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미래고등교육 정기세미나



지난 11월 23일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 혁신’이라는 주제로 

경희사이버대 미래고등교육연구소의 여섯 번째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변화를 탐색하고, 

대학 교육 혁신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등교육의 미래와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및 전략을 모색하였습니다.


이날 참석하시지 못한 분들도 유익한 정보를 얻어 가실 수 있도록 

미래고등교육연구소 블로그는 발표 내용을 공유 합니다


미래고등교육연구소 YouTube에서 유익한 정보를 담은 다양한 영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교육혁신을 위한 온라인교육의 방향(장상현 실장)


오늘은 제6회 미래고등교육 정기세미나의 ‘교육혁신을 위한 온라인교육의 방향’을 주제로 한 장상현 실장님의 발표 중 '고등교육 핵심 트렌드 : 학습분석(Ⅲ)', '미래사회의 인재양성(Ⅰ)'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 고등교육 핵심 트렌드 : 학습분석(Ⅲ)




▷ 미래사회의 인재양성()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3 ways video assessment fosters community in online courses

온라인 교육에서 커뮤니티를 육성하는 방법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고 합니다. 교수자는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의 과제 진행 상황을 체크해야 하지만 지금까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필수사항이 아니었는데요. 원거리 학습은 교수자가 시기적절하며 개인화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학생들과의 관계를 저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었다고 해요.

비디오 평가 플랫폼은 학생과 교수자가 상호작용하여 개개인의 수준에 맞게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개인별 고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비디오 평가 플랫폼을 통해 1) 협업을 촉진함으로써, 학생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참여시키고 그룹 프로젝트에서 커뮤니케이션 및 리더십과 같은 소프트 스킬을 개발할 수 있다고 해요. 2) 동료 평가를 함으로써, 학생들이 서로의 비디오 작업을 검토하며 상대의 얼굴을 보고 음성을 들으며 다른 사람의 특징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동기부여가 되고 생산성이 높아지며 상호학습으로 보다 높은 품질의 작업 결과를 만들어 낸다고 하네요. 3) 강사의 존재감을 높임으로써, 강사가 수업 참여율이 저조한 학생이나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에게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TpmJaP


Study: Online learning improves retention, graduation rates

애리조나주립대학(Arizona State University)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을 통해 학생 등록을 유지하고 졸업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고 해요. 연구진은 공립 대학 2개, 커뮤니티 칼리지 2개로 구성된 커뮤니티 칼리지 시스템을 대상으로 디지털 학습 동향 및 결과를 조사했는데요. 온라인 코스를 제공한 4개의 교육 기관 중 일부 온라인 강좌를 보유한 3개 대학에서 디지털 강좌의 학생 유지율 및 졸업률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휴스턴 커뮤니티 칼리지(Houston Community College)에서는 온라인 또는 혼합 과정에서 신입생을 유지하는 비율이 독보적으로 9% 포인트 이상 높았으며,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University of Central Florida)에서는 온라인으로 수강한 학생들의 40~60%가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지 않은 학생보다 학위 과정을 먼저 마쳤다고 해요. 이 대학에서 개인 교육 과정을 수강한 학습자는 3.9년의 기간 동안 과정을 마쳤고, 이를 이수하지 않은 다른 학생들은 4.3년에 걸쳐 과정을 마쳤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geas6c


Purdue to Embed Data Science into Every Major

Purdue University가 데이터 과학을 교과과정 뿐만 아니라 물리적 공간 및 협업 공간 등에 포함시키기 위해 새로운 시도를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Purdue 관계자에 따르면, 새로운 통합 데이터 과학 구상(Integrative Data Science Initiative)을 통해 데이터 과학 교육은 캠퍼스 내 모든 학생의 학습 경험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대학은 교수진이 데이터 과학을 사회적 문제에 적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2년 동안 ‘건강 관리’, ‘방어 및 보안’, ‘윤리 사회와 정책’, ‘기초 방법 및 알고리즘’과 같은 분야에서 데이터 과학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대학은 학생, 지역 거주민, 학습 커뮤니티를 위한 협업 공간을 포함해 캠퍼스에 데이터 과학 중심의 물리적 공간을 만들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goo.gl/oiAAxP


