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predictions for education and workforce in 2025 

Christensen 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미국의 교육과 직업 시장에서 중요한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는데요. 특히 실무 경험에 중점을 둔 채용 트렌드가 나타날 것으로 보여진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dCnAz
 

6 predictions for education and workforce in 2025

As education experts look to new predictions, they've identified key higher education focus areas that are waiting for transformative change.

www.ecampusnews.com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 혁신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2025년 사이버대학 디지털 교육환경 고도화 지원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번 사업은 사이버대학을 대상으로 4년 만에 신설된 재정지원 사업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ArC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2025년 사이버대학 디지털 교육환경 고도화 지원사업 기본계획 발표- 「인공지능·디지털(AID) 30+ 프로젝트」 후속조치로, 사이버대학 디지털 교육 인프라 구축 및 최신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된

www.moe.go.kr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및 실태조사, 학위·어학연수 과정 모두 증가

교육부와 법무부는 ‘2024년 교육국제화역량 인증 심사 및 유학생 유치‧관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2024년 인증대학의 학위 및 어학연수과정이 모두 증가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zQ1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교육국제화역량 인증대학 및 유학생 유치·관리 실태조사 결과 발표- 인증대학 158개교(전년대비 24개교 증가), 비자정밀 심사대학 11개교 확정- 인증대학의 유학생 수 증가, 인증대학에 유학생 비

www.moe.go.kr

 

미래 직무 역량을 키우는 방법 

한광식 전문대학평생직업교육협회 사무총장은 ‘인재 부족, 업스킬링과 리스킬링으로 극복하자’라는 칼럼을 한국대학신문에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요즘 같은 사회를 뷰카(VUCA) 시대로 정의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gwJ4

 

[수요논단] 인재 부족, 업스킬링과 리스킬링으로 극복하자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

요즘 같은 사회를 뷰카(VUCA) 시대로 정의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초연결, 초지능, 초실감 기술이 우리의 일상을 바꿔 놓았고 이와 동시에 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news.unn.net

 

극단적인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의 대응책 

환경부는 ‘기후대응댐’ 건설을 추진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기후위기로 인한 극한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국민 생명을 지키고 미래 물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키우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WuRR
 

댐 추진 9곳 확정…'반도체 물 공급' 수입천댐 등 3곳 '보류'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정부가 9곳에 추가로 댐을 짓기로 확정했다.

www.yna.co.kr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2th 미래동향] 7 workforce readiness strategies to give grads an edge, ‘대학-지역-기업’과 함께 유학생 지원 확대, 성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키, 트럼프 행정부 연구비 삭감, 신진 연구자들 피해 심화, 전쟁이 남긴 3억톤의 온실가스  (0) 2025.03.31
[2025년 11th 미래동향] Academic Success Tip: Reducing Barriers to Tutoring Participation, 지역대학 재정 위기, 수도권 대학과의 격차 심화, 미국, 교육부 해체 논란 속 정책 변화 가속화, 대학 재정 위기 해결을 위한 등록금 인상의 필요성, ‘청정산업딜’로 유럽의 탈탄소화 가속화  (0) 2025.03.24
[2025년 9th 미래동향] Peering into the digital AI divide,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디지털 집중과정 신설, 대학과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서울형 라이즈’, 북극 온난화 2.7도 상승에 따른 연쇄적 변화  (0) 2025.03.10
[2025년 8th 미래동향] The unthinkable becomes reality: Higher ed in the wake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s dismantling, 고등교육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한 첫걸음, ‘대학 통합’ 논의 활성화, 미래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한국 대학의 역할, 미국 유권자 70%, 트럼프의 기후 정책 반대  (0) 2025.03.04
[2025년 7th 미래동향] Dark data: A potential source of illumination, 16년 만의 등록금 인상, 대학 재정난 해결될까?, 사립대학 구조개선 지원법안의 쟁점들, AI 시대의 리더, WISE Generation과 증강지혜, ‘기후 위플래시’의 위험성  (0) 2025.02.24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