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2nd 미래동향] How Universities Can Adapt To The Evolving Demand, 학령인구 급감과 대학 구조개혁 현황, 교육부, 3주기 사업 계속지원 여부 평가 결과 발표, 학령인구 감소 시대의 평생교육, 코네티컷대, ‘2030 탄소중립’을 위한 계획 발표
How Universities Can Adapt To The Evolving Demand
모든 산업의 급격한 변화는 지속적인 교육에 대한 관심을 높여준다고 하는데요. 특히 Instructure 보고서 결과에 따르면 대다수의 학생이 경력 발전을 위한 학습 기회를 추구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xfZA
Council Post: Lifelong Learning Is The New Degree: How Universities Can Adapt To The Evolving Demand
There is a cultural expectation in many societies that education is a phase that ends with a degree and is terminal in nature rather than an ongoing process.
www.forbes.com
학령인구 급감과 대학 구조개혁 현황
한국대학신문은 통계청과 한국교육개발원 등의 통계 자료를 분석했다고 하는데요. 특히 해를 거듭할수록 학생 감소폭과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graq
[통계로 본 대학] ‘학령인구 급감·대학 구조개혁’ 불구 수도권 일반대는 10년간 ‘철옹성’ -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학령인구가 급감하면서 대학들이 직격탄을 맞는 가운데 특히 ‘수도권 쏠림’ 현상으로 지역대학들에 전해지는 충격이 상대적으로 전문대보다 일반대가 더 크게
news.unn.net
교육부, 3주기 사업 계속지원 여부 평가 결과 발표
교육부는 ‘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단계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고 하는데요. 특히 평가에 대한 사업총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계속 지원 대학 83개교를 선정하였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kDN9
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단계평가 결과 발표
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단계평가 결과 발표 - 수험생 부담 완화 및 고교교육 연계 노력 등 종합 평가 - 3주기 사업 계속 지원 여부 평가 결과, 91개 대학 중 83개교 선정
www.moe.go.kr
학령인구 감소 시대의 평생교육
서나래 한국교원대 전임연구원은 수업에서 만난 만학도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만학도가 안정적으로 대학에 적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 증설과 다양한 지원제도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kEak
“늦었지만 책가방 메고 햭교를 다니고 싶어서…배움에 때가 있나요?” - 교수신문
[아줌마 연구자로 가까스로 살아남기⑤ 나의 할매 학생들] 사실 평생교육의 기회는 어디에나 있다고 하지만 특히 백화점이나 대형마트가 없는 소도시에서 평생교육의 기회를 얻기란 쉬운 일이
www.kyosu.net
코네티컷대, ‘2030 탄소중립’을 위한 계획 발표
코네티컷대는 ’2024 지속가능성 액션 플랜(SUSTAINBILITY ACTION PLAN)을 발표했다고 하는데요. 특히 ‘2030 탄소중립’을 목표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lrl.kr/s20U
[대학 ESG心(이심전심) 동행 시리즈 ⑧코네티컷대] 지속가능한 미래 담은 ‘2024 액션 플랜’ - 한
10조 달러를 운용하는 세계 최대 투자회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은 2020년 연례서한에서 “ESG를 실천하지 않으면 도도새처럼 멸종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환경 보호에 남다른 관심을 보이는
news.un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