Institutional Innovation: How blockchain could transform student ROI

블록체인 기술은 고등교육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학은 학생 뿐만 아니라 기업에도 블록체인 기술 가치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요. 학위를 디지털 기록 형식으로 변경해, 학생들의 학위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 대학이 아닌 개인이 통화 형태로 소유할 수 있다면, 학위를 비트코인 화폐처럼 거대 분산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고용주가 학생들의 기록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고 합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가치있는 인력 배출을 기관에 알리는 방식에 있어 혁명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요. 각각의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검증된 데이터를 블록체인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학이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이는 대학과 기업이 형성하고 있는 관계의 방식을 바꿀 뿐만 아니라, 절차가 복잡하고 유지 비용이 높은 기록 보관 인프라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goo.gl/zU42ij


For some states, college dropouts are an untapped recruitment pool

Hechinger Report에 따르면, Mississippi 주, Tennessee 주, Indiana 주의 대학들이 대학 중도 포기자를 대상으로 학생 재입학에 접근하고 있다고 합니다. 

Mississippi 주의 ‘Complete 2 Compete’ 프로그램은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을 활용해 일을 하고 있는 성인들의 재입학으로 대학의 수입을 증대하기 위한 연구를 재개하도록 권장한다고 해요. Tennessee 주는 학생을 추적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광고를 구매하고 텔레비전 및 라디오에 광고를 게시하여 학생들이 대학에 복귀하도록 유도한다고 하네요. 또한 성인 학습자의 등록 및 재정 지원과 보육원 연결, 보유 부채를 ​​충당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재연결 위원’을 모집한다고 해요. 

Hechinger Report에 따르면, 25세 이상의 3,500만 명의 성인이 대학에서 일부 학점을 이수했으며, 학위는 아직 취득하지 않은 상태라고 하는데요. 이 학생들 중 상당수가 지원금에 대한 자격 요건을 상실했거나 학생 대출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재정적인 부분과 제도적인 면에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TGDhcU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제6회 미래고등교육 정기세미나



지난 11월 23일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 혁신’이라는 주제로 

경희사이버대 미래고등교육연구소의 여섯 번째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변화를 탐색하고, 

대학 교육 혁신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등교육의 미래와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및 전략을 모색하였습니다.


이날 참석하시지 못한 분들도 유익한 정보를 얻어 가실 수 있도록 

미래고등교육연구소 블로그는 발표 내용을 공유 합니다


미래고등교육연구소 YouTube에서 유익한 정보를 담은 다양한 영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질의응답 및 패널토론


오늘은 제6회 미래고등교육 정기세미나의 ‘질의응답 및 패널토론‘ 중 사이버대학의 역할에 관한 장상현 실장님과 조용대 교수님의 의견을 알아보겠습니다.


▷ 두 번째 질의 : 사이버대학의 역할_의견()




▷ 두 번째 질의 : 사이버대학의 역할_의견()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Reducing Transactional Distance: Engaging Onlin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Digital Learning Compass에서 온라인 학생 참여를 도모하는 전략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고 하는데요. 학생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거나, 교수자의 반응이 없거나, 수업설계에 문제가 있거나 캠퍼스 생활에서 분리된 경우와 같이 학생들을 '교류 거리'로 이끄는 공통적인 요인을 언급하면서 학생들의 신뢰 구축은 학교의 질문에 대한 대답 준비에서 비롯된다고 합니다.

교류 거리는 학습 과정에서 교수진과 학생 간에 느낀 공간으로 정의되며, 학생들이 학급 내 대화, 직접 교환 또는 노출 부족으로 학습을 향상시킬 수 없는 원거리 학습 플랫폼에서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고 해요. 이러한 거리는 학생이 고립되어 있거나 지원받지 않는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한다고 하는데요. 

