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동향

[2025년 11th 미래동향] Academic Success Tip: Reducing Barriers to Tutoring Participation, 지역대학 재정 위기, 수도권 대학과의 격차 심화, 미국, 교육부 해체 논란 속 정책 변화 가속화, 대학 재정 위기 해결을 위한 등록금 인상의 필요성, ‘청정산업딜’로 유럽의 탈탄소화 가속화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2025. 3. 24. 09:00

Academic Success Tip: Reducing Barriers to Tutoring Participation 

Inside Higher Ed 기사에 따르면, 개인화된 학업 지원이 학업 완수 격차를 줄이고 학생들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많은 학생들은 이러한 자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https://lrl.kr/cWvzp
 

5 Ways to Provide Tutoring to College Students

Despite a majority of institutions offering tutoring services, only one in eight students utilize these resources. Here are five ways to provide or incentivize use of tutoring services.

www.insidehighered.com

 

지역대학 재정 위기, 수도권 대학과의 격차 심화  

고려대 정부학연구소가 주최하고, 한국사학진흥재단이 후원하는 ‘사립대학교 재정악화에 따른 해결방안’ 주제 세미나가 열렸다고 하는데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내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eirUI
 

대학 재정 및 교육 전문가들 한자리에…‘사립대 재정악화에 따른 해결방안’ 세미나 열려 - 한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 현상, 등록금 동결 등으로 인해 사립대학의 재정난이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대학 재정 및 교육 전문가들이 대학 내 교육 및 기타 시

news.unn.net

 

미국, 교육부 해체 논란 속 정책 변화 가속화

한국대학신문에 따르면 ‘교육부 해체 본격화하는 미국, 변죽만 올리는 우리와 대비된다’라는 제목의 사설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미국의 교육부 해체 움직임이 실제 정책 변화로 이어진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Fd6
 

[사설] 교육부 해체 본격화하는 미국, 변죽만 울리는 우리와 대비된다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교육부 해체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는 선거운동 기간 동안 교육부의 존재가 미국의 학업 성취도를 저하시켰다고 주장하며, 연방 정부의 교육 개입을 줄이고

news.unn.net

 

대학 재정 위기 해결을 위한 등록금 인상의 필요성 

김병주 영남대 교육학과 교수는 한국대학신문에 ‘대학은 왜 등록금을 올리는가?’라는 제목의 칼럼을 게재하였다고 하는데요. 올해는 16년 만의 절대 다수의 대학이 등록금을 인상한 해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UF2S

 

[시론] 대학은 왜 등록금을 올리는가?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대학등록금이 동결된 16년 동안 대학들은 인고의 세월을 보냈다. 대학에 대한 국고지원이 증가했지만 대부분 국가장학금(연간 4조 원 이상)으로 지원됐고, 대학에 대한 직접 지원은 소폭 증가에

news.unn.net

 

‘청정산업딜’로 유럽의 탈탄소화 가속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지난달 26일 ‘청정산업딜’을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는 철강이나 시멘트 등 ‘오염’ 산업의 탄소배출을 ‘넷제로’(탄소중립)로 전환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cWzXP
 

탈탄소·경쟁력 둘 다 잡겠다는 유럽연합…일각선 “깨끗하지 않다” 비판

유럽연합(EU)이 그간 추진해왔던 ‘그린딜’이 ‘탈탄소화’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산업경쟁력 강화에 더 무게를 실은 ‘청정산업딜’로 강화된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지난달 26일 철강이나

ww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