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ggest Education Trends Of The Next 10 Years 

유명한 영국 미래학자인 버나드 마르는 ‘2035년까지의 교육 트렌드’를 전망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AI, 온라인 학습, 가상 및 증강현실과 같은 기술은 점점 더 중요한 역할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tkUe
 

The Biggest Education Trends Of The Next 10 Years

The Biggest Education Trends Of The Next 10 Years

www.forbes.com

 

인문학 : 국가 협력의 근간  

류재한 전남대 명예교수는 ‘미래를 준비하는 인문사회,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설명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인문학은 국가 브랜드와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LkT
 

‘소프트파워’ 절감한 K 컬처…그 연성권력은 어디서 나오는가 - 교수신문

[미래를 준비하는 인문사회⑩브랜드와 인문학] 국가 브랜드는 바로 문화이고 문화는 감성을 장악하는 ‘소프트파워’다. 그리고 감성을 장악할 수 있는 연성권력은 인문학적 상상력과 창의성

www.kyosu.net

 

첨단산업 인재와 함께하는 지역 혁신 

교육부는 ‘2024년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시행계획’을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지산학연협력 활성화로 지역인재 양성-취창업-정주 선순환체계 구축하고자 하는 목표를 제시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100293&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2024년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시행계획 발표

2024년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시행계획 발표- 미래.지역특화 산업 분야 인재양성, 기술이전 등 기술사업화 체계 혁신, 창업 활성화를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 지산학연 협력 생태계 조성

www.moe.go.kr

 

글로벌 인재를 위한 로드맵 

전북자치도는 ‘JB 유학생 15,000 이룸 프로젝트’를 수립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도내 대학과 협업해 2030년까지 1만 5000명의 유학생을 유치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FW0L
 

[연재기획 ‘해외 유학생 유치, 지금부터 시작이다’] ②유학생 유치를 위한 지자체의 역할과 지

학령인구가 급격하게 줄면서 대학의 위기를 타개할 방안 중 하나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다. 교육부는 이 같은 정책의 일환으로 지난해 8월 ‘Study Korea 300K Project’를 발표했다. 지방소멸 위험과

news.unn.net

 

기후위기시계, 5년에서 4년으로 축소  

기후위기시계는 22일 0시를 기해 ‘4년 364일 23:59:59’로 접어들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국제 기후행동단체 더클라이밋클락이 올해 ‘기후 비상의 날’을 7월 22일로 정하였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kYD6
 

돌이킬 수 없는 지구 재앙,이제 4년 남았다

오는 22일 서울 용산구 헤럴드 본사에 설치된 기후위기시계, 앞 자리가 ‘5’에서 ‘4’로 바뀐다. 이 숫자의 변화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지구의 경고다. 기후위기시계의 숫자는 지구가 돌이킬

news.heraldcorp.com

 

'미래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3rd 미래동향] OpenAI launches ChatGPT Edu for universities, 평생교육을 통한 대학 위기 극복 방안, 대학혁신을 위한 최우선 과제, 세계 최고의 학력을 유지하는 핀란드의 고등교육 시스템,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성사를 위한 한국의 대응 전략  (0) 2024.08.12
[2024년 32nd 미래동향] The Impact of Blockchain In Education on Tomorrow’s Learning Landscape, ‘반려동물 유치원’보다 저렴한 사립대 등록금, 대학 특성별 글로벌 교육 역량 강화 및 유학생 유치 지원, 전문기술 석사과정 발전 및 지역 연합의 중요성, 플라스틱 감축을 위한 산업계의 노력  (1) 2024.08.05
[2024년 30th 미래동향] An AI primer for higher-ed leaders and educators, 7천 명 해외 수강생을 유치한 '버추얼 스쿨', 세계적 수준의 연구·교육을 위한 협력 활성화 방안, 학령인구 급감을 타개할 해결책, ‘지속가능한 미래 교육’을 그리는 영국 레딩대  (0) 2024.07.22
[2024년 29th 미래동향] To Lead In Education R&D, The U.S. Must First Invest In It, 2023년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평생학습 참여율, 평생학습 참여 프로그램), 2023년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평생학습의 성과, 평생학습 참여 환경), 국내 고등직업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성공적 마무리를 위한 과제  (0) 2024.07.15
[2024년 28th 미래동향] From crisis to catalyst: Online education four years later, 미래지향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대학 평가, 첨단 연구장비 구축과 관리·운영 비용 일괄 지원 사업, 반도체 산업 초격차를 위한 인재 양성 지원 확대, ‘한국학 온라인 강좌’ 확산 양상  (0) 2024.07.08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