학생들에게 온라인 코치를 활용해 학생들이 학업을 완료하도록 권장하고, 코치들은 교수진의 연장으로 온라인 학습자에게 대학 자원을 찾거나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고, 온라인 학위 또는 코스 선택의 동기를 유발하며, 성공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전략을 연구하고, 학습자가 일정을 개발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rdqZuY


9 online learning trends straight from chief online officers

Quality Matters와 Eduventures가 공동 발간한 보고서 <2018 온라인 교육의 풍경을 변화>는 고등교육기관의 학습 정책, 사례 및 계획에 관한 대안을 찾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인데요. 보고서에서는 온라인 교육 담당자들이 갖춰야할 기술, 도구, 벤처 프로그램, 대안 학습 공급자에 대해 검토했다고 해요. 보고서는 ‘online learning’이라는 용어의 문제, 온라인 학습 시장의 경쟁력, 온라인 프로그램의 신설 운영,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 방식, 온라인 학습 기술, 온라인 기술 변화 동기, 입학 경로 탐색 및 제공업체 제휴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goo.gl/99K4Qx


Top-Ranked Colleges Spend Their Money Differently From the Rest. Here’s How.

Academic Benchmarking Consortium Insights Report의 최근 게재 논문 <Linking Administrative Spend to University Ranking>에서는 대학의 예산 및 관리 비용을 분석했다고 하는데요. 대학 순위와 예산 우선 순위 사이의 상관관계는 대학이 직면한 여러 과제에 지표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해요. 

U.S. News & World Report college rankings 기준의 상위권 대학은 인적 자원 및 연구 관리에 예산의 많은 부분을 사용하고 있고, 하위권 대학의 경우 기금 모금 및 캠퍼스 마케팅에 예산을 더 많이 투자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합니다. 상위권 대학이 지출이 많은 분야는 연구 행정, 금융 및 정보 기술, 인적 자원, 임금 비용이었으며, 언론 및 학생들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기 때문에 언론 보도나 기금 후원자들에게 소요되는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다고 해요. 


원문링크 : https://goo.gl/58rA97


4 key predictors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institution

Strada Education과 Gallup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육과 직업의 관련성’이 학생들이 자신의 고등교육 경험이 비용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에 대한 주요 지표로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현재 직업과 관련 있는 고등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비용을 지불할 만한 가치 있는 교육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네요.

‘대학 교육과 직업 간의 관련성’은 제공하는 교육의 품질과 가치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졸업 후 학생들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교육의 ‘직업 및 삶의 관련성’은 다른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비해 교육의 질과 비용 지불 가치에 대한 사람들의 보다 강력한 요인으로 평가된다고 해요. 대학 교육의 직업 관련성은 대학 순위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공개 데이터보다 교육의 품질 및 가치에 있어 대한 사람들에게 더 2~3배 높게 평가되는 요소라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goo.gl/iUJyeg


11 online education trends institutions should track

BestColleges.com의 보고서는 예비 학생, 재학생 및 졸업생을 포함하여 1,500명의 학생과 온라인 프로그램 관계자 29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교육 경험을 평가했다고 하는데요. 설문 조사 결과, 진로 동기가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 학생의 연령이 낮아짐에 따라 전통 대학생들의 연령대(18-25세)에서 등록률이 증가했다고 하네요.

온라인 교육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고, 학생들이 온라인 강좌를 등록하는 동기는 직업 및 진로 목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해요. 대학의 온라인 프로그램은 학생 입학 성장과 취업 추세에 초점을 두며, 온라인 교육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설문에 응한 많은 학생 및 대학 관계자는 온라인 강좌에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온라인 교육에 있어 어려운 부분은 비용적인 부분과 재정 지원이었다고 해요. 대학은 학생들의 지식, 기술, 고용과 관련된 요구에 부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이라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33Eqy5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제6회 미래고등교육 정기세미나



지난 11월 23일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 혁신’이라는 주제로 

경희사이버대 미래고등교육연구소의 여섯 번째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변화를 탐색하고, 

대학 교육 혁신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등교육의 미래와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및 전략을 모색하였습니다.


