention for higher education.
www.ecampusnews.com
고등교육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한 첫걸음
교육부와 강원대 교육재정연구소는 ‘제1차 고등교육 재정 혁신 토론회’를 가졌다고 하는데요. 이는 '고등교육 재정지원 기본계획'(2025-2029)의 세부 과제를 구체화하고자 마련된 자리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glCg
"한국 대학, 국가 경쟁력 10위권 위해 추가 재원 18~37조 필요" - 교수신문
[제1차 고등교육 재정 혁신 토론회] 우리나라 대학이 국제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연간 7조 원의 공적 재원이 추가로 투입돼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기서 더 나아가 세계 국
www.kyosu.net
‘대학 통합’ 논의 활성화
교육부는 대학 통합을 추진 중인 글로컬 통합대학 총장들과 함께 ‘글로컬 통합대학 이행 점검 회의’를 진행했다고 하는데요. 특히 개별 대학의 통합 모델이 갖는 의미를 상호 공유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Ych5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교육부, 통합 추진 글로컬대학 이행 상황 점검- 글로컬대학 통합 추진 대학별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효과적 통합 추진 논의- 글로컬대학 성과관리 및 학생·학부모 신뢰 보호 등을 위해 ‘통합
www.moe.go.kr
미래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한국 대학의 역할
세종대학교 총장은 ‘2025년 대한민국 대학, 4차 산업 혁명 변화 주도하고 국가 미래 책임져야’라는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대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다루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sXA
[희망 대한민국] 2025년 대한민국 대학, 4차 산업혁명 변화 주도하고 국가 미래 책임져야 - 한국대
대한민국 대학은 국가 경제와 사회 발전의 중심축으로서 수많은 위기 속에서도 혁신을 통해 꾸준히 성장해 왔다. 이제 4차 산업혁명의 거대한 물결 속에서 대학은 다시 한 번의 변화를 요구받고
news.unn.net
미국 유권자 70%, 트럼프의 기후 정책 반대
미국 예일대와 조지 메이슨대가 미국 유권자 890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유권자의 70%가 기후 친화적 정책을 지지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tpY
트럼프 대통령 뽑긴 했지만…미국인 70%는 “기후변화 막아야”
취임 직후 파리협정을 탈퇴하고 화석연료 확대 등의 정책을 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를 대통령으로 선출한 미국인들이지만, 미국 유권자의 절반 이상은 지구온난화 대응과 청정 에너지원 개발
ww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