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ersive learning labs come to campus 

최근 많은 대학 캠퍼스에서 몰입형 학습 센터를 출범시키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선택한 직업 분야에서의 직접적인 실무 경험을 제공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hly9
 

Immersive learning labs come to campus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such as AI, VR, and AR put students front-and-center in realistic learning scenarios.

www.ecampusnews.com

 

온라인 고등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는 사이버대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사이버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사이버대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맞춤 커리큘럼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lR6
 

사이버대 “차별화된 20년 원격 수업 노하우 보유…‘원대협법’ 제정으로 평생학습 시대 ‘핵

[한국대학신문 김소현 기자] 20년 이상의 원격 수업 노하우를 갖춘 사이버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등교육법 제2조 제5호에 의해 설립된 사이버대는 시·공간에 제약 없이 누구나 원격

news.unn.net

 

고등교육 위기 극복 방안   

한국사학진흥재단 새 수장으로 이하운 전 동양대 총장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고 하는데요. 히 한국사학진흥재단은 대학 지속 가능성 확보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hmoF
 

[파워인터뷰] 이하운 한국사학진흥재단 이사장 “정부와 지역, 대학 간 연계·협력 통해 대한민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사립학교의 진흥과 발전을 책임지는 유일한 공공기관인 한국사학진흥재단 새 수장으로 이하운 이사장이 취임했다. 이 이사장은 동양대가 문을 연 1994년부터 30여 년

news.unn.net

 

학생 이해를 위한 교수법의 방향성  

대경대 조중현 교수는 “학생과의 대화 위해서는 지금의 시대적 상황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 하였다는데요. 이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생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알아봤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x9d
 

[조중현의 4MAT 이야기] 교수 생각을 바꿔야 학생 행동이 바뀐다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

많은 대학은 방학 중에 교수들을 대상으로 교수법 연수, 상담기법 연수 등을 실시해 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생과의 관계를 조금 더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번 여름 방학 기간에도 여러 대학

news.unn.net

 

기후 위기 시대, 우리가 지켜야 할 것들 

책 ‘우리는 지구를 떠나지 않는다’는 환경과 기후위기, 인류와 비인간 존재의 공존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담은 에세이라고 하는데요. 특히 각자의 경험과 사상이 들어가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lzCM
 

비인간 존재에 자선 아닌 연결되기...자급하는 삶으로 기후 위기 대응 - 교수신문

[문화 비틀어보기_『우리는 지구를 떠나지 않는다』] 환경 이슈가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경우도 많다. 에코백이나 텀블러 등의 소비 물품으로 한정해 이해되기도 하고, 동물권에 대한 주장은 ‘

www.kyosu.net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디지털 격차 해소에 대한 고찰

현대 사회가 디지털 사회로 전환되면서 기술의 접근으로 인한 디지털 형평성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혁신이 반드시 필요해 보이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0i4laz
 

Bridging the Digital Gap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 Campus Technology

Investments in tech infrastructure as well as faculty training are essential to navigate the equity implications of higher education's new normal.

campustechnology.com

 

사이버대에 늘어나는 만학도

올해 사이버대 입학생 수가 설립 이후 가장 많았다고 하는데요, 특히 26세 이상 만학도 입학생의 비율이 10명 중 7명 꼴이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2Z7MDGx
 

사이버대 ‘2004년 설립이래 최대’ 입학생 3만8273명.. 만학도 비율 73.6%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올해 고등교육기관 중 원격/사이버대에 입학한 학생 수가 2004년 설립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입학생 수는 3만8273명으로 전년보다 4206명(12.3%) 늘었

www.veritas-a.com

 

‘종이책’에서 ‘전자책’으로, 대학 도서관의 미래

대학생들이 도서관에서 빌리는 종이책의 권수가 반토막이 났다고 하는데요, 전자책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인해 종이책을 대출하던 방식이 전자책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jaCQGH
 

대학의 ‘심장’ 도서관… 학생 대출 책수 10년 새 ‘반토막’ - 한국대학신문 - 409개 대학을 연

[한국대학신문 이중삼 기자] 대학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도서관에 ‘먹구름’이 엄습했다. 대학생들이 매년 도서관에서 빌린 종이책 권수가 10년 새 ‘반토막’이 났기 때문이다. 도서관을

news.unn.net

 

학교가 교수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방법

코로나 팬데믹의 확산으로 학생뿐만 아니라 교수자들의 스트레스도 증가하였는데요, 학생 케어와 더불어 교수자들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돌봄 문화’를 새롭게 구상해야 할 필요가 있겠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FXKmOX
 

‘A Culture of Care’: How Schools Can Alleviate Educator Stress This Year (Opinion)

It takes more than deep breathing to alleviate the stress teachers feel. Here's how to get to the root cause.

www.edweek.org

 

비건 식품과 MZ세대의 비거니즘 문화

식품업계에서 비거니즘 문화의 중심인 MZ세대의 소비에 부응하여 대체육과 대체식품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bit.ly/3lVyeWw
 

식품업계, 대체육·대체식품 통해 '가치소비' 수요 부응

식품업계가 최근 불고 있는 건강 트렌드에 부응, 대체식품·대체육 제품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특히 신흥 소비세력으로 떠오른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신념과 가치관을 바탕으로 소비하는 '

www.thebigdata.co.kr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