이날 참석하시지 못한 분들도 유익한 정보를 얻어 가실 수 있도록 

미래고등교육연구소 블로그는 발표 내용을 공유 합니다


미래고등교육연구소 YouTube에서 유익한 정보를 담은 다양한 영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교육혁신을 위한 온라인교육의 방향(장상현 실장)


오늘은 제6회 미래고등교육 정기세미나의 ‘교육혁신을 위한 온라인교육의 방향’을 주제로 한 장상현 실장님의 발표 중 '고등교육 핵심 트렌드 : 학습분석(Ⅰ)', '고등교육 핵심 트렌드 : 학습분석(Ⅱ)'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 고등교육 핵심 트렌드 : 학습분석(Ⅰ)




▷ 고등교육 핵심 트렌드 : 학습분석()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How Universities Should Manage Innovation

고등교육기관들은 기술 혁신을 둘러싼 표면상의 이념을 단절해야 하고, 다양한 수익 창출 기회와 창의성에서 대학을 더욱 효율적이고 다양하게 만드는 요소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해요.

대학관계자들에게 대학의 목표, 이를 테면 대학의 수입과 비용, 문화, 지역사회 참여, 성장에 관한 목표 등을 명확히 할 것이 요구된다고 합니다. 대학의 목표달성을 위한 역량 격차를 결정하는 것은 대학이 책임있는 전략을 계획할 수 있게 하고, 학교가 본연의 임무를 넘어서는 것을 예방하게 한다고 하네요.

대학관계자들은 원하는 결과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고, 결과를 실현하기 위해 어떤 가정을 증명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하며, 대학이 수립한 가정이 타당한지 여부를 파악하고 계획할 수 있는 ‘검색 기반 계획’을 고려할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YXWu2F


How to do micro-credentialing and digital badging the right way

오늘날의 고용주들은 과거에 비해 4년제 학사학위에 대한 의존도가 낮다고 하는데요. 과거에 학사학위는 미래 실적에 대한 주요 사전 평가 지표로 작용했다고 해요. 요즘에는 사실상 모든 지원자가 학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기업들은 지원자를 선별할 다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합니다.

마이크로자격증(micro-credential), 디지털 배지(Digital Badges)는 고용주가 지원자들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 혹은 직업시장에서 통용되는 공통의 형식이 될 수 있다고 하네요. 디지털 배지의 이점은 기술과 경험의 증거로 활용할 수 있고, 자격의 범위와 깊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휴대성과 접근성을 높인 멀티 플랫폼으로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해요. 


원문링크 : https://goo.gl/pNDV5k


With Its Model Under the Gun, an Online-Education Leader Makes the Case for Mentors

Western Governors University의 온라인 교육에 있어 멘토 기반 모델 활용은 학생과 교과멘토 사이의 유대관계를 증진시키고, 졸업생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조사결과가 발표됐다고 해요. 

Gallup-Purdue Index에서 실시한 조사 대상 대학은 온라인 영리대학이 41%, 사립 비영리대학이 31%를 차지했고, 이들 중 ‘교육비용을 들일만한 가치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과 ‘교과멘토가 학생들의 목표를 실현하는데 영향을 미쳤다’는 문항에 있어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타 대학과 차별화된 부분이라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1drMxw


10 new trends defining the state of higher education

글로벌 컨설팅회사 Grant Thornton LLP의 새로운 보고서 <The State of Higher Education 2018>에서 2018년 고등교육의 신흥 및 잠재적 동향에 관한 지침을 제공했다고 하는데요. 2018년 현재, 성장을 위해 혁신적 전략을 수립하고 산업 혼란에 대비하는 것이 고등교육 관계자들에게 기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고 해요.

