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tool translates college learning experiences into workforce skills 

새로운 에듀테크 리소스를 통해 교육자와 학생은 교육 경험을 실무에 적용하기가 쉬워진다고 하는데요. 이에 졸업생의 취업 가능성과 실무에서의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yiRW
 

New tool translates college learning experiences into workforce skills

The Lightcast Open Skills Library will help faculty link classroom instruction with real-world skills, priming students for the workforce.

www.ecampusnews.com

 

‘빅블러 시대’, 전공 선택권 확대의 필요성 

교육부가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한 ‘전공자율선택제 성과포럼’이 진행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전공자율선택제가 안정적으로 정착·운영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자리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lL7t
 

‘전공자율선택제’ 성공적 안착하려면 입학부터 졸업까지 체계적 교육과정·지원 체제 마련돼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2025학년도 전공자율선택제가 확대될 예정인 가운데 전공자율선택제가 안정적으로 정착·운영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전공자율선택제를

news.unn.net

 

기술이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지난해 정부 지원을 통한 대학들의 산업계 기술이전으로 인한 수입이 1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하는데요. 현재 정부는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BRIDGE·브릿지) 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pY3G
 

[창간36주년 기획] “연구성과 산업계로”…기술이전 속도 높이는 대학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

[한국대학신문 김영식 기자] 지난해 정부 지원을 통해 대학들의 산업계 기술이전으로 인한 수입이 1000억 원을 돌파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현재 ‘대학 창의

news.unn.net

 

대학 교육혁신의 현주소  

한국교육개발원은 ‘대학 교육혁신, 현장의 목소리를 듣다’라는 KEDI 브리프를 냈다고 하는데요. 특히 대학 구성들은 대학 혁신을 위해 '교육과정 혁신'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b67
 

"교육과정 혁신 가장 필요…기반 구축 플랫폼 지원을" - 교수신문

대학 교수와 학생들은 대학 혁신을 위해 '교육과정 혁신'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고, 이를 위해 대학 현장에서는 혁신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에 대한 지원 요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www.kyosu.net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존재적 삶의 전환 

조용우 부산환경교육센터 이사는 이제는 에너지 사용 자체를 줄이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 전하였다는데요. 특히 지속가능한 유지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lOts
 

[환경칼럼] ‘존재적 삶의 양식’만이 기후위기의 근본적 해결책이다 - 천지일보

조용우 부산환경교육센터 이사국제 연구기관들이 지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전 발표한 ‘2023년 기후행동 현황’ 보고서를 살펴보면 기후위기로 인한 최악의 상황을 피하

www.newscj.com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