보고서에서 제시한 10가지 트렌드는 1) 성장 전략 달성, 2) 혼란 대비, 3) 공유 서비스 컨소시엄을 통한 아웃소싱, 4) 공공-민간 파트너십 활용, 5) 합병과 파트너십 그리고 협업, 6) 세대 간 기부금 조정, 7) 클라우드 구현을 위한 독립적 검증 및 준비, 8) 캠퍼스 시설 이용 혁신, 9) 소셜 미디어 평판 위험관리, 10) 성공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3yCMSC


How apps can increase student engagement

학생 참여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 대학은 사용자 기반 정보추적, 학생 상호작용, 캠퍼스 운영 및 수익화 등을 모색할 수 있으며, 캠퍼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네요. 앱의 가장 큰 네트워크 요구 사항은 위치 추적 기술이라고 해요.

학생 참여 앱은 학생들에게 인사를 건네고, 캠퍼스 정보를 제공하여 수업 일정을 잡고, 오류 메시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지도 및 위치 표시, 일정 예약, Q&A 상호 작용, 앱 내 구매 및 결제, 주차 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8Pya5y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제6회 미래고등교육 정기세미나



지난 11월 23일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 혁신’이라는 주제로 

경희사이버대 미래고등교육연구소의 여섯 번째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변화를 탐색하고, 

대학 교육 혁신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등교육의 미래와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및 전략을 모색하였습니다.


이날 참석하시지 못한 분들도 유익한 정보를 얻어 가실 수 있도록 

미래고등교육연구소 블로그는 발표 내용을 공유 합니다


미래고등교육연구소 YouTube에서 유익한 정보를 담은 다양한 영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질의응답 및 패널토론


오늘은 제6회 미래고등교육 정기세미나의 ‘질의응답 및 패널토론‘ 중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교육혁신에 관한 '조용대 교수님의 의견'을 알아보겠습니다.


▷ 두 번째 발제 : 조용대 교수님 의견()




▷ 두 번째 발제 : 조용대 교수님 의견()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How my university is disrupting higher education

Maryville University of Saint Louis에서 고등교육의 전통적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조사했다고 하는데요. 많은 대학들이 20세기 고등교육 모델에 아직 갇혀 있으며, 대학교육 체제의 붕괴 필요성을 자각해야 한다고 해요. 고등교육의 붕괴는 입학 절차, 사업 관행, 교육 및 평가 방식 등 많은 부분에서 변화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Maryville University는 고등교육 변화방향으로 1) 개인 맞춤형 학습으로의 교육방식 변화, 2) 기업체와 연계하여 졸업 후 과정에 집중, 3) 대학 운영절차 간소화로 학생환경 개선과 같은 방법을 제시했는데요. 대학은 학생들이 행정부서와 주고받은 상호작용을 추적하고, 학생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을 받아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해요.


원문링크 : https://goo.gl/ht5mFf


6 steps to gain faculty support for online learning

교수진은 종종 교육제도 변화에 반대하는 입장으로 대변됐는데, Eastern Michigan University의 사례는 온라인 교육에 대해 교수들과 행정직원이 노력하는 부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해요. 이번 기사에서는 온라인 교육 도입에 교수진의 도움을 받는 방법을 제시했는데요.

온라인 교육 도입은 1) 온라인 프로그램에 대한 교수진의 비전에서 출발해야 하고, 2) 개별 교수자에 따른 교육과정을 만들어야 하며, 3) 새로운 교육사업을 시행할 때 무리한 신용평가를 하지 말아야 하고, 4) 온라인 교육과정 작업 진행상황을 교수진들과 공유해야 하며, 5) 너무 빠르게 변화하지 말고, 6) 온라인 교육에 관해 큰 포부를 가져야 한다고 해요.


원문링크 : https://goo.gl/6BZFGy


Students Want Faster Degrees. Colleges Are Responding.

일부 고등교육기관에서 대학 교육비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고안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Purdue University에서는 더 넓은 범위의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3년제 학사학위를 공식적으로 개설하고 공격적인 홍보전략을 사용했다고 해요.

단기학위과정은 직업분야에 관심이 분명한 학생들이 다음 교육단계로 일찍 진입하기 위해 선택하는 과정이고, 학생들은 여름학기를 포함해 8학기 동안 120학점을 이수하며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대략 $9,000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하네요. 학사학위를 이미 갖고 있는 학생들이 단기학위과정을 추가 이수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학위의 다양한 융합형태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해요.


원문링크 : https://goo.gl/tgGgD9


​5 ways data humanizes the student experience

온라인 방식으로 전체 운영되고 있는 Western Governor’s University는 SXSW EDU 기간 동안 대학교육과 학생학습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발표했다고 하는데요. 대학 관계자들은 데이터가 대학운영에 중요하다는 것을 파악하고, 데이터 활용으로 학생 경험을 극대화하며, 학생들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고 합니다.

데이터 활용으로 학생 경험을 개선하는 방법에는 투명한 데이터시스템 만들기, 문제원인 파악과 개선책 제시, 영향력 있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구축하기, 빅데이터 활용, 기술변화 수용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해요.


원문링크 : https://goo.gl/EPZ4KQ


Report: Instructional Design Support Helps Increase Student-to-Student Interaction in Online Courses

Quality Matters and Edwards Research의 새로운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 강의 설계 지원이 의무화된 강의와 지원이 없거나 선택적인 강의의 학생 상호작용 수준을 비교해 본 결과, 강의 설계 전문가의 지원이 의무화된 강의가 지원이 없거나 선택적이었던 강의에 비해 학생 간 참여도가 3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온라인강의 설계 지원은 관리직원보다 교수진들의 수요가 높았고, 사설 교육기관이 공립대학이나 지역대학보다 강의 설계 지원에 대한 의무화 수준이 높은 반면, 교수법의 다양성은 낮다고 합니다. 강의 설계 지원을 요청하지 않는 일반적인 이유에는 교육 및 학습에 있어서 자원 부족과 교수진의 학문적 자율성을 보호하기 위함이라고 해요. 대학은 학생들이 학습관리시스템(LMS) 및 기타 온라인 도구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구현하는 설계 표준을 준수하는 것이 교수진의 자율성보다 중요한 것인지 파악하고 전문 설계 지원에 대한 투자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하네요.


원문링크 : https://goo.gl/JES6y2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제6회 미래고등교육 정기세미나



지난 11월 23일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 혁신’이라는 주제로 

경희사이버대 미래고등교육연구소의 여섯 번째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변화를 탐색하고, 

대학 교육 혁신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등교육의 미래와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및 전략을 모색하였습니다.


이날 참석하시지 못한 분들도 유익한 정보를 얻어 가실 수 있도록 

미래고등교육연구소 블로그는 발표 내용을 공유 합니다


미래고등교육연구소 YouTube에서 유익한 정보를 담은 다양한 영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교육혁신을 위한 온라인교육의 방향(장상현 실장)


오늘은 제6회 미래고등교육 정기세미나의 ‘교육혁신을 위한 온라인교육의 방향’을 주제로 한 장상현 실장님의 발표 중 '고등교육 핵심 트렌드(NMC Horizon Report 2017)', '고등교육 핵심 트렌드 : 심층학습'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 고등교육 핵심 트렌드(NMC Horizon Report 2017)




▷ 고등교육 핵심 트렌드 : 심층학습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

Online Can Unite Students -- or Divide Them

온라인 강좌가 더욱 보편화됨에 따라, 교수자들은 학생들이 긍정적인 학습경험과 학습성과를 갖도록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했다고 해요. 온라인 교육의 주요 특성으로 ‘교육의 평등’을 꼽고 있는데요.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증가시켜 그들간의 차이를 완화해야한다고 해요. 

학생 참여를 위해 교수 및 학생들간 유대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고, 교수자 역시 관계증진을 위해 웰컴영상 촬영, 학습자간 코멘트, 조교와의 만남 등의 방법으로 온라인 학습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Sc9zqq


‘Not your father’s education’—how digital innovation is changing one universit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VR 기술을 활용해 가상학생들을 가르치는 연습으로 교수자의 강의경험을 향상시키는 플랫폼 ‘First Class’를 개발했다고 하네요. ‘First Class’를 사용하는 교수자는 교실에 참여하고 있는 가상학생의 실제 움직임, 목소리, 몸짓으로 교육기술을 연습할 수 있다고 해요. 이 프로그램은 실제 수업을 대체하지 않고, 교실환경 사전서비스제공과 교사의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고 해요. 

오늘날 대학이 직면한 변화양상에는 teaching과 learning이 혼합된 교육공간, 기술이 적용된 교실형태 및 온라인 교실형태의 혼합,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 스타일 등이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변화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YZknyY


What’s next for higher ed?

고등교육은 그동안 하나의 산업으로서 변화주기를 간과해왔다고 하는데요. 대학 졸업자들이 높은 등록금을 내고, 상대적으로 유용하지 못한 교과 과정을 이수하며, 높지 않은 연봉의 직업을 갖게 됨에 따라, 오늘날의 고등교육의 효율성에 문제의식이 제기됐다고 합니다.

미국 고등교육 시스템은 비효율적인 전통 4년제 대학 프로그램이 폐지될 것이며, 온·오프라인 대안교육 플랫폼이 등장하며, 전통적인 고등교육을 유지하는 사람들의 교육에 대한 책임감은 증대될 전망이라고 해요.

고등교육은 Accessibility, Outcomes, ROI와 같은 새로운 요소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재구축해야 한다고 하네요. 높은 등록금 때문에 고등교육에 접근하지 못했던 학생들의 접근성을 향상시켜야 하고\며, 고등교육이 일자리를 구하는데 직접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할 것이며, 교육에 투자하는 금액에 따라 높은 수익률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해요.


원문링크 : https://goo.gl/acbzjf


​How technology can improve the student experience

학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의 경험관리 및 데이터 분석도구로 CEM(고객경험관리,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을 활용하는 방법이 나왔다고 하는데요.

고객 조사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해 학생들의 등록 상태를 추적하며 학생들과 상호작용하고 피드백 메커니즘으로 활용함으로써 대학과 학생 간의 의미있는 연결을 강화할 수 있다고 하네요. CEM 기술은 마케팅, 영업, 고객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시스템 내에 분석 데이터가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해요.

CEM 기술 사용으로 학생 데이터와 경험을 실시간으로 피드백해 학생들의 대학경험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pv613m


Tuition Grows in Importance

미국 국가재정 고등교육 연례보고서(annual State Higher Education Finance report)에 따르면, 대부분의 주에 있는 대학들이 정부지원이 늘었음에도 등록금에 더 많이 의존한다고 하는데요. 학생 1인당 정부지원은 늘어나는 추세이고, 대학의 등록금 수입 또한 증가하는 추세라고 해요.

대학에 정규등록하는 학생수는 2011년 이후 매년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대학입학 대신 취업하는 비율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2017년 총 교육수입은 2008년 대비 5.8% 증가했고, 2017년 총 교육수입이 증가한 주의 수는 32개인데요. 앞으로의 대학은 다양한 학생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교육비용이 늘어날 것이라고 해요.

2017년 학생 1인당 정부지원은 $673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인플레이션을 감안했을 때, 10년 전보다 10% 낮은 수준이며 25년 전보다 8% 감소했다고 합니다. 등록금 순수입은 10년 동안 36%가 올랐고 25년 동안 96%가 증가했다고 해요.

2017년 학생 1인당 평균 교육비 지출액은 $7,642로 전년대비 약 3% 증가했고, 정규 등록금에 해당하는 주 별 평균 순수입액은 $6,572로 전년대비 1% 이하 대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원문링크 : https://goo.gl/KrQRYg







Posted by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
,